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rax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1초

종합미량원소비료(綜合微量元素肥料)의 개발(開發)에 관(關)한 연구 -I. 원료(原料) 및 제품(製品)의 특성(特性) (Development of Micronutrient Fertilizer -I.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and Products)

  • 임동규;성기석;신제성;박영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8-94
    • /
    • 1981
  • 국내산광물을 주원료(主原料)로 이용(利用), 용융(熔融)으로 종합미량원소비료(綜合微量元素肥料)를 제조(製造)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원광중 붕사(硼砂), 망간광은 단독으로 용융(熔融) 가능(可能)하였다. 2. 용융온도(熔融溫度)를 낮추는 광물로는 붕사(硼砂)의 효과가 가장 컸다. 3. 원료중(原料中) Ca 및 Mg 함량(含量)이 증가 할수록 제품(製品)의 용융온도(熔融溫度)가 높아졌다. 4. 제조시(製造時) 온도(溫度)를 높일수록 Fe, Zn, Mo의 구용성함량(枸溶性含量)은 증가하였으나 B와 Mn은 현저(顯著)한 차이(差異)가 없었다. 5. 제품(製品) 제조시(製造時) 성분손실률(成分損失率)은 B>Zn>Mo 순(順)으로 컸다.

  • PDF

Dimensional Stability, Color Change, and Durability of Boron-MMA Treated Red Jabon (Antochephalus macrophyllus) Wood

  • PRIADI, Trisna;ORFIAN, Gema;CAHYONO, Tekat Dwi;ISWANTO, Apri Her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315-325
    • /
    • 2020
  • Boron compound had many advantages as wood preservative, but it was prone to leaching. Improving boron preservation was required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fast growing and low durability red jabon (Antochephalus macrophyllus) hardwoo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dimensional stability, color change and durability of modified red jabon wood by double impregnation with boron and methyl methacrylate (MMA) and heat treatment. Impregnation I used boric acid or borax, and impregnation II used MMA, while heat treatment used temperatures of 90 ℃ or 180 ℃ for 4 hours. The dimensional stability, leachability, water absorption, color change and decay resistance of modified red jabon wood were tested. The results showed that MMA impregnation increased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red jabon wood, while the leaching and water absorption in the wood significantly reduced. Heating at 180 ℃ caused less water absorption and higher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wood than that of heating at 90 ℃. Impregnation with boric acid and MMA followed by heating at 90 ℃ resulted in the highest wood ASE, 89.9%. The color change (∆E*) of wood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MMA impregnation and heating at 180 ℃. Boric acid impregnation caused more resistant wood than borax impregnation against decay fungi and termites. Impregnation with boric acid and MMA followed with heating at 180 ℃ increased significantly the wood resistance against decay fungi and termites.

Fe-V을 첨가한 용융 붕사욕에서 강의 탄화물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Carbide Layers on Steels Immerged in Fused Borox Bath Containing Fe-V)

  • 이병권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9-26
    • /
    • 1991
  • 강의 내마모성과 내식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방법보다 우수한 확산표면경화처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무수붕사($Na_2B_4O_7$)를 주체로 하는 해당염욕에 첨가물로서 -100 mesh의 Fe-V를 첨가한 후 각각 탄소량을 달리하는 시편을 침적시켜 탄화물층의 형성유무와 탄화물층과 침척시간과의 관계 및 피처리재중의 탄소량과의 관계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탄화물층내의 미소경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탄화물층은 모재표면의 C원자와 붕사욕 중에 용출된 V와 결합에 의해서 형성되고 형성된 탄화물층 속으로 확산해서 모재 중의 C원자가 표면에 보급되는 것에 의해서 성장한다. (2) 탄화물층의 두께는 온도와 탄소량이 일정할 경우 침척시간의 1/2 승에 비례하였다. 또한 온도와 침적시간이 일정할 경우 탄소량이 증가할수록 탄화물층의 두께는 증가하였다. (3) 시편의 표면에 형성된 탄화물층은 VC층이었으며, 이 탄화물층 내의 미소경도는 $H_v$ 3,000 이상이다.

