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mbycis corpu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5초

신장조직(腎臟組織)에서 백강잠 추출물(抽出物)의 항산화(抗酸化) 작용(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Antioxidant action of Bombycis corpus extraction in renal tissues)

  • 이무형;윤철호;정지천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87-98
    • /
    • 1998
  • 백강잠 추출물이 신장조직에서 반응성 산소기들에 의한 지질의 과산화와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지를 관찰하기 위하여 정상조직과 t-BHP를 처리한 조직에서 백강잠 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지질의 과산화와 LDH 유출은 t-BHP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되었으나, 백강잠 추출물의 첨가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그리고, t-BHP에 의한 지질의 과산화 및 LDH 유출은 백강잠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억제되었다. 또한, 백강잠 추출물은 oxidant를 처리하지 않은 정상조직에서도 지질의 과산화 및 LDH 유출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다. 그리고, catalase 활성에는 영향이 없는 반면, 정상 조직과 t-BHP를 처리한 조직에서는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 한편, 반응성 산소기의 발생은 백강잠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백강잠 추출물은 신장 조직내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직접 반응성 산소기의 발생을 억제하므로 신장 조직에서 지질의 과산화와 세포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백지, 세신, 백강잠 및 면간방이 피부미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eckji, Seasin, Baeckgangjam and Myunkanbang on skin-whitening)

  • 전상훈;임미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1-169
    • /
    • 2011
  • To develope new natural substances for whitening agent, Baeckji(Angelica dahuria;BK), Seasin(Asarum sieboldii;SS). Baecjgangjam(Bombycis corpus;BGJ) and Mynkanbang(MKB) were selected and extracted by hot water and 70% EtOH, respectively. Hydrothermal and ethanolic extracts of BK, SS, BGJ and MKB were evaluated for anti-oxidative effect, tyrosinase activity, melanogenesis of B16 melanoma cells and changes in level of tyrosinase expression by using Western blotting. All hydrothermal and ethanolic extracts showed scavenging activities of free radicals against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but no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tivity. Ethanolic extracts of BK, SS, and BGJ and especially highly, those of MKB inhibited production of melanin in B16 melanoma cells and were able to reduce the level of tyrosinase expression in B16 melanoma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anolic extracts of BK, SS, BGJ and MKB can be an effective whitening agent from natural plant.

흰쥐의 뇌 astrocyte에서 $amyloid-{\beta}25-35$로 유발된 지질의 과산화와 항산화 효소계 및 NO 생성에 미치는 백강잠의 효과 (Effects of Bombycis corpus on Amyloid-induced Lipid Peroxidation Antioxidative Enzymes and NO Synthesis in Rat Astrocytes)

  • 김희준;정지천;윤철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1-339
    • /
    • 2001
  • 목적 : 본 연구는 식풍해경(熄風解痙), 소산풍열(疏散風熱) 효능이 있는 백강잠이 치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방법 : 치매 유발물질인 $amyloid{\beta}(A{\beta})$ 25-35를 흰쥐의 뇌 astrocyte에 처리한 후 대표적인 항산화 효소인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glutathione peroxidase 및 glutathione-S-transferase의 활성 변화와 NO 생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A{\beta}$ 25-35 처리로 catalase와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백강잠을 처리한 경우는 이들 효소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A{\beta}$ 25-35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된 NO 생성은 백강잠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백강잠은 항산화계 효소의 활성화 및 $A{\beta}$처리와 같은 치매유발 물질의 독성에 대한 적응능력 향상을 통하여 astrocyte를 보호하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되며, 아울러 노인성 치매 등 임상적 응용에 그 효과가 기대된다.

  • PDF

백강잠(白彊蠶) 생산을 위한 Beauveria bassiana의 효율적인 접종법 및 백장잠의 간보호 활성 검정 (Efficient Inoculation Method of Beauveria bassiana for Production of Bombycis corpus and Evaluation of Its Liver Protection Activity)

  • 정이연;홍인표;강필돈;남성희;김미자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11
    • /
    • 2005
  • 이 연구는 백강잠(B. corus)의 대량생산을 위한 B. bassiana의 효과적인 접종법을 구명하고 백강잠의 간보호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백강잠 대량생산을 위한 B. bassiana의 접종시험에서 포자농도를 1.0${\times}$$10^8$ spores/m/로 할 경우 접종후 고습도 처리시간에 관계없이 높은 감염율을 나타내었으나, 1.0${\times}10^7$ spores/m/의 농도에서는 감염율이 낮았다. 2. B. bassiana 종균의 보관온도 및 보관일수별 활력 검정에서 $4^{\circ}C$에서는 12일까지 보관시 감염률 90% 이상 유지하였으나, 상온($25^{\circ}C$ 내외) 보관시에는 48시간이 지나면 감염율이 급격히 저하(5% 이하)하였다. 또한 모균주 보존기간별 감염율은 $4^{\circ}C$에 12개월 보존시에도 초기값과 활력에 차이가 없었으며 감염율 역시 90% 이상으로 균보관은 $4^{\circ}C$에서 12개월까지 보관하여도 활력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3. B. bassiana 101A의 간기능 보호활성도 측정에서 galactosamine으로 독성을 유발한 처리구에서는 물분획층에서 대조물질 silymarin과 DDB 대비 각각 43.5%, 65.7%의 간보호 회복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사염화탄소($CCl_4$)로 독성을 유발한 처리구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에서 대조 물질대비 각각 100%, 69.3%의 간보호 회복 효과가 있었다.

