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ne metastases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9초

Metastasis of Rhabdomyosarcoma to the Male Breast: a Case Report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 Kim, Myeongjong;Kang, Bong Joo;Park, Ga Eun;Kim, Sung Hun;Lee, Jeongmin;Lee, Ahwo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3권1호
    • /
    • pp.75-80
    • /
    • 2019
  • Metastasis of rhabdomysarcoma to the breast is a very rare manifestation in adult males. Herein, we report a case of metastasis from embryonal rhabdomyosarcoma in the left hypothenar muscle that presented as a breast mass in a 38-year-old man, who four months later expired because of multiple bone metastases related to pancytopenia. We describe the various imaging findings, including mammograms, ultrasonography, computerized tomography (C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f this rare disease. The various imaging findings of this lesion could be helpful for future diagnosis of male breast lesions.

Diagnostic Role of Serum Free-to-Total Prostate Specific Antigen (PSA) Ratio in Prostate Cancer with Serum Total Concentration of PSA below 4 ng/mL

  • Chang, Chih-Chun;Lee, Yi-Chen;Tsai, Huang-Wen;Yii, Shyi-Chun;Yen, Tzung-Hai;Chu, Fang-Ye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3호
    • /
    • pp.5261-5264
    • /
    • 2015
  • Purpose: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erum free-to-total prostate specific antigen ratio (%fPSA) for the detection of prostate cancer (PCa) in men with different serum total PSA (tPSA) categori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3, a total of 225 patients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 underwent tPSA and %fPSA measurements. Histological examination with calculation of Gleason score and whole body bone scans were performed in identified cases of PCa. Results: PCa was diagnosed in 44 (19.6%) patients and the remaining 181 patients had benign prostate disease. PCa was detected in 5 (23.8%), 13 (8.7%) and 26 (47.3%) cases with tPSA level ranges ${\leq}4ng/ml$, 4 to 10 ng/ml and >10 ng/ml, respectively. The average Gleason score was $7.2{\pm}0.2$. Some 6 (13.6%) out of 44 PCa patients had bone metastases. The sensitivity was 80% and specificity was 81.3% at the cut-off %fPSA of 15% in PCa patients with a tPSA level below 4 ng/mL. A lower %fPSA was associated with PCa patients with Gleason score ${\geq}7$ than those with Gleason score ${\leq}6$ ($11.7{\pm}0.98$ vs. $16.5{\pm}2.25%$, P=0.029). No obvious relation of %fPSA to the incidence of bone metastasis was apparent in this study. Conclusions: The clinical application of %fPSA could help to discriminate PCa from benign prostate disease in men with a tPSA concentration below 4 ng/mL.

Unusual Tc-99m MDP Uptake in the Keloid Developed after Subtotal Gastrectomy

  • Lim, Seok-Tae;Park, Soon-Ah;Sohn, Myung-Hee;Yim, Chang-Yeol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36-437
    • /
    • 2000
  • A 63-year-old male who had subtotal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three months ago underwent Tc-99m bone scintigraphy for the evaluation of skeletal metastases. He had no symptoms such as fever, tenderness, or wound discharge. On physical examination, the surgical scat along the midline of the upper abdomen had keloid formation and there was no radiographic evidence of calcification. Bone scintigraphy (Fig. 1A & 1B) demonstrated all unusual linear increased uptake along the midline of the upper abdomen that corresponded to the,skin incision for subtotal gastrectomy. Usually, an incisional scar will not be visualized in Tc-99m methylene diphosphate (MDP) scintigraphy beyond two weeks after surgery.$^{1)}$ Upon reviewing the literature, there were only a few reports where localization of Tc-99m MDP in surgical scars were found two months after surgery.$^{2)}$ It was also reported that a few cases with Tc-99m MDP uptake in the keloid scar developed after surgery. Although there are several potential mechanisms that may explain the uptake of Tc-99m MDP in scar tissue, the primary mechanism in older scars is suggested to be a result of pathological calcification.$^{2)}$ Siddiqui et al$^{3)}$ suggested it could be due to microscopic calcification in small resolving hematomas. However, the primary mechanism in keloid scar is not well-known. We should obtain oblique or lateral views to differentiate the uptake in healing surgical scars from the artifactual uptake.