  • PDF

용융염 침적법에 의한 VC coating 금형강의 굽힘 피로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nding Fatigue Strength of Die Steels coated with VC(Vanadium Carbide)by Immersing in Molten Borax Bath)

  • 이병권;남태운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66-177
    • /
    • 1993
  • Bending fatigue strength tests were made for VC coated die steels which were coated by immersing in a molten borax bath and for hardened die steels which were quenched and tempered, in order to clarify the effect of VC coating at $1000^{\circ}C$ and $1025^{\circ}C$. The material used in this investigation was a representative cold and hot die steels STD11, STD61.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endurance limit of VC coated die steels was a little lower than that of hardened die steels. It is considered to be mainly due to the decfl.lase of hardness in the substrates. Accordingly, the endurance limit reo covered almost to the level of hardened die steels by an additional diffusion treatment. 2) The initiation point of fatigue fracture of VC coated die steels in reversed bening was on the substrate just under the VC layer. Hence, the endurance limit is corrected to the hardness of this part. 3) But, there is a considerable scatter in this relationship and the endurance limit of VC coated die steels was a little lower than that of hardened die steels with equal hard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atigue strength of VC coated die steels is determined not only by the hardness but also by other factors. For example. the residual stress in the substrate just under VC coating layer is one of the factors besides hardness which is mainly related to the retained austenite(${\gamma}_R$).

  • PDF

산소지수법(酸素指數法)에 의한 내화처리합판(耐火處理合板)의 연소시험(燃燒試驗) (Oxygen Index of Fire-Retardant-Treated Plywood in Burning Test)

  • 이필우;엄영근;김현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4호
    • /
    • pp.419-424
    • /
    • 1989
  • 내화제간(耐火劑間)의 상대적(相對的)인 내화효과(耐火效果)를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여 보기 위하여 메란티(meranti) 합판(合板)에 5종(種)의 내화제(耐火劑)와 수처리(水處理)를 하고 열판건조(熱板乾燥)시킨 다음, ASTM D 2863-77의 산소지수법(酸素指數法)에 의거하여 Up and Down법(法)을 통하여 각각의 산소지수(酸素指數)를 구하였다. 시험결과(試驗結果)에 의하면 황산(黃酸)암모늄이 28.4, 제(第)1인산(燐酸)암모늄이 26.7, 제(第)2인산(燐酸)암모늄이 43.4, 붕사(硼砂)-붕산(硼酸)이 30.1, 미날리스가 32.4, 그리고 수처리(水處理)가 25.5의 산소지수(酸素指數)를 나타냈는데, 연소성(燃燒性)이 큰 물질(物質)일수록 낮은 산소지수(散素指數)를 지닌다는 사실(事實)로 미루어 볼 때 내화제간(耐火劑間)의 내화효과(耐火效果)는 제(第)2인산(燐酸)암모늄, 미날리스, 붕사(硼砂)-붕산(硼酸), 황산(黃酸)암모늄, 제(第)1인산(燐酸)암모늄의 순(順)으로 크다는 것을 구명할 수 있었다.

  • PDF

비정형 패널의 형상 품질확보를 위한 적정 배합비 도출 (Proper Mixing Ratio for Securing Quality of Free-form Panel)

  • 김민식;박채울;김기혁;도성록;이동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49-456
    • /
    • 2019
  • 최근 비정형 건축물의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거푸집 재사용이 불가하여 건설폐기물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비정형 건축물 건축 시 생산자의 숙련도에 따라 비정형 패널의 품질이 결정되며 이에 따른 정확한 공사비 측정불가 및 인건비 증대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비정형 건축물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오차율이 적고 작업성이 좋은 최적의 배합을 찾는 것을 목표로 실험을 진행한다.

