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oks

검색결과 3,709건 처리시간 0.024초

몽산(蒙山) 덕이(德異)의 『몽산화상육도보설(蒙山和尙六道普說)』 판본고(板本考) (A Study on the Publication of Liudao Pushuo, One of Mengshan De-yi's Works)

  • 송일기;김은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07-233
    • /
    • 2011
  • 이 연구는 중국의 송 원대 임제종(臨濟宗) 양기파(楊岐派)의 승려인 몽산(蒙山) 덕이(德異)의 저술 "몽산화상육도보설(蒙山和尙六道普說)"의 간행 현황을 파악하고 현존(現存) 판본을 분석한 것이다. "육도보설"은 현재 중국에는 없으며 우리나라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의 입장에서 육도(六道)와 사성(四聖)을 더한 십계(十界)를 내용으로한 설법집이다. 조사 결과 전국 주요 사찰에서 개판된 판본은 모두 22종이 현전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22종을 대상으로 형태 분석과 행자수를 바탕으로 계통 분석을 시도한 결과 절첩장본을 제외하고 모두 사주단변, 10종은 흑구와 내향흑어미가 쌍으로 나타나는 조선 전기의 전형적인 판식을 보이고 있었으며 계통 분석에서는 13자본계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시기 및 지역 분석에서는 15세기에서 16세기에 전라,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 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책은 고려 말에 우리나라에 전래된 이래 조선시대 15세기에서 16세기 사이에 활발히 간행된 현상을 보이고 있어 이 시기에 몽산의 선사상이 우리 불교계에 끼친 영향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상호매체성의 이론과 그 적용 - 피터 그리너웨이의 <프로스페로의 서재>를 중심으로 (A Theory of Intermediality and its Application in Peter Greenaway's )

  • 박기현
    • 비교문화연구
    • /
    • 제19권
    • /
    • pp.39-77
    • /
    • 2010
  • The cinema of Peter Greenaway has consistently engaged ques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s and particularly the relations of image and writing to cinema. When different types of images are correlated and merged with each other on the borders of painting, photography, film, video and computer animation, the interrelationships of the distinct elements cause a shift in the notion of the whole image. This analysis proposes to articulate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rtial' dimension and the 'intermedial' dimension in Peter Greenaway's film, (1991). If the interartiality is interested in the interaction between various arts, including the transition from one to another, the intermediality articulates the same type of relationship between two or more media. The interactional relationship is the same on both sides; on the contrary,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media does not show the same symmetry. All art is based on one or more media - the media is a condition existence of art - but no art can't be reduced to the status of media. This suggests that if the interartiality always involves the intermediality, this proposal may not be reversed. First, we analyse a self-conscious investigation into digital art and technology. Prosospero's Books can be read as a daring visual essay that self-consciously investigates the technical and philosophical functions of letters, books, images, animated paintings, digital arts, and the other magical illusions, which have been modern or will be post-modern media to represent the world. Greenaway uses both conventional film techniques and the resources of high-definition television to layer image upon image, superimposing a second or third frame within his frame. Greenaway uses the frame-within-frame as the cinematic equivalent of Shakespeare's paly-within-play : it offer him the possibility to analyse the work of art/artist/spectator relationship. Secondly, we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ten word, oral word and the books. Like the written word, the oral word changes into a visual image: The linguistic richness and nuances of Shakeaspeare's characters turn into the powerful and authoritative, but monotone, voices of Gielgud-Prospero, who speaks the Shakespearean lines aloud, shaping the characters so powerfully through his worlds that they are conjured before us. Specially each book is placed over the frame of the play's action, only partially covering the image, so that it gives virtually every frame at least two space-time orientations. Thirdly, we try to show how Peter Greenaway uses pictorial references in order to illustrate the context of the Renaissance as well as pictorial techniques and language in order to question the nature of artistic representation. For exemple, The storm is visualised through reference to Botticelli's : the storm of papers swirling around the library is constructed to look like a facsimili copy of Michelangelo's Laurentiana Library in Florence. Greenaway's modern mannerism consists in imposing his own aesthetic vision and his questioning of art beyond the play's meta-theatricality: in other words, Shakespeare''s text has been adapted without being betrayed.

스토리형 그림책 속의 삽화 디자인의 시간적 표현 연구 (Research on the Spat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illustration in Picture Books)

