• 제목/요약/키워드: Bowed string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전송선로 기반 찰현 모델 (Transmission line based bowed string model)

  • 이진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10-715
    • /
    • 2019
  • 진동하는 현을 전기적 전송선로에 비유하고 디지털 활에 의해 주어지는 활과 현간 마찰력에 대한 계산을 회로로 구현하여 전송선로 기반 찰현 모델을 구축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성능은 활이 현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현의 속도가 찰현에 대한 파동방정식의 차분형식(finite difference form)으로 구한 속도와 일치함을 보임으로서 증명하였다.

한국 아쟁(牙箏)과 중국 알쟁(軋箏)의 악기학적 고찰 (Consideration of Korean Ajaeng and Chinese Yazheng Based on Organology)

  • 이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217-226
    • /
    • 2020
  • 아쟁(牙箏)은 현재까지 원형적인 형태를 간직하고 있는 동아시아의 지터류 찰현악기로 전통음악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오늘날 창작 국악에서도 중요한 악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존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음악사적 연구의 자료가 충분치 않아 악기학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본 연구는 아쟁의 악기학적 고찰을 위해 역사적으로 유래가 같은 중국 알쟁(軋箏)의 문헌기록과 음악도상(圖像)자료 등을 통해 지터류 찰현악기의 기원, 악기의 형태, 연주자세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중국 알쟁과 한국 아쟁은 중국의 고대 전통악기인 축(筑)의 한 형태가 기원이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동류 지터류 찰현악기이지만 중국의 알쟁은 연주되는 목적과 장소에 따라 악기 형태가 달랐고, 연주자세도 서서 어깨에 고정시키거나 악기를 지면에 수평으로 고정시켜 연주하는 방법이 있었다. 한국의 아쟁은 고려 때 중국에서 전해진 악기의 형태와 바닥에 앉아서 받침대 위에 악기를 놓고 연주하는 방식이 지금까지도 큰 변화 없이 전승되어 왔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악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음악사적 의의를 찾아봄으로써 전통음악과 국악기에 대한 보존과 발전을 위해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한국과 중국 전통악기 연구자들의 학문적 교류와 공동연구를 통해 악기학에 대한 다각도적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해금 몸체의 음향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Haegeum Body)

  • 노정욱;박상하;성굉모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317-322
    • /
    • 2007
  • 본 논문은 한국의 전통 찰현(擦絃)악기인 해금의 음향학적 특성을 연구하는 과정의 첫 단계로서, 우선 무향실에서 해금 몸체의 전달함수를 충격응답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로 얻은 전달함수로부터 해금 몸체의 주요 공진 특성들을 살펴보고, 각 공진점이 해금 몸체의 어느 부분과 각각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복판의 클라드니 패턴 실험, 해금 몸체 내 공동(空洞, air cavity)의 음향학적 모델링을 통한 공진 주파수 계산 등의 과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해금 몸체의 주요 공진 특성과 몸체 각 부분들 간의 상관 관계를 밝혀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