합판(合板)의 내화처리(耐火處理)와 열판건조(熱板乾燥)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Fire-Retardant-Treatment and Press Drying of Plywood)

  • 이필우;김종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5-37
    • /
    • 1982
  • 건축물(建築物)의 내장(內裝)에 많이 사용(使用)하고 있는 합판(合板)은 가열성(可燃性) 물질(物質)로서 각종(各種) 대형화재(大型火災)로 수발(受發)하여 많은 인명(人命)과 재산(財産)의 손실(損失)을 초래(招來)하고 있다. 따라서 이로 인(因)한 피해(被害)를 최대한(最大限)으로 줄이기 위(爲)하여, 내화합판제조(耐火合板製造)의 필요성(必要性)이 절실(絶實)히 요구(要求)되며 또한 내화합판제조(耐火合板製造)에서 우선적(優先的)으로 해결(解決)해야 될 합판(合板)의 재건조(再乾燥)에 관(關)해서 연구(硏究)할 필요(必要)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3.5mm 얇은 5.0mm 두꺼운 합판(合板)에 Ammonium sulfate, Mono -ammonium phosphate, Di - ammonium phosphate, Borax - boric acid, Minalith 및 Water를 1, 3, 6 및 9 시간(時間)으로 처리하고 90, 120 및 $150^{\circ}C$ 등(等)으로 열판건조(熱板乾燥)를 실시한 후(後), 건조곡선(乾燥曲線), 건조율(乾燥率), 내화제(耐火劑)의 흡수율(吸收率), 비중(比重)(용적중(容積重)) 및 내화도(耐火度) 등(等)을 연구검토(硏究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Borax-boric acid와 Minalith 처리시간(處理時間)이 증가(增價)함에 따라 양액(藥液) 흡수량(吸收量)율(率)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 뚜렷이 하였으나 수분처리(水分處理) 흡수량(吸收量)율(率)에는 미치지 못 하였다. (2) 합판(合板)의 단위용적당(單位容積當) 약액(藥液) 흡수량(吸收量)은 일정시간(一定時間)의 처리(處理)에 있어서 두께 3.5mm의 얇은 합판(合板)이 두께 5.0mm의 두꺼운 합판(合板)보다 높았으며 가장 높은 흡수량(吸收量)은 두께 3.5mm의 얇은 합판(合板)에서 9시간(時間)을 처리(處理)하였을 때 Ammonium sulfate에서 1.353kg/$(30cm)^3$의 치(値)를 나타내었고 두께 5.0mm의 두꺼운 합판(合板)에서는 역시(亦是) 9시간(時間)의 처리(處理)에서 Ammonium sulfate의 1.356kg/$(30cm)^3$의 치(値)를 얻었다. (3) 약액처리(藥液處理) 후(後)의 합판(合板)의 용적중(容積重)은 처리(處理) 전(前)보다 뚜렷하게 상승(上昇)하였으나 열판건조(熱板乾燥) 후(後)에는 다시 용적중(容積重)의 치(値)가 하락(下落)하였는데 약액처리(藥液處理) 전(前)보다는 약간 높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4) 약액처리합판(藥液處理合板)의 두께팽창율(膨脹率)은 두께 3.5mm의 얇은 합판(合板)과 두께 5.0mm의 두꺼운 합판(合板)에서 모두 1시간(1時間)과 3시간(時間) 처리(處理)에서 팽창율(膨脹率)의 증가(增加)가 수분처리(水分處理)와 비슷한 경향(傾向)을 보였으나 처리시간(處理時間)이 6시간(時間) 이상(以上)으로 연장(延長)되면서 약액처리합판(藥液處理合板)보다 수분처리합판(水分處理合板)의 두께 팽창율(膨脹率)이 급상승(急上昇)하여 뚜렷하게 높은 치(値)를 나타내었는데 두께 5.0mm의 두꺼운 합판(合板)에서 더욱 큰 치(値)를 보였다. (5) 열판건조(熱板乾燥) 후(後)의 두께 수축율(收縮率)도 팽창율(膨脹率)과 똑같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으며 두께 5.0mm의 합판(合板)에서는 약액처리시간(藥液處理時間)이 증가(增加)함에 따란 수축율(收縮率)이 뚜렷하게 상승(上昇)하는 경향(傾向)을 모든 처리약액(處理藥液)과 수분처리(水分處理)에서 나타내었다. (6) 건조곡선(乾燥曲線)은 1시간(時間)과 3시간(時間)의 처리(處理)를 제외(除外)하고 두께에 관계(關係)없이 6시간(時間) 이상(以上)의 처리(處理)에서 모두 수분처리합판(水分處理合板)의 건조곡선(乾燥曲線)이 약액처리합판(藥液處理合板)의 곡선(曲線)보다 상위(上位에 위치(位置)하였다. (7) 처리합판(處理合板)의 두께에 따른 건조율(乾燥率)은 두께 3.5mm의 얇은 합판(合板)의 경우(境遇), 두께 5.0mm의 두꺼운 합판(合板)에서 얻은 건조율(乾燥率)보다 거의 두 배(倍) 이상(以上)의 치(値)를 나타내어 얇은 합판(合板)이 두꺼운 합판(合板)보다 건조효과(乾燥效果)가 뚜렷하게 높았다. (8) 건조온도(乾燥溫度)에 따른 건조율(乾燥率)은 열판온도(熱板溫度)가 상승(上昇)함에 따라 뚜렷하게 상승(上昇)하였으며 두께 3.5mm의 얇은 합판(合板)의 경우(境遇) 열판온도(熱板溫度) 90, 120 및 $150^{\circ}C$에서 각각(各各) 1.226%/min., 6.540%/min., 25.752%/min, 였고 두께 5.0mm의 두꺼운 합판(合板)에서는 각각(各各) 0.550%/min, 2.490%/min., 8.187%/min.를 나타내었다. (9) 약액별(藥液別) 건조율(乾燥率)은 열판온도(熱板溫度) $120^{\circ}C$로 건조(乾燥)하였을 때 두께 3.5mm의 얇은 합판(合板)에서 Mono-ammonium phosphate가 가장 높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고 두께 5.0mm의 두꺼운 합판(合板)에서는 Di-ammonium phosphate가 가장 높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었으나 처리시간(處理時間) 6기간(時間) 이후(以後)에는 수분처리합판(水分處理合板)의 건조율(乾燥率)이 더 높았다. (10) 약액처리합판(藥液處理合板)의 내화도(耐火度)는 측정(測定)된 중량감소율(重量減少率), 착염시간(着炎時間), 잔염시간(殘炎時間), 이면(裏面)의 탄화율(炭火率)을 통(痛)하여 수분처리합판(水分處理合板)이나 미처리합판(未處理合板)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11) 내화약제간(耐火藥劑間) 내화효과(耐火效果)는 Di-ammonium phosphate가 가장 우수(優秀)하였고 다음은 Mono-ammonium phosphate와 Ammonium sulfate이며 Borax-boric acid와 Minalith는 가장 불량(不良)하였다.

