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ne fragment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초

Early Reconstruction of Orbital Roof Fractures: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utcomes

  • Kim, Jin-Woo;Bae, Tae-Hui;Kim, Woo-Seob;Kim, Han-Koo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9권1호
    • /
    • pp.31-35
    • /
    • 2012
  • Background : Orbital roof fractures a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a high energy impact to the craniofacial region, and displaced orbital roof fractures can cause ophthalmic and neurologic complications and occasionally require open surgical interven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utcomes of orbital root fractures combined with neurologic injuries after early reconstruction. Methods :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08, 45 patients with orbital roof fractures were admitted; among them, 37 patients were treated conservatively and 8 patients underwent early surgical intervention for orbital roof fractures. The type of injuries that caused the fractures, patient characteristics, associated fractures, ocular and neurological injuries, patient management, and treatment outcomes were investigated. Results : The patients underwent frontal craniotomy and free bone fragment removal, their orbital roofs were reconstructed with titanium micromesh, and associated fractures were repaired.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11 months. There were no postoperative neurologic sequelae.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scans showed anatomically reconstructed orbital roofs. Two of the five patients with traumatic optic neuropathy achieved full visual acuity recovery, one patient showed decreased visual acuity, and the other two patients completely lost their vision due to traumatic optic neuropathy. Preoperative ophthalmic symptoms, such as proptosis, diplopia, upper eyelid ptosis, and enophthalmos were corrected. Conclusions : Early recognition and treatment of orbital roof fractures can reduce intracranial and ocular complications. A coronal flap with frontal craniotomy and orbital roof reconstruction using titanium mesh provides a versatile method and provides good functional and cosmetic results.

포메라니언 종에서 발생한 외상성 뇌손상 증례보고; 임상적, 전산화 단층촬영, 부검 소견 (Traumatic Brain Injury in a Pomeranian Dog: Clinical, Computed Tomography, and Necropsy Findings)

  • 이희천;최을수;조규완;강병택;김주원;유치호;서정향;정동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79-583
    • /
    • 2010
  • 18년 령의 수컷 포메라니언견이 낙상으로 인한 외상성 머리 손상으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 및 신경검사 후 뇌손상이 의심되었다. 두부 방사선 쵤영에서 우측 후두골 부위에 골절로 인한 뼈조각이 관찰되었다. 전산화 단층촬영상에서 두개 내 출혈 소견이 확인되었다. 두부 외상에 대한 처치에도 불구하고 환자는 내원 수 시간 후 폐사하였고 부검을 실시하였다. 육안 검사 상 대뇌 피질의 출혈 소견과 부종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전산화 단층 촬영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증례보고는 개에서 발생한 심한 외상성 뇌손상의 임상적 특성,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적 특징, 부검 소견, 그리고 조직학적 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다.

무지 지절에 발생한 관절내 유리체 - 증례보고 - (Loose Body in the Interphalangeal Joint of the Big Toe)

  • 배우한;문정석;이우천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4-26
    • /
    • 2009
  • 9개월 전에 우측 제1 족지를 다친 이후에 발생한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방사선 소견상 특별한 진단없이 타 병원에서 보존적 치료를 하였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제1 족지의 지절을 족저굴곡 하거나 족배굴곡 할 때 관절내 통증이 지속되어 전원 되었다. 단순 방사선 소견상 제 1 족지 지절 부위에 미세한 골편이 관찰 되어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초음파 검사상 제1 족지 지절 관절내에 2개의 유리체가 관찰되었다. 수술적 제거술을 시행하여 증상이 치유 되었기에 이에 저자들은 무지 지절 유리체의 초음파 소견을 보고 하고자 한다.