생약복합제의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및 대사성증후군 모델 동물에서의 혈당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erbal Complex on Blood Glucos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and in Mice Model of Metabolic Syndrome)

  • 박한석;이연실;최세진;김진규;이윤열;김현근;구삼회;구대희;기승일;임순성
    • 생약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96-204
    • /
    • 2009
  • 당뇨병 치료 및 예방에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생약 및 식품 소재로 구성된 생약복합제인 백강잠, 산약, 쥐눈이콩, 청국장가루의 복합물을 대상으로 실험관 및 동물실험을 통하여 혈당강하 효과를 확인하였다. 생약복합제 $H_2O$추출물은 당흡수에 관여하는 $\alpha$-glucosidase효소를 비교약물인 acarbose ($IC_{50}$=0.39 mg/mL)과 비교하여 1/3배 정도의 활성을 보였으며 ($IC_{50}$=1.24 mg/mL), ethanol추출물은 인슐린 내성에 관여하는 $PTP1{\beta}$ 효소작용을 ($IC_{50}=498.46{\mu}g$/mL)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PTP1{\beta}$ 효소를 억제하는 n-hexane 분획을 대상으로 하여 GC-MS로 성분 분석한 결과 지방산유도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이와 저용량 STZ (35 mg/kg)으로 유발시킨 당뇨모델에서 OGTT 실험결과 비교약물인 rosiglitazone(당부하 30분 후 평균 60 mg/dL 의 감소)과 생약복합제 투여군의 경구 당부하능 개선효과를(당부하 30분 후 평균 30 mg/dL의 감소) 확인하였다. 또한, 대사성 증후군 모델에서는 체중증가의 감소 효과와 공복혈당의 증가를 현저히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OGTT에서도 후반부에 현저한 경구당부하능 개선 효과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산약, 백강잠, 쥐눈이콩, 청국장으로 조제한 생약복합제는 당뇨 및 대사성 증후군의 혈당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식·약공용 농산물의 아플라톡신 오염 실태 조사 (A Monitoring of Aflatoxins in Commercial Herbs for Food and Medicine)

  • 김성단;김애경;이현경;이새람;이희진;류회진;이정미;유인실;정권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7-274
    • /
    • 2017
  • 2016년 6~12월 서울약령시에서 원형 또는 분말 형태로 유통 판매되는 식 약 공용 농산물 총 62건을 구입하여, 후칼럼 유도체화 장치인 광화학 반응장치를 연결한 HPLC-FLD를 이용하여 아플라톡신($B_1$, $B_2$, $G_1$, $G_2$)을 정성 및 정량 분석함으로써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아플라톡신의 검출한계는 $B_1$ $0.086{\mu}g/kg$, $B_2$ $0.020{\mu}g/kg$, $G_1$ 0.363 g/kg, $G_2$ $0.126{\mu}g/kg$이었고, 정량한계는 $B_1$ $0.262{\mu}g/kg$, $B_2$ $0.059{\mu}g/kg$, $G_1$ 1.101 g/kg, $G_2$ $0.382{\mu}g/kg$였다. 회수율은 $B_1$ 95.1~101.8%, $B_2$ 86.9~105.6%, $G_1$ 95.2~100.6%, $G_2$ 98.6~114.0%이었으며,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는 $B_1$ 1.9~9.8%, $B_2$ 1.2~8.2%, $G_1$ 2.1~9.5%, $G_2$ 0.9~9.3%였다. 사용부위에 따른 아플라톡신 오염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종자(Semen)만 아플라톡신이 검출되었으며, 21건 중 6건(원형 3건, 분말 3건)에서 아플라톡신이 검출되었다. 품목별 아플라톡신 검출 건수를 살펴본 결과, 연자육 중 원형은 7건을 검사한 결과 2건에서 아플라톡신 $B_1$, $B_2$가 검출되었고, 분말은 6건 중 2건에서 아플라톡신 $B_1$이 검출되었다. 산조인 원형은 5건 중 1건에서 아플라톡신 $B_1$, $B_2$가 검출되었으며, 분말은 3건 중 1건에서 아플라톡신 $B_1$, $B_2$가 검출되었다. 아플라톡신 검출량을 살펴보면, 연자육 원형은 총아플라톡신($B_1$, $B_2$, $G_1$$G_2$의 합)이 $ND{\sim}14.655{\mu}g/kg$($B_1$ $ND{\sim}11.869{\mu}g/kg$) 검출되었고, 분말은 총아플라톡신이 $ND{\sim}2.223{\mu}g/kg$($B_1$$ND{\sim}2.223{\mu}g/kg$) 검출되었다. 산조인 원형의 아플라톡신 검출량은 총아플라톡신이 $ND{\sim}9.182{\mu}g/kg$($B_1$$ND{\sim}6.612{\mu}g/kg$) 검출되었고, 분말은 총아플라톡신이 $ND{\sim}21.797{\mu}g/kg$($B_1$$ND{\sim}19.345{\mu}g/kg$) 검출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곰팡이독소 검출현황을 토대로 식 약 공용 농산물에 대한 곰팡이독소 기준을 설정하여 식 약 공용 농산물의 안전한 유통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