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ost pressure ratio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2초

상압에서 부탄올 젤 연료액적의 증발특성 (Evaporation Characteristics of a Butanol Gel-Fuel Droplet in Atmospheric Pressure Condition)

  • 남시욱;김혜민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3-80
    • /
    • 2021
  • Evaporation characteristics of single butanol gel fuel were investigated in different mass ratios of gellant and ambient temperatures. Gel fuel was made by adding the pure water and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HPMC) into the 1-butanol. Increase of viscosity was observed when the loading of HPMC increased. The evaporation process of gel droplet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droplet heating, micro-explosion and crust formation. Elevation of ambient temperature helped boost the evaporation in all experimental cases, but the effect was mitigated when the mass ratio of HPMC increased. Increase of HPMC weight ratio reduced the evaporation rate.

반응 메커니즘 기반의 수소 첨가 바이오가스 HCCI 엔진 성능 및 배출가스에 대한 수치 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n performances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HCCI engine fueled with hydrogen added biogas)

  • 박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41-4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가스 기반 예혼합 압축착화(Homogeneous charged compression ignition, HCCI) 엔진에 수소를 첨가하였을 때, 연소실 내부 압력, 온도 배출가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세히는 수소 첨가량과 과다공기량(${\lambda}$) 변화에 따른 연소실 압력 온도, 그리고 생성물로서의 NO, $CO_2$ 배출 특성을 화학 반응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고찰하였다. 대상의 엔진은 2300cc 바이오가스 엔진 발전기로서 압축비 13:1, 발전량 15kW 급이다. 과급압은 1.2bar 고정 조건이며, rpm은 1800rpm의 정속 조건이다. 엔진 연소 방식은 예혼합 압축 착화를 모사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바이오가스의 주요 조성인 메탄의 연소 및 산화 메커니즘에 대한 선행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연소반응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반응 메커니즘 연구 기술의 경향을 살펴보고, 본 연구에 적용 가능한 반응 메커니즘을 선정하여 해석을 진행하였다. 수소를 첨가할 때 NO는 증가하는 반면, $CO_2$등의 배출량은 감소하였고 실린더 내부 압력이 상승하며, 상승 구간이 진각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희박영역에서 수소 첨가가 가연 한계를 증가시켰다.

합성가스 스파크점화 과급 엔진에서 희박 연소를 통한 열효율 및 배기 개선 (Improvement of Thermal Efficiency and Emission by Lean Combustion in a Boosted Spark-Ignition Engine Fueled with Syngas)

  • 박현욱;이준순;나랑후 잠스랑;오승묵;김창업;이용규;강건용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0-48
    • /
    • 2021
  • Lean combustion was applied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and emission in a single-cylinder, spark-ignition engine fueled with syngas. Under naturally aspirated conditions, the lean combustion significantly improved the thermal efficiency compared to the stoichiometric combustion, mainly due to the reduction in heat transfer loss. Intake air boost was applied to compensate the low power output of the lean combustion. The gross indicated power of 24.8 kW was achieved by increasing the intake pressure up to 1.6 bar at excess air ratio of 2.2. The nitrogen oxides showed near zero level, but the carbon monoxide emission was significant.

승용 디젤엔진 HIL 시스템의 응답 특성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HIL System for Passenger Diesel Engine)

  • 정진은;노호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745-475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터보과급기 테스트 벤치, 실시간용 소프트웨어와 DAQ의 HIL 플랫폼, 그리고 Matlab/ Simulink로 작성한 엔진 모델로 구성된 HIL 시스템을 구축하고, HIL 시스템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연료 공급량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연료 공급량을 1.8944 kg/h와 4.7360 kg/h 사이에서 단계적으로 변화시키고, 시스템이 설정된 목표 공연비 32를 추종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의 결과 연료 공급량을 변화시킨 상태에서 20초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 설정된 목표 공연비에 정상적으로 수렴하였다. 또한 연료 공급량의 변화에 따라 터빈 베인 듀티비와 압축기의 부스트 압력도 적절하게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터보과급기 개발 및 성능 개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디젤기관에서의 경유-메탄올 혼합유의 연소 안전성과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bustion Stability and Characteristics for D.O - Methanol Blending Oil in Diesel Engine)