  • PDF

The Role of Stereotactic Radiosurgery in Metastasis to the Spine

  • Sohn, Se-Il;Chung, Chun-Kee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1권1호
    • /
    • pp.1-7
    • /
    • 2012
  • Objective :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spinal metastases are increasing, and although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metastatic tumors of the spine has been well established, the same cannot be said about the role of stereotactic radiosurgery. Herein, the authors present a systematic review regarding the value of spinal stereotactic radiosurgery in the management of spinal metastasis. Methods : A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of spinal metastases was undertaken. Grades of Recommendation, Assessment, Development, and Education (GRADE) working group criteria was used to evaluate the qualities of study datasets. Results : Thirty-one studies met the study inclusion criteria. Twenty-three studies were of low quality, and 8 were of very low quality according to the GRADE criteria. Stereotactic radiosurgery was reported to be highly effective in reducing pain, regardless of prior treatment. The overall local control rate was approximately 90%. Additional asymptomatic lesions may be treated by stereotactic radiosurgery to avoid further irradiation of neural elements and further bone-marrow suppression. Stereotactic radiosurgery may be preferred in previously irradiated patients when considering the radiation tolerance of the spinal cord. Furthermore, residual tumors after surgery can be safely treated by stereotactic radiosurgery, which decreases the likelihood of repeat surgery and accompanying surgical morbidities. Encompassing one vertebral body above and below the involved vertebrae is unnecessary.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stereotactic radiosurgery are generally self-limited and mild. Conclusion : In the management of spinal metastasis, stereotactic radiosurgery appears to provide high rates of tumor control, regardless of histologic diagnosis, and can be used in previously irradiated patients. However, the quality of literature available on the subject is not sufficient.

우측 견관절통 치료 중 발견된 전이된 폐암 1예 -증례보고- (Right Shoulder Pain due to Metastatic Lung Cancer -A case report-)

  • 정영호;우승훈;전승규;이우용;임윤희;유병훈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1권2호
    • /
    • pp.164-167
    • /
    • 2008
  • Frozen shoulder is known to be a self-limited disease, and it is associated with chronic pain and limitation of joint movement. Although its etiology is still unknown, frozen shoulder is associated with several diseases. The diagnosis is made based on the medical history,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and exclusion of other shoulder pathologies. The skeleton is one of the most common sites of metastasi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incidence of bone metastases in lung cancer patients is approximately 30-40%, and the median survival time of patients with such metastases is 6-7 months. We experienced a case of a 77-year-old female patient who complained of right shoulder pain and limited joint mobility, and these symptoms were due to metastatic lung cancer in the shoulder.

골 전이암에서 고식적 방사선치료의 효과 (Palliative Effect of Radiation Therapy in Management of Symptomatic Osseous Metastases)