  • PDF

입도에 따른 셀룰로오스 단열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Property of Cellulose Insulation according to Particle Size)

  • 최정화;김홍;류경옥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6년도 학술발표회
    • /
    • pp.62-67
    • /
    • 1996
  • The smouldering combustion of cellulose Insulation treated with boric acid - borax - aluminium sulfate as combustion retardants are examined by candle type combustibility tester. The flammability behavior of combustion process is LOI, Smouldering region, Smouldering, Flamming spread region and Flame spread region. In this experiment, Particle size of four examined LOI, L.Point, H.Point, at the biggest size show high LOI. The surface area is connected with thermal conduction. The phenomena of combustion transition are governed by quantity of combustible gas generation in heating zone of cellulose insulation.

  • PDF

전해침붕처리에서 환원제 첨가의 영향 (The effect of Reductants on the electro-boronizing)

  • 최진일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0-118
    • /
    • 1995
  • The effect of reductants (Ti, Si, Al, Mn, Fe) addition into molten Borax has been studied on oxidation resistance and the growth of boronized layer formed during electro-boronizing on the substrate such as carbon steel and STS 430. Experiments have been carried out at the current density of 0.5 A/$\cm^2$ and in temperature range of 600~$1000^{\circ}C$ for 1~5 hours. The penetrated depth of the boron increased with addition of reductants (Ti, Si, Al) and decreased with addition of Mn and Fe. But excessive addition of reductants inhibited the boronizing due to an increase in viscosity of electrolyte. Oxidation resistance of the boronized carbon steel was improved but that of the boronized STS 430 de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