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lting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초

막구조 정착부의 볼트접합부 막재료의 신장 및 파단상태를 통한 응력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Study on stress transition mechanism by tensile and fracture characteristics of membrane material at bolting part in clamping part of membrane Structures)

  • 김희균;심천보;김재열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97-105
    • /
    • 2023
  • The membrane structure should maintain the membrane materials in tension for structural stability guaranty. The anchoring part in the membrane structure is an important part. It has the function to introduce tension into membrane materials and function to transmit stress which membrane materials receives to boundary structure such as steel frames. In this paper, it grasps anchoring system of the anchoring part in the membrane structure concerning the fracturing characteristic condition of membrane structure, and the influence which is caused to yield it designates the stress state when breaking the membrane structure which includes the anchoring part and that stress transition mechanism is elucidated as purpose. This paper follows to previous paper, does 1 axial tensile test concerning the bolting part specimen, grasp of fracturing progress of the bolting part and the edge rope and hardness of the rubber, does the appraisal in addition with the difference of bolt tightening torque. As a result, the influence which the bolt anchoring exerts on the fracturing characteristics of the membrane material in the membrane structure anchoring part is examined.

On the use of the Lagrange Multiplier Technique for the unilateral local buckling of point-restrained plates, with application to side-plated concrete beams in structural retrofit

  • Hedayati, P.;Azhari, M.;Shahidi, A.R.;Bradford, M.A.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26권6호
    • /
    • pp.673-685
    • /
    • 2007
  • Reinforced concrete beams can be strengthened in a structural retrofit process by attaching steel plates to their sides by bolting. Whilst bolting produces a confident degree of shear connection under conditions of either static or seismic overload, the plates are susceptible to local buckling.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local buckling of unilaterally-restrained plates with point supports in a generic fashion, but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provision of the restraints by bolts, and on the geometric configuration of these bolts on the buckling loads. A numerical procedure, which is based on the Rayleigh-Ritz method in conjunction with the technique of Lagrange multipliers, is developed to study the unilateral local buckling of rectangular plates bolted to the concrete with various arrangements of the pattern of bolting. A sufficient number of separable polynomials are used to define the flexural buckling displacements, while the restraint condition is modelled as a tensionless foundation using a penalty function approach to this form of mathematical contact problem. The additional constraint provided by the bolts is also modelled using Lagrange multipliers, providing an efficacious method of numerical analysis. Local buckling coefficients are determined for a range of bolting configurations, and these are compared with those developed elsewhere with simplifying assumptions. The interaction of the actions in bolted plates during buckling is also considered.

당근 유기재배를 위한 병해충 저항성 품종 선발 (Selection of Desirable Cultivar for Organic Cultivation of Carrot)

  • 김병섭
    • 식물병연구
    • /
    • 제17권1호
    • /
    • pp.95-98
    • /
    • 2011
  • 국내 당근 유기재배를 위한 저항성 품종 선발을 목적으로 한 실험에서는 당근 유전자원 32품종을 이용하여 병저항성(흰가루병, 검은무늬병, 검은잎마름병) 검정, 내충성 및 추대 정도를 조사하였다. 흰가루병 스크리닝 결과 'PI 223360'이 저항성이었으며, 'Oxheart Carrot Heirloom'를 포함한 10개의 품종이 중도저항성이었고 'Long Impeator #58'을 포함한 22품종이 감수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당근 검은무늬병과 검은잎마름병의 스크리닝 결과 모든 품종이 저항성을 나타내진 않았지만, 몇몇 품종이 중도저항성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충성을 조사한 결과 'Oxheart Carrot Heirloom'를 포함한 13품종이 내충성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Nantes Coreless Carrot'을 포함한 11개의 품종들이 중간정도를 나타냈으며 'SA 102'와 'Scarlet Keeper Carrot Rare'은 감수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추대조사 결과에서는 'Hongsim Ouchon Carrot'을 포함한 6개의 품종이 이른 추대를 보였으며, 'Japanese Imperial Long Carrot'를 포함한 4개 품종이 중간 추대를 나머지는 만추대성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Oxheart Carrot Heirloom'이 조사한 32개 당근 유전자원 중 유기재배를 위한 품종으로 선발되었다.

