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ny involvement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초

개방성 분쇄 함몰 두개골절의 즉각 골편 복위술 (Immediate Replacement of Bone Fragments in Compound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s)

  • 조용준;김영옥;송준호;황장회;김성민;안명수;오세문;안무업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5호
    • /
    • pp.668-674
    • /
    • 2000
  • Objective : The classic and accepted surgical method of compound comminuted depressed skull fractures (FCCD) involves total resection of all the contaminated bone and fragments at the fracture site. A second operation for cranioplasty is then performed at a later date. However, we have believed that primary repair of these bony defects can be achieved by the replacement of bone fragments at the time of the initial debridement, and this can be accomplished without danger to patient. The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surgical results to asses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also propose the selection criteria of replacement of fractured bone fragments as a primary procedure in FCCD. Materials and Methods : The authors analyzed the data extracted from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al findings in 22 of 71 patients with FCCD, who underwent immediate replacement of fractured bone fragments between April 1993 and October 1998.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3.7 months.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operation included the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severity, regardless o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r dural violation, which presented in hospital within 24 hours of injury. Results : The ages of the patients varied from 4 to 63 years, and there were 20 males and 2 females. Seventeen of 22 patients were fully conscious on admission and the others also had relatively good Glasgow coma scales. Sixteen fractures were located in the frontal area, 9 with involvement of the frontal sinuses, and 6 in the parietal and temporoparietal areas. Of the 22 patients, 8(36.3%) had dural lacerations with 3 of these requiring patching with pericranium, and 12(54.5%) had intracranial hematoma requiring wide craniotomy. The degree of wound contamination was also variable. Fifteen patients had relatively clean wounds, while seven(31.8%) had seriously contaminated wounds with soil, sand, hair, and wood. Only one patient(4.5%) developed infection, and the bone fragments were removed. All wounds healed primarily without pulsatile defect, the skull has remained solid, and no complications have occurred, except the infected case. Conclusion : It is proposed that bone fragments removal for FCCD, regardless of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r dural violation, is not necessary and that primary bone fragments replacement avoids a second operation for cranioplasty.

  • PDF

흉요추부에서 발견된 경막외 해면상 혈관종 - 증례 보고 - (A Thoracolumbar Pure Spinal Epidural Cavernous Hemangioma - A Case Report -)

  • 최병삼;김주연;이승준
    • 대한척추외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69-174
    • /
    • 2018
  • 연구계획: 증례 보고 목적: 신경인성 종양과 유사한 흉요추부의 경막외 해면상 혈관종 환자를 보고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뼈에 침습이 없는 경막외 해면상 혈관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제한된 문헌 보고만이 존재한다. 대상 및 방법: 53세 여자 환자가 내원 한달여 전부터 시작된 좌측 하지의 감각저하를 동반한 저린 느낌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내원시 시행한 신경학적 검진에서 기타 다른 신경학적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자기공명영상에서는 흉추 11-12번간 좌측 추간공에 $2{\times}0.5cm$ 크기의 종괴가 관찰되었다. 수술을 시행하여 이를 완전 적출하였다. 결과: 병리 검사에서 해면상 혈관종이 확진되었다. 수술 부위의 약한 통증을 제외하고, 추적 관찰 2년동안 추가적인 신경학적인 증상 발생 없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수술 후 2년째에 촬영한 MRI에서 종양의 재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척추의 경막외 해면상 혈관종은 매우 드문 질환이며, 다른 경막외 병변들과 감별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수술적 치료의 좋은 예후를 보이는 점을 감안하면, 경막외 병변의 감별진단시 이를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상완골 간부 악성 병적골절의 비관혈적 고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Closed Interlocking Intrmedullary Nailing of Metastatic Diaphyseal Fractures of the Humerus)

  • 박원종;이승구;강용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1
    • /
    • 2003
  • 목적: 전이암 혹은 악성 혈액질환에 의한 상완골의 병적골절의 비관혈적 고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삽입술에 대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이암 혹은 다발성 골수종에 의한 상완골 병적골절 혹은 임박골절로 치료받은 29명중 비관혈적 정복 및 고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로 치료 받은 13명 16례를 대상으로 병적기록과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였다. 통증 완화와 기능 회복의 평가는 Perez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우수, 양호, 보통, 불량으로 하였다. 결과: 원발암은 다발성 골수종 4명, 폐암 3명, 유방암 2명, 그 외에 선암(adenocarcinoma), 신장암, 위암 및 대장암이 각각 1명이었다. 2명에서는 상완골의 병적골절 후 원발암이 진단되었고, 11명에서는 원발암 진단 후 최소 1개월, 최장 10년, 평균 28.9개월에 상완골 병적골절이 발견되었다. 상완골로의 전이가 발견된 후 최단10주(신장암), 최장 4년 7개월(다발성 골수종), 평균 11.7개월간 생존하였다. 상완골 전이 16례중 13례에서 보통이상의 통증 완화와 기능회복을 보였으나, 수술 후 골 파괴가 진행되었거나 동측 수부로 전이한 3례에서는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이들 3례와 수술 후 3개월 이전에 사망한 3례를 제외한 10례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수술 후 감염, 신경마비 등 수술과 관계되는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전이암 혹은 악성 혈액질환에 의한 상완골 병적골절은 골절전의 기능상태, 원발암의 종류, 예상되는 생존기간, 환자의 전신상태, 전이암의 국소 및 전신 침범정도에 따라 수술방법을 달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