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rich needs assessment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1초

NCS 직업기초능력 기반 응급구조(학)과 교양 교과목 편성 연구 (Program design of the education subject curriculum by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key competencies)

  • 홍성기;고봉연;김수태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7-47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stablish an education curriculum subject program design for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key competencie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180 level 1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K area from June 15 to 20, 2016. Except for 14 incomplete questionnaires, 141 data were analyzed. The study instrument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7 items) an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s for 10 key competencies including 34 items of subfactors by a Likert 5-point scale using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 locus for focus model (LF model) was used to derive the top priority key competencies for the education curriculum. Data were analyzed by SPSS v. 20.0. Results: The order of education needs of the program included interpersonal competency (1.442), communication competency (1.384), problem solving competency (1.185) and professional ethics competency (1.149). In the LF model, the required jey competencies included interpersonal competency, communication competency, professional ethics competency,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y.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coincided with standard education curriculum guidelines. Our resluts can provide a valid reference for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가정과교사의 임파워먼트 측정도구 개발 및 인식과 요구도 분석 (Development of Empowerment Scale Instrument and Needs Assessment of Home Economics Teachers' Empowerment)

  • 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31-143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사의 임파워먼트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우리나라 가정과교사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전문성'과 '교사 효능감'을 포함한 개념으로 가정과교사의 임파워먼트를 측정할 수 있는 구성요소 및 문항을 추출하고, 내용 타당도 검증과 문항이해정도에 대한 예비조사를 거쳐 임파워먼트 측정도구를 6점 리커트 척도로 20문항 개발하였다. 가정과교사 23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SPSS/Win 10.0과 AMOS 6.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요구도 분석 등을 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과교사의 임파워먼트 측정도구는 19문항 6요인으로 개발되었다. 수업운영능력, 영향력, 자율성, 신념, 전문성, 윤리성의 6개 요인이 전체 변량의 72.18%를 설명하였고, Cronbach's $\alpha$ 값이 0.94로 내적 일치도가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가정과교사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살펴본 결과, 가정과교사는 현재 '윤리성'과 '자율성'을 높게, '영향력'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미래 가정과교사가 지녀야 할 임파워먼트에 대해서는 '수업운영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가정과교사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요구도는 '영향력'이 가장 높았고, '수업운영능력'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 PDF

원예치료사의 직무 및 수행평가와 교육요구 분석 (Horticultural Therapy: Job Analysis, Performance Evaluation, and Educational Needs)

  • 김수연;박신애;손기철;이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887-900
    • /
    • 2014
  • 본 연구는 원예치료사의 직무분석과 직무수행 평가 및 미래 교육요구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원예치료사의 직무 분석에 적합한 방법인 데이컴 기법을 이용하여 원예치료사직무를 정리하는 데이컴 차트를 개발하였으며(연구 1), 이를 근거로 원예치료사 직무수행 평가지를 제작하여 원예치료사들의 현재 직무수행수준과 미래 요구수준을 조사하였다(연구 2). 데이컴 위원회의 데이컴 분석을 통해 원예치료사의 직무는 8개의 임무와 45개의 작업으로 분석되었다(연구 1). 분석된 결과를 임무별로 살펴보면, , , , , , , , 이다. 이들 임무는 각 5-8개의 작업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개발된 데이컴 차트를 근거로 원예치료사 직무수행평가지를 개발하여 원예치료사들의 현재 직무수준과 미래 요구수준을 조사하였다(연구 2). 원예치료사들의 현재 직무수준과 미래 요구수준을 조사하기 위하여 개발된 평가지는 1, 2급 원예치료사 779명에게 이메일과 우편배송을 이용하여 배부되었으며, 최종으로 회수된 총 242부(31.1%)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현재 직무수행수준에 대한 1급과 2급 원예치료사들의 평가를 살펴보면, 전체 45개 작업중 32개 작업에서 1급 원예치료사들이 2급 원예치료사들보다 현재 직무수행수준을 유의하게 높게 평가하였다. 미래 요구수준 역시, 45개 작업 중 20개 작업들에 대해서 1급 원예치료사들이 2급 원예치료사들 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45개의 원예치료사 작업에 대한 교육요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보리치(Borich) 공식을 이용한 결과 상위 1, 2, 3순위는 , , 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 원예치료사나 현직 원예치료사들의 직무이해와 직무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며, 원예치료사를 양성하는 기관은 실무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Mountain Village Promotion Projects in the Forest Sector by Upper-Level Local Governments

  • Kang, Byung-Hoon;Kim, Seong-Hak;Chae, Jin-Ha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07-718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Due to the recent crisis of extinction in local areas, the mountain village promotion policy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task. This study examined the priorities of major policy projects in the forest sector that affect mountain village promotion. Methods: For research methods, literature search, expert advisory meetings, and a survey were conduct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2 policy stakeholders from June 1 to August 13, 2021. The literature search was based on policy projects in the forest sector by 8 upper-level local governments including mountain villages. For questionnaire items, 173 forest policy projects were classified into 27 types through expert review,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ch type were rated on a 5-point Likert scale. Paired t-test, IPA, Locus for Focus model, and Borich needs assessment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s, and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1.0 was used as the analytical tool.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creating forest-related jobs' and 'supporting cultivation of professional forestry workers' both showed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implying that they would show an effect in mountain village promotion. 'Creating forest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discovering forest cultural assets' 'establishing and boosting forest tourism', 'providing forest therapy services', 'creating forest-related jobs', 'supporting community revitalization', and 'urban-rural exchanges' were found to be the types that needed improvement and concentration for mountain village promotion. In particular, 'creating forest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discovering forest cultural assets' were derived as priority considerations for mountain village promotion policies. Conclusion: In summary,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promote mountain villages, various content projects must be improved and carried out to enhance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revitalize mountain villages.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특허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와 개선 방안 탐색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 effectiveness and Exploration of improvement for Specialized high-school Teacher in Invention and Patent field)

  • 임윤진;최유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23-39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교사를 위한 발명 특허분야 교원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5년도 충남대학교 발명교사교육센터가 주관한 특성화고 교사 대상 발명 특허분야 교원직무연수 참여자 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수가 종료된 시점에 직접 설문지를 배부하고 전량(100%)을 회수하였고, 39명중 불성실한 응답자 2명을 제외한 37명을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교원연수프로그램 개발은 문헌연구와 전문가 회의를 통해 이루어졌고, 적용에 따른 만족도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교육요구도와 교육만족도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교원 직무연수 개선 방안 연구진에 의해 구안된 교원 연수 평가 모형에 의해 모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 교원을 위한 발명 특허 교원직무연수의 교육요구도는 높았다. 둘째, 개발된 교원직무연수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수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교육효과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수 프로그램의 엄격한 개선을 위하여 현상유지, 대안탐색, 전략수정, 기대 확장의 4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