추대시기가 서로 다른 무 계통간 생리학적, 분자생물학적 개화 특성 규명 (Physi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wo inbred radish lines with different bolting times)

  • 박현지;정원용;이상숙;이주원;김윤성;조혜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3호
    • /
    • pp.215-222
    • /
    • 2015
  • 본 연구는 무의 개화가 지연되는 형질을 갖는 'NH-JS1'과 조기개화 형질을 가진 'NH-JS2'계통을 대상으로 춘화처리에 의한 무의 개화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이러한 특성을 유발하는 개화관련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였다. NH-JS1 과 NH-JS2 두 계통 모두 춘화처리가 없는 조건에서는($23{\pm}1^{\circ}C$, 12시간 광조건/12시간 암조건) 90일 동안 생육하였을 때는 개화하지 않았으며, NH-JS1계통의 경우, 개화 유도를 위해서는 최소 25일의 춘화처리가 필요하며, NH-JS2계통은 15일의 춘화처리에 의해 개화가 유도되는 특성을 보여 주었다. 또한, NH-JS1계통은 로제트 잎이 9장 이상일 때, NH-JS2계통은 7장 이상일 때 추대가 형성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춘화처리에 의한 개화관련 유전자들의 유전자발현을 분석한 결과, 개화억제 유전자인 FLC와 FRI의 발현은 개화가 지연되는 계통인 NH-JS1에서 높은 반면, 개화를 촉진하는 유전자인 SOC1, LHY 그리고 CO의 발현은 조기개화 계통인 NH-JS2에서 높게 나타났다. 춘화처리에 의해 FLC의 발현억제를 유지하는 VRN1과 VRN2도 NH-JS1 계통에서 2배 이상 높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춘화처리 시 무의 개화관련 유전자들의 발현과 개화특성이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바탕으로 육종분야에서 무의 개화시기가 조절된 품종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강활(羌活)의 묘(苗)크기가 추대(抽臺) 및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eedling Size on Bolting and Yield of Ostericum koreanum (MAX.) KITAGAWA)

  • 서종식;정병찬;손서규;김기식;김동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4-120
    • /
    • 1994
  • 최근 생약의 수요 및 재배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약초의 재배기술 확립이 요청 되고 있는바 추대로 인한 수량감소와 품질저하가 크다고 알려진 강활에 대하여 파종방법별로 육묘기 생육과 묘크기에 따른 추대 및 수량성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파종방법별 출아율은 파종량이 적고 산파했을 경우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묘크기에 있어서는 파종량간에 대차 없었으나 파종방법간에는 조파구에서 생장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2. 묘 분포비율은 중묘>소묘>대묘의 순으로 많았는데 소묘생산을 위해서는 산파로서 밀파$(8l\;/33m^2)$ 하는 것이 유리 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묘크기에 따른 정식후 생육은 묘의 근경이 굵을수록 개화가 빨라지는 경향이었고 지상부 생육은 조파 소묘 정식이 좋은 경향이었다. 4. 묘크기에 따른 추대율은 대묘 89.6%, 중묘 64.4%, 소묘 36.9% 로 묘가 클수록 높았다. 5. 묘크기에 따른 근비대는 미추대근이 추대근에 비하여 많았고 조파묘보다 산파 묘가 좋았다. 6. 생근수량은 산파 소묘 정식구에서 853kg/10a 으로 가장 증수하였다.

  • PDF

중.산간지대에서 참당귀의 화성억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nhibiting Floral Induction of Angelica gigas NAKAI in the Hilly Altitude Area)

  • 이승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5-62
    • /
    • 1995
  • 중(中) 산간지대(山間地帶)에 재배(栽培)되는 참당귀(當歸)의 화성유도(花成誘導)에 의(依)한 추밀률(抽蜜率) 감소(減少)를 위(爲)하여 1992년(年) 2월(月)부터 1994년(年) 11월(月)까지 경북농촌진흥원(慶北農村振興院) 북부시험장(北部試驗場)에서 육묘지대(育苗地帶), 육묘기간(育苗期間) 및 유기물(有機物) 시용(施用)에 따른 화성(花成) 및 품질(品質)을 비교(比較)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육묘지대(育苗地帶)에 따른 추대율(抽臺率)은 표고(標高)가 높을 수록 현저(顯著)히 낮았고, 아울러 지하부(地下部)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이 200, 400m인 지대(地帶)보다 양호(良好)하여 참당귀(當歸)의 육묘적지(育苗適地)는 적어도 표고(標高) 600m 이상(以上)이 적당(適當)하다고 사료(思料)된다. 2. 중(中) 산여(山閭) 지대(地帶)에서는 육묘기간(育苗期間)이 짧아질 수록 추대율(抽臺率)이 현저(顯著)하게 낮아서 수량(收量)은 증수(增收)되었지만, extract 및 decursin 함량(含量)은 육묘기간(育苗期間)이 길어질 수록 증가(增加)하여 육묘기간(育苗期間)과 품질면(品質面)에서는 반대(反對)되는 경향(傾向)이었다. 3. 유기물(有機物) 자원별(資源別)에 따른 추대반응(抽臺反應)은 단비(單肥) 시용구(施用區)보다 유기물(有機物) 시용구(施用區)에서 추대율(抽臺率)이 낮았으며, 특(特)히 볏짚퇴비(堆肥)에서 가장 낮았고 수량(收量) 및 품질반응(品質反應)은 관행재배(慣行栽培)보다 유기물(有機物) 시용구(施用區)에서 양호(良好)하였지만 유기물(有機物) 자원간(資源間)에는 뚜렷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참당귀 묘 중양별 생육특성과 추대와의 관계 (Influence of Seedling Weight on Agronomic Characters and Their Relation with Bolting in Angelica gigas Nakai)