  • PDF

스포츠 선수에서 발생한 내과하 부골증 (Os Submalleolare in Sports players)

  • 이경태;양기원;김재영;임태강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18-222
    • /
    • 2003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Os submalleolare as an any ossicles below medial malleolus of tibia an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clinical a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o evaluate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of Os submalleolare in sports player group.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wo patients with Os submalleolare were identified between November, 1, 1998 and June, 30, 2002. Results: The mean age was 18.3 years. All patient were male and soccer players comprised 71%(20 cases). Associated disease were 8 cases(29%) of chronic ankle instabilities, one case(4%) of anterior impingement syndrome and one (4%) of plantar fascitis. The most common clinical symptom was pain during walking and sports activity and sign was tenderness around medial malleolus. Only simple radiograph could reveal presence of ossicle and differentiate with acute fracture. If symptom and sign obscured, Bone scan(7 cases) and MRI(3 cases) identify causes of pain and tenderness. As a surgical treatment, all bony fragment caused symptom and sign were eliminated and medial collateral ligament was reattached meticulously. Associated chronic ankle instability were present, modified Brostrom procedure was done simultaneously. On follow-up, The symptomatic pain were wholly disappeared at average 2.2 months (1-6months) after operation. On one year follow-up, all patients have been daily life without any complaints and have gone back to the game within three months. Conclusion: as submalleolare have relatively rare incidence in sports players and most common clinical symptom and sign is tenderness on medial malleolar area of ankle, can be diagnosed both physical examination and plain X-ray film. As a treatment, Removal of ossicle and reattachment of MCL could obtain excellent or good results.

  • PDF

Antiglide 금속판을 이용한 족관절의 외과 골절의 치료 (The Anti-glide Plate in the Treatment of Lateral malleloar fracture)

  • 김도영;신주호;조원호;황현철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8-22
    • /
    • 2001
  • Most of Danis-Weber type B fracture has an oblique fracture plane proximal posteriorly to distal anteriorly. In these cases, the lateral plate has become widely accepted. However some limitation to the use of the lateral plate exist. The plate must be bent accurately and the screws in the distal fragment must be unicortical to avoid penetration into the joint, predisposing it to poor fixation in the osteoporotic bone. In 1982, Brunner and Weber introduced the antiglide plate for fixation of the shaft oblique fracture of the distal fibula, but it has not widely used. The author reviewed 21 cases treated by antiglide plate fixation from March, 1995 to March, 1999 which could be follow-up more than 1 year. We analysed the result radiographically and clinically using Ankle-Hindfoot scale(100 % total) of the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The results obrained were as follows: 1. All fracture were united at average 8 weeks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2. According to the Ankle- Hindfoot scale, 8 cases were above 90 points, 11 cases were beet ween 80 and 89 points and two cases were below 80 points. 3. One case had an injury to intermediate dorsal cutaneous nerve.

  • PDF

후과 골절이 동반된 경골 원위부 나선상 골절의 치료 (Treatment of Distal Tibial Spiral Fractures Combined with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 김영성;이호민;김종필;정필현;박순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17-325
    • /
    • 2021
  • 목적: 본 연구는 족관절 후과 골절을 동반한 경골 원위부 나선상 골절에서 경골에 대한 고정술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과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의 기능적, 방사선학적 결과 및 후과 골절에 대한 고정술 유무에 따른 기능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족관절 후과 골절을 동반한 경골 원위부 나선상 골절(AO Foundation/Orthopaedic Trauma Association 분류 42-A1, B1, C1)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을 시행한 16명을 intramedullary nailing (IMN)군으로,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14명을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MIPO)군으로 분류하여 양 군의 골유합 시기, 술 후 각 정렬, 족관절 후과 골편의 전위 정도 및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점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각 군에서 후과 골절에 대한 고정술 유무에 따른 족관절 관절 운동 범위 및 AOFAS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골유합 시기는 IMN군에서 21.8주, MIPO군에서 23.1주였다(p=0.500). 최종 추시 평균 각 변형은 IMN군에서 관상면 1.8°, 시상면 1.6°를 보였고, MIPO군에서 관상면 1.2°, 시상면 1.7°를 보였다(p=0.131, p=0.850). 술 후 및 최종 추시 방사선 사진상 양 군 모든 환자에서 족관절 후과 골편의 전위는 없었고, 최종 추시에서 족관절 관절염은 없었다. 임상적 평가로 최종 추시에서 AOFAS 점수는 IMN군에서 평균 88.0점, MIPO 군에서 평균 87.6점을 보였다(p=0.905). 각 군에서 후과 골절에 대한 고정술 유무에 따른 족관절 관절 운동 범위 및 AOFAS 점수를 비교하였고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족관절 후과 골절을 동반한 경골 원위부 나선상 골절의 치료에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과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은 영상학적, 임상적 결과에서 차이가 없이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두개봉합 발육 연구를 위한 형질변환 쥐의 개발 : 어퍼트 신드롬 (Generation of a transgenic mouse model to study cranial suture development; Apert syndrome)