  • 김상암;왕우경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8-55
    • /
    • 2018
  • It has recently been reported that methanol fuel has been used in the product carrier with established duel fuel engine, which has been greatly reducing emissions of $CO_2$, NOx and SOx from the engine. However, to use methanol alone as fuel oil in a general diesel engine, design modification of cylinder head is needed because the ignition aid device or the duel fuel injection system is needed. On the other hand, only if the mixer is installed on the fuel oil supply line, diesel oil - methanol blending oil can be used as fuel oil for the diesel engine, but there is a problem of the phase separation when two fuels are mixed. In this study, diesel oil and methanol were blended compulsorily in preventing the phase separation with installing agitators and a fuel oil boost pump on fuel line of a test engine. Also, cylinder pressure and fuel consumption quantity were measured according to engine load and methanol blending ratio, and indicated mean effective pressure, heat release rate and combustion temperature obtained from the single zone combustion model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tent heat of vaporization of methanol on combustion stability and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combustion st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10% methanol blending oil are closest to the those of diesel oil, and it could be used as fuel oil in existing diesel engines without deterioration of engine performance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Plasma renin activity(PRA) and Active renin concentration(ARC)비교를 통한 ARC 유용성 실험 (ARC availability experiment by comparing plasma renin activity (PRA) and active renin concentration (ARC))

  • 박준모;김한철;최승원
    • 핵의학기술
    • /
    • 제22권1호
    • /
    • pp.84-89
    • /
    • 2018
  • Purpose Renin is a proteolytic enzyme synthesized and secreted from epidermal(juxtaglomerular) cells in kidney. Renin acts on the renin substrate angiotensinogen to produce angiotensin I, and then angiotensin II is produced by the ac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This causes the adrenal glands to boost blood pressure (vasoconstriction) and promote aldosterone secretion. While Plasma renin activity (PRA) is to test angiotensin I, the active renin concentration (ARC) is a renin test directly. They have different test methods and their own substrates. However, these two methods are sometimes interpreted as the same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ARC test by comparing the results between PRA and ARC.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diversity of the experiment, 26 samples were requested to test with PRA(TFB company) and ARC(Cisbio company) to other institution. We compared and analyzed PRA(Immunotech company) and ARC(Cisbio company) tests using 28 samples from September $15^{th}$ to October $13^{th}$ in 2017.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or PRA/ARC evaluated the usefulness using Microsoft Excel program by verifying a correlation analysis of Aldosterone/PRA ratio and a correlation analysis of Aldosterone/ARC ratio and conducting T-test. Results The regression equation of the PRA(Immunotech company)/ARC(Cisbio company), which was tested in the department, was y = 0.0619x + 0.4615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73. The regression equation of the PRA(TFB company)/ARC(Cisbio company), which was tested in the other institution, was y = 0.0888x + 0.3316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1. In addition, The regression equation of Aldosterone / PRA ratio and Aldosterone / ARC ratio was y = 0.875x - 11.688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87. Plus T - 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Conclusion Both tests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ut this only represents the strength and dire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ests. Furthermore, the actual results showed somewhat differences. It is presumed that the measured value was influenced by the endogenous renin group mass in the plasma, the condition of the enzyme reaction and the kind of the inhibitor. When the active renin concentration (ARC) test is performed, it is useful to distinguish between the two tests as they are complementary.

승용디젤엔진의 EGR, VGT 시스템을 위한 비선형 정적 모델 기반 피드포워드 제어 알고리즘 설계 (Nonlinear Static Model-based Feedforward Control Algorithm for the EGR and VGT Systems of Passenger Car Diesel Engines)

  • 박인석;박영섭;홍승우;정재성;손정원;선우명호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35-146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 feedforward control algorithm for the EGR and VGT systems of passenger car diesel engines. The air-to-fuel ratio and boost pressure are selected as control indicators and the positions of EGR valve and VGT vane are used as control inputs of the EGR and VGT controller. In order to compensate the non-linearity and coupled dynamics of the EGR and VGT systems, we have proposed a non-linear model-based feedforward control algorithm which is obtained from static model inversion approach. It is observed that the average modeling errors of the feedforward algorithm is about 2% using stationary engine experiment data of 225 operating conditions. Using a feedback controller including proportional-integral, the modeling error is compensated. Furthermore, it is validated that the proposed feedforward algorithm generates physically acceptable trajectories of the actuator and successfully tracks the desired values through engine experiments.