  • 안상득;유창연;조동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26-430
    • /
    • 1994
  • 참당귀 본포 이식시 묘의 중양에 따른 생육상황과 추대정도를 조사하고 추대에 대한 지상하부 형질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묘의 중양이 클수록 왕성한 생육을 보여 초장, 화서수, 추대율에서 유의성을 나타내었고 현재의 일반 관행묘보다 더 작은 소묘를 이식하므로서 16% 정도의 추대율 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2. 수양면에서는 이식 당귀묘의 중량이 클수록 추대율이 높아져 뿌리가 목질화되고 왜소하게 되어 근중이 적어지므로서 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가급적 5g미만의 소묘가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3. 지상하부 형질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지상부형질간, 또는 지하부형질간에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지상하부 형질간에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4. 추대율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형질은 초장, 엽수, 화서수 및 생체중 등이혀 추대에 의해 가장 영향을 받는 근형질은 근중이었다.

  • PDF

Effect of Photoperiod, Temperature and True-leaf Stage in Bolting Rate of Chicory (Cichorium intybus L. var. sativus)

  • Lim, Jung-Dae;Seo, Jeong-Sik;Lee, Hyeon-Yong;Kim, Jong-Dai;Lee, Jin-Ha;Yu, Chang-Yeon
    • Plant Resources
    • /
    • 제7권1호
    • /
    • pp.29-35
    • /
    • 2004
  • Root chicory (Cichorium intybus L. var. sativus) is potential alternative medicinal and sugar crop which accumulates a high amount of linear polyfructan, inulin in its roots. A problem in root production is that over-wintered stock plants often flower. Once the plant becomes reproductive, stem elongation and root growth slows and floral buds arise from every node, rendering the plants useless for propagation.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anipulating environmental factors containing photoperiod, temperature and number of leaf state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growth chamber to create two photoperiods (8 h, and 16 h) with three temperature regimes (5$^{\circ}C$/3$^{\circ}C$, 1$0^{\circ}C$/8$^{\circ}C$ and 15$^{\circ}C$/13$^{\circ}C$ day/night temperature) for a total of six treatments on three type of true-leaf stage of plant. Data of bolting rate, shoot and root length, shoot and fresh weight was invetigated in each treatment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changes in bolting rate and shoots and roots production during a whole growing season and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cold and photoperiod treatment depending on the true-leaf stage of plant.

  • PDF

선박용 판형 열교환기의 볼트풀림방지 및 수량최소화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Technique to Prevent Bolt Looseness and to Decrease in Quantity for the Plate Type Heat Exchanger Used in Large Craft)

  • 김호윤;배원병;장영준;한승무;김철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44-51
    • /
    • 2007
  • There are many methods to assemble various parts of a product, and one of them is the bolting system widely used in a industrial field due to the merits; easiness to obtain strong tightening force, simplicity of assemble or disassemble in order to repair, substitution or cleaning, and so on. But this bolting system needs attachments not to let a bolt loose and they are an important factor to cost a great deal. In this study, some equations are suggested and FE analyses are carried out to verify the cause of the bolt looseness occurring in the tightening process. And because the number of bolts in the bolting system has been decided by empirical know-how of designers in the field, safety rate in the plate type heat exchanger is often too high. Therefore the equations to decrease in quantity are sugges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critical shearing force acting on the screw and a normal force acting on the cooling plate by the working fluid.

스플라인결합 조인트의 볼트 예하중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 (FEM Analysis of the Spline Joint with Bolt Pre-load)

  • 탁승민;강민규;박동진;이석순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316-1322
    • /
    • 2011
  • Most of the mechanical structures use bolting or spot welding for the whole structure. In recent years, bolting & rivets are used rather than the welding due to reassembly and repair. Analysis of bolted joints is so complicate that many conditions must be considered such as pre-load and contact, etc.. Bolted joint analysis is done by theoretical, experimental & numerical methods. However, numerical analysis in the bolted joint is used because the contact and stress in the joints are changed due to the pre-load. In this study, we analysis the slip and the deformation of the contact area in the joint depending on the pre-load and find the optimized bolting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