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ne china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7초

한약이 골다공증 혹은 골감소증 환자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위한 프로토콜 (Effects of Herbal Medicines on Bone Mineral Density Score in Osteoporosis or Osteopenia: Study Protocol fo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홍수민;이은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9-55
    • /
    • 2021
  • Objectives The impact of social and economic losses on society due to the occurrence of osteoporosis patients is serio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and effects of herbal medicine for osteoporosis and osteopenia. Methods We will investigate 8 online databases (MEDLINE/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J-stage,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without language, publication date limitation for the clinical study of herbal medicine for osteoporosis and osteopenia published between the start of the database and 2021. The frequency, duration and pattern of the any type of herbal medicine utilization will be analyzed. Result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bout herbal medicine or herbal medicine extracts for osteoporosis and osteopenia should be included in the study. Cochrane risk in bias tools will be used to evaluate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study. A risk ratio or mean difference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will show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or herbal medicine extracts for osteoporosis and osteopenia.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ystematic review will reflect the current status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osteoporosis and osteopenia, and it can be expe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effectiveness, and provide it as a basic data for the use of herbal medicine in clinical utilization.

Methanol extracts of Humulus japonicus induced apoptosis in human FaDu hypopharynx squamous carcinoma cells

  • Jang, Ji Yeon;Park, Bo-Ram;Lee, Seul Ah;Choi, Mi Suk;Kim, Chun 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7권1호
    • /
    • pp.9-15
    • /
    • 2022
  • Humulus japonicus (HJ) is a widely used herbal medicine for pulmonary tuberculosis, hypertension, leprosy, and venomous wounds in Asia, particularly in China. Although HJ has certain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longitudinal bone growth, antioxidation and alleviation of rheumatism, its anticancer activities, other than in colorectal and ovarian cancer, are yet to be studi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ncer activity and mechanism of methanol extracts of HJ (MeHJ) against human FaDu hypopharyngeal squamous carcinoma cells. MeHJ suppressed FaDu cell viability without affecting normal cells (L929), which was demonstrated using the MTT and Live & Dead assays. Furthermore, MeHJ effectively inhibited colony formation of FaDu cells, even at non-cytotoxic concentrations, and significantly induced apoptosis through the proteolytic cleavage of caspase-9, -3, -7, poly (ADP-ribose) polymerase and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BCL-2 and upregulation of BAX in FaDu cells, as determined by DAPI staining, flow cytometry, and western blot analyses. Coll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hibitory effects of MeHJ on the growth and colony formation of oral cancer cells may be mediated by caspase- and mitochondrial-dependent apoptotic pathways in human FaDu hypopharyngeal squamous carcinoma cells. Therefore, MeHJ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natural chemotherapeutic drug against human oral cancer.

상나라 수렵, 목축, 제사를 통해서 본 삶의 세계 구축과 신, 인간, 동물의 관계 (The Construction of the Life World and the Relationship of Gods, Men, Animals seen through Hunting, Stock Raising, Sacrifice in Shang Dynasty)

  • 임현수
    • 종교문화비평
    • /
    • 제31호
    • /
    • pp.141-172
    • /
    • 2017
  • 이글은 상대 갑골문에 나타난 수렵, 목축, 제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글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물음을 축으로 전개되었다. 첫째, 상대 사회에서 수렵, 목축, 제사가 삶의 세계를 구축하는데 담당한 역할은 무엇인가. 둘째, 수렵, 목축, 제사를 통해서 도출할 수 있는 신, 인간, 동물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러한 두 가지 물음은 결국 상대구성원들이 자신들이 몸담고 살아가는 세계를 어떻게 구성하고 이해하였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던진 것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물음을 해명하기 위하여 기존 이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마이클 퓨에트의 관점은 본고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였다. 그는 중국 고대사회에서 신의 세계와 인간의 세계는 조화로웠으며 상호 조응하는관계였다는 기존의 입장을 비판한 바 있다. 그에 따르면 중국 고대사회는 신들의 세계가변덕스럽고 예측할 수 없는 힘으로 가득하며 인간의 세계에 재앙을 끼칠 수 있는 위험을지닌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이를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였다. 그는 제사와 점복이야말로 중국 고대사회에서 이러한 신들의 세계를 통제하기 위하여 동원되었던 장치라고 판단하였다. 본고는 그의 주장을 수렵과 목축에도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거쳐서 본고가 도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는 두 가지 세계가 지닌 잠재적 위험성을 잠재우고자 진력하였다. 상대는 동물로 대표되는 자연의 세계와 신의 세계를 인간의 삶을 위협하는 미지의 영역으로 파악하였다. 수렵, 목축, 제사는 삶에 무질서를 초래할지도 모르는 이 두 가지 힘의 영역을 통제하는 수단이었다. 둘째, 수렵, 목축, 제사를 통해서 밝혀진 신, 인간, 동물의 관계는 각각의 상황에 따라서 다른 특성을 드러냈다. 수렵과 목축은 인간이 폭력을 사용함으로써 동물을 길들이는 중요 수단이었다. 동물은제사에서 폭력을 통해 살해되어 '희생'이 됨으로써 인간과 신의 메신저로서 새로운 위상을 차지하였다. 이처럼 동물은 인간보다 열등하거나 우월한 성격을 모두 지닌 존재로서 신과 인간 사이에서 독특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Subspecific Status of the Korean Tiger Inferred by Ancient DNA Analysis