소형발사체 상단용 액체메탄 로켓엔진의 개념설계 (Conceptual Design of a LOX/Methane Rocket Engine for a Small Launcher Upper Stage)

  • 김철웅;임병직;이준성;서대반;임석희;이금오;이기주;박재성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4-63
    • /
    • 2022
  • 500 kg의 페이로드를 500 km 태양동기궤도에 이송가능한 소형발사체의 상단에 사용될 3톤급 액체로켓엔진을 설계하고 있다. 소형발사체의 1단에는 비행시험으로 검증된 75톤급 엔진을 사용한다. 상단용 엔진은 액체산소와 액체메탄을 연료로 사용되는데, 이 추진제 조합은 공통격벽탱크를 적용하여 무게 감소가 가능하고 비추력도 높다. 상단엔진의 사이클로는 저압으로 운용되어 신뢰성이 높은 팽창식 사이클을 채택했으며, 노즐 확대비 120이상에서 360초를 상회하는 비추력 성능을 보일 것으로 평가되었다. 엔진의 주요구성품인 연소기와 터보펌프는 목표 비용을 맞추기 위하여 적층제조된다. 엔진은 자가증기가압과 롤추력제어를 위하여 가열된 증기메탄을 제공하고, 이러한 기능을 가진 상단 추진기관시스템은 심우주탐사 등 다양한 임무에 확대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직장암의 방사선치료에 대한 Patterns of Care Study: $1998{\sim}1999$년도 수술 후 방사선치료 환자들의 특성 및 치료내용에 대한 분석결과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the Rectal Cancers Patterns of Care Study for the Years of $1998\~1999$)

  • 김종훈;오도훈;강기문;김우철;김원동;김정수;김준상;김진희;길학재;서창옥;손승창;안용찬;양대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22-31
    • /
    • 2005
  • 목적 : 전국의 각 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1998년과 1999년도의 2년간 직장암 진단 하에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의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인 직장암 환자의 전체적인 구성과 특성을 파악하고 치료 내용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여 국가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 환자의 기준은 1998년부터 1999년 사이에 직장 선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작한 환자로서 육안적 잔여 병소 없이 근치적으로 수술이 이루어진 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직장암이외의 다른 암의 병력이 있거나 과거에 골반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병력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각 병원별 치료환자 수에 비례하여 해당 병원의 입력 환자수를 정한 후 PCS본부의 무작위 추출 과정을 통하여 입력할 환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환자는 웹 기반 PCS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병원에서 직접 자료를 입력하였다. 결과 : 전국의 19개 병원에서 총 309명의 환자 자료가 입력되었다. 남녀 성비는 59 : 41이었으며 하단연 기준 종양의 위치는 항문연 6 cm 이내가 $46\%$로 가장 많았다. 수술 전 CEA검사는 $79\%$에서 시행되었으며 이 중 $43\%$에서 6 ng/ml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전 직장내초음파검사는 50명($16\%$)에서만 시행되었으며 CT 등을 이용한 임상적 병기판정은 274명에서 가능하였으며 stage II가 $32\%$, III가 $48\%$를 차지하였다. 수술 후 조직소견에 의한 병리학적 병기는 stage II가 $34\%$, III가 $63\%$였다. 수술의 방법은 복회음부절제수술이 $38\%$, 저위전방절제술이 $59\%$였으며, 5명의 환자에서는 원격전이가 있었으나 원발병소와 함께 절제되었다. 절제연에서 종양세포가 발견된 경우가 13예였으며, 수술 후 항암화학치료를 받은 환자는 전체의 $91\%$였고 $80\%$의 환자는 정맥주사, $9\%$의 환자는 경구항암제를 투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제는 5FU와 leucovorine의 조합이 212명($69\%$)으로 가장 많았고 시행횟수는 6회가 140예($45\%$)로 가장 많았다. 환자의 치료자세는 복와위자세가 251예($81.2\%$)로 나타났고, 치료 조사야 수는 박스형 4문조사가 75예($24.3\%$)로 가장 많았으며 3문조사(후방-양측방)가 201예($65.0\%$)로 그 뒤를 이었다. 치료 시 소장을 조사야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나 소변을 참는 등의 조치는 $40.1\%$의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선량의 처방점은 회전중심점이 140예($45.3\%$), 등선량곡선이 123예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실제 치료된 조사선량은 $180\~7,740$cGy의 분포를 보였으며 목표선량의 $90\%$이상이 투여된 경우가 287예($92.9\%$)였다. 결론 : 전국 각 병원들의 환자를 종합하여 관찰된 내용은 문헌상 권장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수술의 범위와 항암화학치료의 방법은 병원에 따라 비교적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병원의 방사선치료 내용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탓에 방사선량과 조사야의 선택에 있어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처방된 치료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는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