  • 이기준;;백형선;박영철;박광균;나현덕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85-497
    • /
    • 2003
  • 악안면 구조의 형태와 기능은 대개 유전자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분자생물학의 발달로 인해 정상 성장과 형태 형성에 중요한 유전자에 대한 정보가 밝혀지고 있고 이는 현대 두개안면 생물학의 근간이 되고 있다. 밝혀진 사실들 중 주목할만한 것은 섬유아세포 성장인자2 (FGFR2)에 서 의 특이한 돌연변이 가 어 퍼트 증후군 (Apert syndrome) 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어퍼트 증후군은 두개 관상봉합의 조기 유합과 사지의 기형으로 특징지워진다. 그 중 특히 두개골 유합증의 병인과 형성기전을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유전자 변환기법을 시도하여 어퍼트 증후군의 유발인자로 알려진 FGFR2에 서 의 단일 아미노산 치 환 돌연변이를 재연한 인위 유전자구조물을 제작하고 이를 미 세주입법으로 쥐의수정란에 삽입하여 형질변환 쥐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조직이 아닌 골조직에서 특이하게 활성화되는 전사촉진자(promoter, 제 I형 교원질 유전자의 전사촉진자)를 이용하여 골조직에서만 돌연변이 유전자의 발현을 재현함으로써 이 시도가 쥐에서 두개골유합증을 유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초기 표현형 분석을 통해 어퍼트 환자에서 기대되는 두개골 유합증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삽입된 변환유전자가 원활히 돌연변이 단백질을 생산하고 기능의 증가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동물 모델을 이용함으로써 이제 정상적 혹은 비정상적 두개골 및 봉합 발육에서의 FGFR2의 역할을 연구하는 것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수술적 요법 (Operative treatment for Proximal Humeral Fracture)