  • Lee, Mu-Yeong;Hyun, Jee-Yun;Lee, Seo-Jin;An, Jung-Hwa;Lee, Eun-Ok;Min, Mi-Sook;Kimura, Junpei;Kawada, Shin-Ichiro;Kurihara, Nozomi;Luo, Shu-Jin;O'Brien, Stephen J.;Johnson, Warren E.;Lee, Ha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8권1호
    • /
    • pp.48-53
    • /
    • 2012
  • The tiger population that once inhabited the Korean peninsula was initially considered a unique subspecies (Panthera tigris coreensis), distinct from the Amur tiger of the Russian Far East (P. t. altaica). However, in the following decades, the population of P. t. coreensis was classified as P. t. altaica and hence forth the two populations have been considered the same subspecies.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the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tiger population as P. t. altaica is a plausible conclusion. Historically, there were no major dispersal barrier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habitat of Amur tigers in Far Eastern Russia and northeastern China that might prevent gene flow, especially for a large carnivore with long-distance dispersal abilities. However, there has yet to be a genetic study to confirm the subspecific status of the Korean tiger. Bone samples from four tigers originally caught in the Korean peninsula were collected from two museum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Eight mitochondrial gene fragments were sequenced and compared to previously published tiger subspecies' mtDNA sequences to assess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 Korean tiger. Three individuals shared an identical haplotype with the Amur tigers. One specimen grouped with Malayan tigers, perhaps due to misidentification or mislabeling of the sample. Our results support the conclusion that the Korean tiger should be classified as P. t. altaica, which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conservation and reintroduction of Korean tigers.

문무대왕 수증릉에 대한 지질공학적 연구 (ENGINEERING GEOLOGICAL STUDIES ON THE SUBMERGED TOMB OF KING MUNMU, SHILLA DYNASTY, KOREA)

  • 손호웅;김성범
    • 지구물리
    • /
    • 제6권3호
    • /
    • pp.139-153
    • /
    • 2003
  • 고고학적 발굴에 있어 지하정보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지하정보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 지구물리학적 탐사방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양북면 대본리 앞 바다에 위치한 문무대왕 수중릉에서 측량을 비롯한 각종 지구물리탐사 및 지질공학적 조사결과에 관한 것으로서 물리탐사방법의 고고학적 조사 발굴분야에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대왕암은 크게 개의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바위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기는 東西 35.0m, 南北 약 36.0m이며, 높이는 최대 약 5.30m이다. 대왕암 내부의 공동에는 巨石이 하나 있으며, 최대 수심 약 1.5m를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며, 물에 잠겨 있다. 거석은 東西 최대 2.47m, 南北, 최대 3.75m, 높이는 최대 약 1.35m의 크리를 갖는 타원체형이며, 무게는 약 20ton이다. 바위섬 내부의 공동은 암반에 자연적으로 발달 형성된 절리 및 틈새를 인위적으로 정 등을 사용하여 이미 어느 정도 있던 공간을 확장한 것으로 판단되며 절리 및 측량결과로 볼 때 거석은 대왕암에 발달한 절리에 의한 암반블록을 다듬은 것으로 판단된다. GPR 탐사결과 거석하부의 암반에는 주변의 대왕암과 같이 절리가 잘 발달하여 있고 인공구조물 혹은 석 함 등을 묻기 위한 공동을 발견할 수 없었다 한편 전자유도 탐사결과도 구조물 특히 철제 유구 등에 의한 반응을 찾을 수 없었다 이상과 같은 관찰 및 조사결과를 토대로 대왕암과 거석은 바위섬의 자연상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인위적으로 조성된 것으로 판단되며, 巨石하부에서 장골흔적을 발견할 수 없었더. 巨石은 뼈를 바다에 뿌린 제단과 같은 구실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 of Hormone Therapy on Long-term Outcomes of Patients with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and Hormone Receptor-Positive Metastatic Breast Cancer: Real World Experience in China