  • 한영강;김기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9-70
    • /
    • 2021
  • 본 논문은 그림책 속의 삽화가 시간적 표현에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연구 및 분석을 진행하였고, 스토리형 그림책을 주된 연구 범위로 두었다. 그림책 속의 시간을 포인트 타임, 타임라인 및 타임 리듬으로 분류하였고 시간적 표현 요소, 그림 구성, 그림 시퀀스 등의 사례를 통해 분석 결과를 얻어냈다. 우선 시간적 상징 요소는 포인트 타임과 타임 리듬을 상징하는 데 이용된다. 실물 시간 상징 요소는 시간과 시간의 연상을 불러일으키는 사물을 직접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색채의 상징 요소는 시간의 범위 내에서 객관적인 세계의 색채 변화에 대응하고 빛과 그림자의 대비현상은 하루 중의 시간적 변화에 대응한다. 빠르게 이동하는 물체는 점선이나 모호한 선으로 표현하고 정지되어 있거나, 안정적이거나, 느리게 움직이는 물체는 실선으로 묘사한다. 다음으로 그림책 속 삽화의 화면 구성은 타임라인의 내용을 표현하는데 매우 적합하며 스토리 전개의 선후 순서 혹은 인과적 관계를 표현한다. 화면 구성의 기술은 시각적 인도, 스플릿 필드(spilt field), 독서 습관에 부합성 이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림 시퀀스는 타임 라인, 타임 리듬과 공시성(synchronicity)을 표현한다. 타임라인을 표현할 때에는 시각적 논리를 이용하여 독자들에게 화면의 시간이 시간적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한다는 점을 느끼게 하며 독서 습관에 부합한다는 전제하에 시점 연결을 진행한다. 시간의 공시성 및 빠른 리듬과 느린 리듬을 표현할 때 디자인 기술은 독자의 독서 습관에 부합하는 동시에 화면의 페이지 수를 컨트롤해야 하는데 내용을 전달하는 데 있어 펼침 페이지(spread page)의 상하 및 좌우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여 디자인 해야 한다. 시간을 표현한 그림책 삽화의 본질은 공간을 시간으로 표현하는 것이며 공간 속 요소의 서로 다른 조합과 시각적 인도를 통해 시간적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Claire McCardell의 Modernism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rnism of Claire McCardell)

  • 전혜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12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rn architecture and the works of Claire McCardell in respect to Modernism. Data decribed in this article are selected from costume books-time-New York Times-Reports and art books. Modernism of modern architecture stimulate Claire McCardell to use simplication practicality and funtionality. The Claire McCardell's works represented the liberation of the modern american woman in her capability to be collegiate but stylish, functiional and fashionable, sport-minded but elegant.

  • PDF

중국 및 조선시대 산학서에 나타난 원주율과 원의 넓이에 대한 고찰

  • 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6
    • /
    • 2003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Chinese and Korean evaluate $\pi$ and measure tile area of circle by reviewing the problems in the old mathematical books. The books are Gu-Jang-San-Sul(The nine chapters on tile mathematical art) for China and Gu-Il-Jib for Chosun Dynasty. The result shows that our ancestors used the different values of ${\pi}$ in relation to the accuracy and the various methods for measuring the area of circle.

  • PDF

동의보감 옹저론(상)의 인용문헌에 대한 연구 (The Studies on References Cited in Ong-Juh Gathering of Dongeuibogam)

  • 최정우;국윤욱;정한솔;이광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27-64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ies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original text in Dongeuibogam and the text of reference books in Dongeuibogam. So, we selected the part of the Ong-Juh(carbuncle) Gathering of Dongeuibogam, made a comparative study of the original text and the text af reference books cited in Dongeuibog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hapters Name cited from Somun(素問) were 'Somun-sengitongchungron'(素問·生氣通天論), 'Somun-Kiguelron'(素問·氣厥論), 'Somun-kihulron'(素問·氣穴論) 'Somun-megyojungmiron'(素問·脈要精微論), 'Somun-yungyangbulron(素問·陰陽別論), 'Somun-yungyangung sangderon'(素問·陰陽應象大論), etc. The Chapters Name cited Youngchu(靈樞) were 'Youngchu-ong-juh(靈樞·癰疽),' Youngchu-okphan'(靈樞·玉版), 'Youngchu-mekdo'(靈樞·脈度), etc. There were seven errors in the name of reference books. The original text of reference books was not cited as it were and some paragraph and characters were omitted as far as the meaning was not changed or added to make the meaning clearer We though it was supposed that 'yorjatu(女子妬)' was changed to 'yorjagu' in 'Jungongjuhsajibubun(定癰疽死之部分) , 'megraechaesab'(脈來滯澁) was changed to 'megraedaesab' in 'ongjuhmeg'(癰疽脈). The drugstuffs consisted of the prescription were mainly arranged in quantity order.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의 효과 측정 영역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dentifying Area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Library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 임여주;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9-10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어린이 대상 독서프로그램의 효과를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서프로그램의 성과 측정 영역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3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에 참여하는 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어린이들, 프로그램 담당자들과 면담 및 관찰을 하였고 독서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에 참가한 어린이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독서프로그램의 효과 측정 영역이 책 읽기와 책에 대한 태도, 도서관과 사서에 대한 인식, 독서프로그램의 참여도, 소리 내어 읽는 능력,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 공격성, 자신의 감정표현 능력, 발표력, 집중력, 잠재력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서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사서의 적극적인 노력, 지역아동센터의 환경, 학년 구성, 강사의 수업 구성 방식, 독서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책의 선정, 독서프로그램 참가 어린이의 독서능력 및 독서에 대한 관심, 자유시간의 제공 여부를 들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