  • 박진영;박희곤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68-175
    • /
    • 2003
  • 근위 상완골 골절은 골절의 형태에 따라 크게 관절편 또는 해부학적 경부, 대 결절, 소 결절, 상완골 간부 또는 외과적 경부의 4개의 골절편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Neer의 근위 상완골 골절의 분류는 골절선에 의해 골절편을 나누는 분류가 아니며, 1 cm이상전이나 45$^{\circ}$ 이상의 각형성 이 있는 경 우를 전 이 골절편으로 생각하였다. 골절에 대한 관혈적 정 복 및 내고정술의 일차적 적응증은 골다공증이 없는 젊은 환자에서 발생된 튼튼한 내고정물을 시행할 수 있는 삼분 골절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위해 술후 오랜 기간동안 시행할 재활치료에 잘견딜수 있는 활동력 이 좋은 환자여야 한다. 수술적 치료의 절대적 적응증은 개방성 골절 ,혈관이 나 신경 손상이 동반될 때 , 정복이 불가능한 골절 탈구등이다. 반대로 환자가 골다공증이 심하거나, 근위 상완 골절편의 분쇄정도가 심하며 , 튼튼한 내고정을 시행할 가능성 이 희박한 나이가 많은 경 우에는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술보다 일차적 인공삽입물을 이 용한 관절성형 술을 시행한 후 조기 재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완골 근위부 골절의 수술적 요법에는 다양한 수술 기법과 이에 따른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지속적 이고 체계적 인 재활 치 료가 꼭 필요하다. 여러 수술 기 법 중 관혈적 정복 및 장력 대 강선 기법을 시행할 때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 을 수 있다. 이 방법 은 수술적 기법이 어렵지 않고, 골에 대한 고정과 함께 회전근 개의 건부착 부위에 대한 봉합을 추가할 수 있으나 역시 여러 가지 합병증이 있으므로 골절의 양상이 나 환자의 상태 ,환자의 활동력 등을 고려하여 치료 방법을 결정하여야 할것으로 사료된다.EX>46N으로, 슬개건-티타늄 간섭나사군이평균 1067.4$\pm$145N에서평균 601.8$\pm$134N으로, 슬개건-생체흡수성간섭나사군이평균 987.1$\pm$168N에서588.7$\pm$124N으로각각40$\%$, 39$\%$, 50$\%$, 24$\%$, 44$\%$, 40$\%$가감소하였다. 결론: 수술후초기고정력은슬괵건을LA나사(R) 또는Semifix(R)로고정하는방법과슬개건을티타늄및생체흡수성간섭나사로고정하는방법등이우수하였으며, 슬괵건을생체흡수성간섭나사나Endobutton(R)으로 고정하는 방법 등은고정력이 상대적으로매우약함을 알수있었다. 최대인장력은단순인장검사로는이상의대퇴골측고정방법의고정력이초기부하를견뎌내는데충분하다고생각되었으나주기성부하실험후현저히감소되어충분한초기안정성을제공하지못함을알수있었다.를 나타내었다. 또한 3m깊이에서의 측방 선량분포에서 Spoiler의 거리변화(6, 10cm)는 심부선량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위의 실험측정치를 치료계획 시스템에 입력하여 선량분포를 확인한 결과 Spoiler를 사용하는 경우 OPEN에 비해 선량분포 영역을 표면으로 끌어 올릴 수 있으며 Bolus 보다 피부 보호효과는 어느 정도 유지가 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4.결론 이와 같이 Spoiler는 Bolus와 비교하여 6MV 광자선의 build up 영역을 표면으로 증가시키는 동시에 Skin Sparing(피부보호)효과를 유지할 수 있으며 두경부암의 치료에서 Spoiler의 사용이 가능한 조건으로는 조사면이

  • PDF

골형성부전증의 착상전 유전진단을 위한 분자유전학적 방법의 조건 확립과 적용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Molecular Genetic Techniques for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of Osteogenesis Imperfecta)