  • 신세원;김성규;김명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1호
    • /
    • pp.102-109
    • /
    • 1992
  • 1986년 5월부터 1991년 4월까지 만 5년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골 전이에 의한 통증제거를 목적으로 고식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환자의 남녀의 비는 2:3으로 여자가 많았으며, 40대이상의 환자가 전체의 80%를 차지하였다. 골 전이를 일으킨 원발병소는 유방암이 5명(25%)으로 가장 많았으며, 폐암과 위암은 각각 3명(15%), 비인강암은 2명(10%)으로 전체의 65%를 차지하였으며 원발병소를 알 수 없는 경우가 4명(20%)이었다. 골 전이의 해부학적인 분포는 척추 8명(40%), 늑골 2명(10%), 대퇴골 2명(10%)이었으며, 다발성 골 전이는 6명(30%)이었다. 병리조직화적 분류상 위선암 및 폐선암이 7명(35%), 침윤성 유방암이 5명(25%), 편평세포암이 4명(20%)이었다. 방사선치료는 20명중 9명(45%)에서 단독으로 시행되었으며, 항암제와 병용한 환자는 6명(30%),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는 4명(20%)이었고, 외과적 절제술후 항암제와 방사선치료를 병용한 환자는 1명(5%)이었다. 시간변화에 따라 방사선 치료가 한 cycle동안만 시행된 환자는 10명(50%), 다른 부위에 추후 발생 하여 두 cycles동안 시행된 환자는 5명(25%), 3 cycles와 4 cycles동안 시행된 환자는 각각 2명(10%) 이었고, 5 cycles동안 시행된 환자는 1명(5%)이었다. 총 조사선량이 15Gy 미만이 2명(10%), 15에서 29Gy가 3명(15%), 30에서 44Gy가 12명(60%), 45Gy 이상이 3명(15%)이었다. 통증의 완전제거는 29Gy 미만에서는 없었고, 30Gy 이상에서는 무반응이 없었다. 30에서 44Gy치료한 경우에 12명중 9명(75%)에서 완전해소를 보였고 나머지 3명(25%)은 부분해소를 보였다. 한편 45Gy이상 치료한 경우에 3명 전원이 완전제거를 보였다(p>0.05). 방사선치료후 생존기간은 29Gy 미만에서는 3개월 미만이었으나, 30Gy이상에서는 모두 3개월이상을 생존하였다. 45Gy 이상 치료한 3명중 2명(66.7%)이 12개월 이상 생존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골 전이에 의한 통증의 완화는 총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좋은 반응을 보였고, 총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생존기간의 연장에도 도움이 되었다. 비인강암에의한 늑골 전이의 수술적 제거후 항암제와 방사선치료를 병행하였던 1명의 환자는 36개월이상 생존하고 있으므로 말기암 환자에서도 보다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하면 생존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치은으로 전이된 소세포 폐암 1예 (A Case of Small Cell Lung Cancer Metastasis to the Gingiva)

  • 이규승;이연선;권선중;안진영;김명훈;박희선;강동원;김근화;정성수;송규상;김주옥;김선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1호
    • /
    • pp.65-69
    • /
    • 2001
  • 폐암의 치은에의 전이는 매우 드물게 발생되는 질환으로 아직 국내보고는 없었다.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및 조직검사를 통하여 치은으로 전이된 소세포 폐암으로 진단되어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를 받았으나 1년 후 사망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유방암 환자에서 근치적 유방 절제술 후 재발 발견에 대한 CA 15-3의 역할 (The Role Of Tumor Marker CA 15-3 in Detection of Breast Cancer Relapse After Curative Mastectomy)

  • 현인영;김인호;이문희;김철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11-317
    • /
    • 2004
  • 목적 : 유방암 환자에서 근치적 유방 절제술 후 재발의 발견에 대한 CA 15-3의 역할을 평가하고 재발된 환자에서 전이 부위에 따른 CA 15-3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CA 15-3 값이 측정된 환자 중 원발성 유방암으로 근치적 유방 절제술을 시행 받았으며 분석하고자 하는 모든 임상적, 병리학적 인자에 대한 정보가 의무 기록에 기재되고 최소한 3개월간 외래 추적이 가능하였던 20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CA 15-3은 IRMA 15-3 키트(CIS BIO INTERNATIONAL, France)로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정상 상한값을 30 U/ml으로 정하였다. 결과: 근치적 유방 절제술 후 재발을 진단하는 CA 15-3의 진단 성적은 예민도 31%(5/16), 특이도 100%(186/186), 양성 예측도 100%(5/5), 음성 예측도 94%(186/197)이었다. 재발 환자에서 전이 부위에 따른 CA 15-3의 진단 성적을 비교하면 간전이가 관찰된 환자의 CA 15-3값은 모두 상승하여 간전이의 진단에 대한 CA 15-3의 예민도는 100%로 매우 좋았다. 그러나 골전이 또는 국소지역전이만 관찰된 환자의 CA 15-3 값은 정상으로 골전이 또는 국소지역전이의 진단에 대한 CA 15-3 검사는 유용하지 않았다. 결론: 유방암 환자에서 근치적 유방 절제술 후 재발의 발견에 대한 CA 15-3의 진단 성적은 매우 좋은 특이도를 보였으나 예민도는 낮았다. 그러나 비교적 예후가 불량하다고 알려진 간전이로 첫 재발한 환자의 CA 15-3 값은 모두 증가되어 유방암 환자에서 CA 15-3의 측정은 간전이 발견에 매우 유용하였다.

