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tnet Detectio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2초

HAS-Analyzer: Detecting HTTP-based C&C based on the Analysis of HTTP Activity Sets

  • Kim, Sung-Jin;Lee, Sungryoul;Bae, Byungchu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8권5호
    • /
    • pp.1801-1816
    • /
    • 2014
  • Because HTTP-related ports are allowed through firewalls, they are an obvious point for launching cyber attacks. In particular, malware uses HTTP protocols to communicate with their master servers. We call this an HTTP-based command and control (C&C) server. Most previous studies concentrated on the behavioral pattern of C&Cs. However, these approaches need a well-defined white list to reduce the false positive rate because there are many benign applications, such as automatic update checks and web refreshes, that have a periodic access pattern. In this paper, we focus on finding new discriminative features of HTTP-based C&Cs by analyzing HTTP activity sets. First, a C&C shows a few connections at a time (low density). Second, the content of a request or a response is changed frequently among consecutive C&Cs (high content variability). Based on these two features, we propose a novel C&C analysis mechanism that detects the HTTP-based C&C. The HAS-Analyzer can classify the HTTP-based C&C with an accuracy of more than 96% and a false positive rate of 1.3% without using any white list.

DGA 봇넷 도메인 감지 및 패밀리 분류 연구 동향 (Survey on DGA Botnet Domain Detection and Family Classification)

  • 이정민;강민재;이연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43-546
    • /
    • 2023
  • 봇넷은 지속적으로 사이버 범죄에 이용되고 있으며 네트워크 환경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기존에는 봇들이 C&C 서버와 통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랙리스트를 기반으로 DNS 서버에서 봇넷 도메인을 탐지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도메인 생성 알고리즘(DGA)을 이용하는 봇넷이 증가하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블랙리스트 기반의 도메인 차단 방식으로는 더 이상 봇넷 도메인을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봇넷 도메인 생성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되는 도메인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봇넷 도메인을 식별하고 차단하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연속적인 데이터 처리에 주로 사용되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봇넷 도메인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 정확도가 높은 탐지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탐지뿐만 아니라 봇넷 그룹(Family) 분류까지 연구가 확장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봇넷 도메인 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되는 봇넷 도메인을 식별 및 분류하기 위해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최근 연구 동향을 조사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사이버공격 탐지를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oud Computing for Detecting Cyber Attacks)

  • 이준원;조재익;이석준;원동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16-822
    • /
    • 2013
  • 최근 악성코드의 다양화와 변종 발생 주기가 기존대비 지극히 단시간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네트워크 환경 또한 기존 보다 그 속도와 데이터 전송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 침입 탐지 연구 및 비정상 네트워크 행위 분석 연구와 같이 정상과 비정상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여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환경 구성에 어려움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단순 네트워크 환경이 아닌 근래 많이 연구가 진행되고 서비스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악성코드 분석 데이터 수집을 통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단순한 악성 코드 행위가 아닌 DNS 스푸핑이 포함된 봇넷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적용하여 보다 실제 네트워크와 유사한 환경에서 악성 코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WhiteList 기반의 악성코드 행위분석을 통한 악성코드 은닉 웹사이트 탐지 방안 연구 (Research on Malicious code hidden website detection method through WhiteList-based Malicious code Behavior Analysis)

  • 하정우;김휘강;임종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61-75
    • /
    • 2011
  • 최근 DDoS공격용 좀비, 기업정보 및 개인정보 절취 등 각종 사이버 테러 및 금전적 이윤 획득의 목적으로 웹사이트를 해킹, 악성코드를 은닉함으로써 웹사이트 접속PC를 악성코드에 감염시키는 공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은닉기술 및 회피기술 또한 지능화 전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악성코드가 은닉된 웹사이트를 탐지하기 위한 현존기술은 BlackList 기반 패턴매칭 방식으로 공격자가 악성코드의 문자열 변경 또는 악성코드를 변경할 경우 탐지가 불가능하여 많은 접속자가 악성코드 감염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패턴매칭 방식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WhiteList 기반의 악성코드 프로세스 행위분석 탐지기술을 제시하였다. 제안방식의 실험 결과 현존기술인 악성코드 스트링을 비교하는 패턴매칭의 MC-Finder는 0.8%, 패턴매칭과 행위분석을 동시에 적용하고 있는 구글은 4.9%, McAfee는 1.5%임에 비해 WhiteList 기반의 악성코드 프로세스 행위분석 기술은 10.8%의 탐지율을 보였으며, 이로써 제안방식이 악성코드 설치를 위해 악용되는 웹 사이트 탐지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