  • 김민지;이형송;최혜원;임천규;조재원;김진영;송인옥;강인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2호
    • /
    • pp.99-110
    • /
    • 2008
  • 목 적: 착상전 유전진단은 환아를 출산할 가능성이 높은 부부들에게 정상아의 출산 기회를 제공해주는 보조생식술의 하나로서 널리 시행되고 있다. 골형성부전증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질환으로서 뼈와 피부를 구성하는 결합조직의 이상으로 뼈가 잘 부러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질환의 95% 이상은 COL1A1 또는 COL1A2 유전자의 이상으로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골형성부전증 환자 2 가계를 대상으로 5 주기의 착상전 유전진단을 시행하여 임신에 성공한 사례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착상전 유전진단 수행 전에 환자의 단일 림프구에서 증폭성공률과 allele drop-out (ADO) rate을 확인하기 위하여 임상전 검사를 수행하였다. 각각 원인 돌연변이로 확인된 COL1A1 유전자 c.2452G>A와 c.3226G>A를 가지고 있는 골형성부전증 2 가계를 대상으로 5 주기의 착상전 유전진단을 시행하였다. 생검한 할구로부터 원인 돌연변이를 진단하기 위하여 nested PCR 후 HaeIII 제한효소를 이용한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분석방법과 direct sequencing 방법을 이용하여 진단을 실시하였다. 결 과: Genomic DNA를 이용하여 COL1A1 유전자 검사를 해 본 결과 각 가계의 원인 돌연변이는 c.2452G>A와 c.3226G>A임을 재확인하였으며, 단일세포를 이용한 임상전 검사 결과 첫 번째 사례의 경우 94.2%의 증폭성공률과 22.5%의 ADO rate을 나타내었고, 두 번째 사례의 경우 98.1%의 증폭성공률과 1.9%의 ADO rate를 나타내었다. 착상전 유전진단 결과 첫 번째 사례의 경우, 3 주기의 착상전 유전진단에서 총 34개의 배아 중 31개의 배아에서 진단에 성공하여 91.2% (31/34)의 진단성공률을 나타내었고, 총 19개의 정상 배아 중 8개의 배아 (2.7개/배아이식)를 이식하였다. 세 번째 주기에서 임신에 성공하였고 제왕절개로 건강한 아이를 분만하였다. 두 번째 사례의 경우 2 주기의 착상전 유전진단을 시행하였으며, 총 19개의 배아 모두 진단에 성공하여 100.0% (19/19)의 진단성공률을 나타내었고, 총 11개의 정상 배아 중 4개 (2개/배아이식)의 배아를 이식하였다. 두 번째 착상전 유전진단에서 임신에 성공하였고, 건강한 아이를 분만하였다. 결 론: 착상전 유전진단을 통한 골형성부전증 환자 2 가계에서의 성공적인 임신과 출산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임상 결과로, 본원의 착상전 유전진단방법은 효과적이고 확실한 방법으로써 앞으로도 더 많은 단일 유전자 이상의 유전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 적용하게 될 것이며, 이는 이와 유사한 유전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유전질환의 이환 가능성이 있는 부부들에게 정상아의 임신과 출산의 기회를 더욱 많이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안와바닥과 내벽의 두께에 대한 전향적 생체 계측학적 연구 (Prospective Morphometric Study for Orbital Floor and Medial Wall Thickness in Vivo)

  • 박창식;김용규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7-70
    • /
    • 2009
  • Purpose: Anatomical basis around orbit can be helpful in periorbital surgery, and there are many articles about measurement between periorbital reference points. In 1967, Jones and Evans measured the orbital wall thickness of Asian cadavers and this article has been cited more than 50 times. But there is no research in orbital thickness in Vivo. Author's idea was based on difference between live human and human cadaver. Material & Method: We conducted this study from 63 consecutive blow out fracture patients between January, 2000 to june, 2005 by collecting the bone fragments and measured the thickness of that fragment using vernia calipers. Anatomically, orbital floor is separated two area by inferior orbital fissure and we measured each area. Three areas were zone I (medial wall), zone II (medial to inferior orbital fissure) and zone III (lateral to inferior orbital fissure). Result: When the overall results were considered, the thickness of Zone I (medial wall of orbit) was average $0.131{\pm}0.006mm$ in male and $0.129{\pm}0.007mm$ in female and Zone II (medial side of orbital floor) was $0.251{\pm}0.005mm$ in male and $0.245{\pm}0.006mm$ in female, Zone III (lateral side of orbital floor) was $0.237{\pm}0.006mm$ in male and $0.226{\pm}0.006mm$ in female.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orbital wall thickness of male and female. Also, orbital wall thickness of adults measured $0.130{\pm}0.005mm$, $0.250{\pm}0.005mm$, $0.232{\pm}0.006mm$ in Zone I, Zone II, Zone III and $0.128{\pm}0.006mm$, $0.233{\pm}0.005mm$, $0.215{\pm}0.007mm$ in Zone I, Zone II, Zone III from childs,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adult and child. Conclusion: This article is the first study about Korean orbital wall thickness, and can be helpful to periocular surg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