Marjolin 궤양으로 발생한 편평 상피암의 치료결과 (Outcomes of Treatment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riginating as a Marjolin's Ulcer)

  • 김종길;유창은;김정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
    • /
    • 2012
  • 목적: Marjolin 궤양으로 발생한 편평 상피암의 치료결과에 대해 원발성 편평 상피암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Marjolin 궤양에 의한 편평 상피암으로 치료받았던 1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같은 기간 치료받았던 원발성 편평 상피암 20예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1.2세였으며, 남자 24예였고, 여자가 10예였다. 두 군간의 발생 부위, 조직학적 분류, 병기, 치료 방법, 전이, 재발, 생존율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54.8개월(12-168개월)이었다. 국소 재발은 6예에서 발생하였고, 5예는 Marjolin 궤양 군에서, 나머지 1예는 원발성 편평 상피암 군에서 발생하였다. 최초 진단 후 국소 재발까지의 평균 기간은 9개월(2-20개월)이었다. 전이는 총 6예에서 발생하였는데 이들 중 2예(14.3%)는 Marjolin 궤양 군에서, 나머지 4예(20.0%)는 원발성 편평 상피암 군에서 발생하였다. 전이 또는 국소 재발은 총 10예에서 발생하였는데 이들 중 6예는 Marjolin 궤양 군에서, 나머지 4예는 원발성 편평 상피암 군에서 발생하였다. 5년 무병 생존률은 Marjolin 궤양 군에서는 64.3%였고, 원발성 군에서는 95%였다. 결론: Marjolin 궤양에 동반된 편평 상피암은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높은 재발율 및 사망률을 보이므로, 치료 결과를 향상시키는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전이성 골종양의 역학적 연구 (An Epidemiologic Study of Metastatic Bone Tumor)

  • 김재도;이덕희;박정호;손영찬;홍영기;손정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8-44
    • /
    • 1995
  • 1988년부터 1993년까지 최근 6년간 고신의료원에서 전이성 골종양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았던 환자중 조직학적으로 확진되었던 4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통하여 연령별, 성별, 골전이 부위별 분포와 원발성 암에 따른 전이의 양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전이를 가장 잘 일으키는 원발성 암은 폐암(29.5%), 위암(15.3%), 유방암(11.3%), 자궁경부암(5.3%), 간암(4.8%)등의 순이었으며, 원발 부위 미상의 전이성 골종양은 7.7%였다. 2. 연령 분포는 40대 이후에서 발생한 경우가 85.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54.8세였다. 남자의 경우 50대(39.4%), 60대(27.5%), 40대(14.3%)의 순이었으며, 여자의 경우는 50대(31.9%), 40대(21.7%), 60대(20.5%)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3. 골전이 부위별 분포는 척추(25.2%), 골반골(16.0%), 늑골(15.3%), 대퇴골(14.5%), 두개골(8.3%), 상완골(5.5%), 견갑골(5.1%)등의 순이었으며, 골전이의 분포 양상은 체간골이 75.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근위부의 장관골이 19.8%, 슬관절과 주관절 이하의 원위 골격계가 4.4%의 순으로 나타났다. 척추 중에서는 흉추(42.1%), 요추(39.1%), 경추(13.2%), 천추(5.6%)의 순으로 나타났다. 4. 골전이 부위별 분포는 원발성 암의 종류에 관계없이 다발성 전이(73.1%)가 단발성 전이(26.9%) 보다 많았다. 5. 원발성 종양에 따른 분포 양상은 폐암의 경우 연령 분포는 50대, 60대, 40대의 순이었고, 남녀비는 2.3 : 1이었으며, 골전이는 척추, 골반, 대퇴골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위암의 경우 연령 분포는 50대, 60대, 40대의 순이었고, 골전이 부위는 척추, 대퇴골, 골반의 순이었다. 유방암의 경우 연령 분포는 40대, 50대, 30대의 순이었고, 골전이 부위는 척추, 늑골, 골반의 순이었다. 6. 원발 부위 미상의 전이성 골종양의 경우는 60대가 가장 많았으며, 30대부터 70대까지 분포되어 있었다. 골전이 부위는 척추, 대퇴골, 골반골, 늑골, 견갑골의 순이었으며, 조직학적으로는 선암, 편평세포암이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