  • Du, Feng;Yuan, Peng;Wang, Jia-Yu;Ma, Fei;Fan, Ying;Luo, Yang;Xu, Bing-H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3호
    • /
    • pp.903-907
    • /
    • 2015
  • Background: Among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HER2)-positive breast cancer, more than half are also hormone receptor (HR)-positive. Although HR is a predictive factor for the efficacy of hormone therapy, there are still some uncertainties in regard to the effects on patients with HR-positive and HER2-positive metastatic breast cancers due to the potential resistance to hormone therapy caused by co-expression of HR and HER2. There are no clinical trials directly comparing the efficacy of hormonal therapy with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To examine the real-world effect of hormone therapy on patients with HR-positive and HER2-positive metastatic breast cancers, a cross-sectional study of a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Chinese population was conducted. The study included 113 patients who received first-line and second-line palliative treatment between 2005 and 2010 in the Cancer Institute and Hospital, Chinese Academy of Medical Science. The effect of hormone therapy on overall survival (OS) was studied. Results: The patients who received hormone therapy (n=51) had better overall survival in contrast to those who received chemotherapy with anti-HER2 therapy (n=62) in first- or second-line treatment. The difference was of borderline statistical significance (51.8m vs 31.9m, p=0.065). In addition, the effect of hormone therap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ith other prognostic factors, including age (${\leq}50$ years or >50 years), disease free survival (${\geq}2$ years or < 2 years) and site of metastasis (visceral or bone/soft tissue). On multivariate analysis, administration of hormone therapy was associated with a trend toward a favorable prognosis (p=0.148, HR=0.693, 95%CI 0.422-1.139). Age more than 50 years was the sole independent harmful prognostic factor (p<0.001, HR=2.797, 95%CI 1.676-4.668). Conclusions: Our data suggest that hormonel therapy may improve outcomes of the patients with ER-positive and HER2-positive metastatic breast cancer.

COVID-19 시대의 건강관리를 위한 신체활동 고찰 (A Review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Care in the Era of COVID-19)

  • 유재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49-157
    • /
    • 2021
  • 2019년 11월에 중국 우한지역에서 발생한 COVID-19가 세계적 대유행(Pandemic)이 시작된 지도 1여년이 지났다. 2021년 1월 현재, 세계적으로 9천 5백여만 명이 감염되었으며, 사망자는 2백만여 명을 상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감염자가 7만 3천여 명, 사망자 1천 3백여 명에 달하여 감염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체육시설이 폐쇄되는 등 신체활동 환경에 많은 위축이 발생하였다. 국가 정책에 협조하면서도 감염의 예방과 건강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신체활동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심장병과 당뇨의 위험을 감소시키고 골밀도를 개선시키며, 건강 수명의 연장과 노화에 따른 활동수행력을 유지시키고 심리적 불안과 우울증을 개선시키는 신체활동의 이득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COVID-19 감염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인한 운동중단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리적 변화들을 고찰하였다. 중정도의 유산소운동은 자연살해세포와 호중성백혈구, 항체반응을 활성화시켜 면역기능 강화에 도움을 준다. 하지만 장시간 고강도 운동은 운동 후 수 시간 동안 혈중 B-세포, T-세포, 자연살해세포의 수준과 기능을 감소시키며 비강의 호중성 백혈구의 식균작용을 저하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증가시켜 면역기능을 일시적으로 떨어뜨려 감염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COVID-19 시대에는 면역기능에 장애를 초래하는 마라톤 같은 장시간 고강도 운동은 자제하고, 감염예방에 도움을 주는 빠르게 걷기 같은 중강도의 규칙적인 유산소성 운동과 근육량 감소를 예방하기 위한 저항운동에 참여할 것을 권장하고자 한다.

