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ne Mineral Densitometry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18초

장기간의 생식 섭취가 성장기 흰쥐의 성장, 골밀도 및 혈중 IGF-1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ng-Term Administration of Saengshik on Growth Increment, BMD and Blood IGF-1 Concentration in Growing Rats)

  • 김중학;홍성길;김화영;정지상;황성주;목철균;박미현;이주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39-446
    • /
    • 2007
  • 생식의 섭취가 실험동물의 길이성장 및 균형성장에 미치는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12주간 생식을 1g/kg/day(1xJS), 2g/kg/day(2xJS) 및 4g/kg/day/(4xJS)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한 후 처치시점 4주, 8주 및 12주에 각각 희생시켜 성장에 관련된 요인들을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의 식이섭취량, 체중증가량 및 장기무게는 생식을 경구투여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공복 시 혈중 AST와 ALT의 농도 역시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모두 정상수치를 기록하였다. 실험동물의 신장 및 대퇴골 길이의 변화는 12주간의 실험기간 중 생식을 경구투여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평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처치시점 12주에서는 신장과 대퇴골 길이의 변화가 생식을 경구투여한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BMD와 BMC의 결과에서도 BMD의 경우 4xJS군, BMC의 경우 1xJS군과 4xJS군이 대조군에 대하여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생식 투여량에 대한 농도의존적인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성장인자의 하나인 혈중 IGF-1의 경우 처치시점 4주에서 생식을 경구투여 한 모든 실험군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8주 이상에서는 4xJS군에서만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성장기에 장기적인 생식의 보충 섭취는 실험동물의 골성장을 통한 성장 발육에 도움을 준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erum 25-hydroxy Vitamin D Status is Not Related to Osteopenia/Osteoporosis Risk in Colorectal Cancer Survivors

  • Akinci, Muhammed Bulent;Sendur, Mehmet Ali Nahit;Aksoy, Sercan;Yazici, Ozan;Ozdemir, Nuriye Yildirim;Kos, Tugba;Yaman, Sebnem;Altundag, Kadri;Zengin, Nurulla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8호
    • /
    • pp.3377-3381
    • /
    • 2014
  • Background: The incidence of colorectal cancer increases with vitamin D deficiency as shown in recently published studies. In addition, prospective investigations have indicated that low vitamin D levels may be associated with increased mortality of colorectal cancer, especially in stage III and IV cases. However, the exact incidence of vitamin D deficiency and the relation between vitamin D deficiency and osteopenia/osteporosis is still not know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everity of vitamin D deficiency and absolute risk factors of osteopenia/osteoporosis in colorectal cancer survivor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13 colorectal cancer survivors treated with surgery and/or chemotherapy ${\pm}$ radiotherapy were recruited from medical oncology outpatient clinics during routine follow-up visits in 2012-2013. Bone mineral densitometry (BMD) was performed, and serum 25-OH vitamin D levels were also checked on the same day of the questionnaire. The patients was divided into 2 groups, group A with normal BMD and group B with osteopenia/osteoporosis.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study population was 58 (40-76). Thirty (30.0%) were female, whereas 79 (70.0%) were male. The median follow-up was 48 months (14-120 months). Vitamin D deficiency was found in 109 (96.5%); mild deficiency (20-30 ng/ml) in 19 (16.8%), moderate deficiency (10-20 ng/ml) in 54 (47.8%) and severe deficiency (<10 ng/ml) in 36 (31.9%). Osteopenia was evident in 58 (51.4%) patients whereas osteoporosis was noted in 17 (15.0%). Normal BMD was observed in 38 (33.6%). No apparent effects of type of surgery, presence of stoma, chemotherapy, radiotherapy and TNM stage were found regarding the risk of osteopenia and osteoporosis. Also, the severity of the vitamin D deficiency had no effect in the risk of osteopenia and osteporosis (p=0.93). In female patients, osteopenia/osteoporosis were observed in 79.5% patients as compared to 60.7% of male patients (p=0.04). Conclusions: In our study, vitamin D deficiency and osteopenia/osteoporosis was observed in 96.5% and 66.4% of colorectal cancer survivors, respectively. There is no defined absolute risk factor of osteopenia and osteoporosis in colorectal cancer survivors. To our knowledge, in the literature, our study is the first to evaluateall the risk factors of osteopenia and osteoporosis in colorectal cancer survivors.

$20{\sim}30$대 여성의 골밀도 영향 인자에 대한 출산 후 여성과 일반여성과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Influencing BMD Factors in Postpartum and General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 김순근;오찬호;권대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1호
    • /
    • pp.25-32
    • /
    • 2007
  • 20대와 30대의 출산 후 여성과 일반 여성들을 대상으로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헤모글로빈과 골밀도를 비교하였다. 2006년 1월부터 7월까지 출산 후 산모 159명과 일반여성 180명이었다. 산모군 대퇴경부 골밀도 평균 -0.187, 요추 골밀도 -0.076이었다. 일반군 대퇴경부 골밀도 평균 -0.029, 요추 골밀도 -0.169이었다. 체질량지수 23 기준에서 일반군 23 이상 군과 23 이하 군 간에 대퇴경부와 요추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산모군 에서는 요추에서만 두 군간 차이가 있었다. 헤모글로빈수치 11을 기준으로 한 집단 간 분류에서는 산모군과 일반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산모군과 일반군 모두에서 대퇴경부 및 요추의 골밀도는 체중, 신장, 체질량지수와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산모군에서 골밀도 대퇴경부 및 요추에서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일반군의 골밀도 대퇴경부 및 요추에서 헤모글로빈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산모군은 일반군과 마찬가지로 체중, 신장, BMI가 BMD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p<0.01), 일반군에서 골밀도는 헤모글로빈과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산모군에서는 BMD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