고함량 폴리감마글루탐산(PGA) 청국장에 대한 칼슘 생체이용률 및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Calcium Bioavailability and Antiosteoporotic Effects of Cheonggukjang Containing High Poly-Gamma Glutamate Contents)

  • 이무진;정호경;심미옥;장지훈;김태묵;이현주;이기호;안병관;조정희;장민철;용주현;김종춘;조현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544-1551
    • /
    • 2016
  • 본 연구는 칼슘 생체이용률 시험에 수컷 랫드를 이용하여 고함량 폴리감마글루탐산 청국장이 기존 청국장보다 칼슘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고함량 폴리감마글루탐산(PGA) 청국장 및 기존 청국장을 투여하고 0.5, 1, 2, 3, 4, 5시간에 채혈하여 칼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고함량 PGA 청국장이 기존 청국장보다 투여 후 3~5시간에 칼슘 흡수율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한다. 골다공증 시험에 난소를 적출하여 폐경을 유도한 후 PGA 함유량이 증가한 청국장을 12주간 경구투여 하여 골다공증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혈청 검사에서 오스테오칼신은 청국장 200 mg/kg 투여군에서 OVX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는 감소가 관찰되었고, 프로게스테론은 청국장 200 mg/kg 투여군에서는 OVX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는 증가가 관찰되어 청국장이 골다공증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간장 조직액의 지질과산화물은 OVX 대조군보다 대조약 및 청국장 투여군에서 모두 감소 경향이 관찰되어 청국장 투여로 지질과산화물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기대된다. 대퇴골에 대한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대퇴골 원위부 골간단의 해면골 감소가 대조약은 OVX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는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청국장 200 mg/kg 투여군에서도 감소가 관찰되어 청국장이 해면골 감소를 억제시키는 것으로 생각한다. 이상의 결과는 고함량 PGA 청국장이 기존 청국장보다 투여 후 3~5시간에 칼슘 흡수율을 증가시킬 것으로 생각하고, 난소적출 후에 일어나는 골격 대사의 이상에도 청국장이 골 교체율 억제, 호르몬 변화, 항산화 및 해면골 감소 억제 등 유익하게 나타남으로써 임상상 폐경기에 나타나는 골다공증을 어느 정도 예방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며, 폐경 후 여성의 골대사에 유익한 효과를 줄 것으로 생각한다.

기무라씨 질환, 5 예 보고 (REPORT OF EXPERIENCE WITH KIMURA'S DISEASE)

  • 설대위;박윤규;이광민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9-46
    • /
    • 1989
  • 기무라씨 질환은 특히 두경부 부위에 피하 종괴를 일으키는 만성염증성, 증식성 질환이다. 저자들은 최근 치험하였던 본 질환 5 예를 한국외과 문헌에 처음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기무라씨 질환은 크게는 ALHE(Angiolymphoide Hyperplasia with Eosinophilia) 의 범주에 속한다. 본 질환의 병리학적 특징은 증식된 lymphoid follicles, eosinophilic infiltration 과 혈관의 증식성이다. 이 질환은 이하선, 악하선 및 상부 경부 부위등에 흔히 종괴를 일으키며 이들 종괴들은 피하조직 뿐만 아니라 타액선과 상부 경부 임파선에까지도 파고 든다. 저자들의 증례 중 한명에서는 서혜부에 종괴가 있었으며 새로이 증식된 혈관과 동상들 (Sinusoids) 로 인하여 혈관 분포가 매우 풍부하였다. 저자들 증례 5 명의 평균 연령은 35세이었지만 한명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는 38세 이하이었다. 남녀비는 3:2 이었으며 증상의 평균 기간은 5.2 년이었다. 전례에 있어서 말초 혈액 소견상 Eosinophilia 가 있었다. 전례에서 다발성 종괴들을 보였으며 가끔은 대칭적이기도 하였다. 저자들이 시행한 치료 양상은 수술만 시행한 경우와 수술 및 스테로이드 홀몬요법 시행 경우가 각각 1례씩이었고 수술과 방사선조사 경우가 2례이었으며 나머지 1례에서는 수술, 스테로이드 홀몬요법 및 방사선조사의 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기무라씨 질환과 ALHE 질환과의 관계를 고찰해 보았으며 기무라씨 질환의 치료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