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uetooth

검색결과 1,537건 처리시간 0.041초

안드로이드에서 블루투스 HDP를 이용한 표준건강정보의 송수신 (Transmitting/Receiving of Standard Health Data Using Bluetooth HDP on the Android Platform)

  • 박영진;조희섭;손종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5호
    • /
    • pp.464-470
    • /
    • 2013
  • 현재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정보측정기기에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표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표준화 및 시험/인증은 IEEE 11073 PHD, Health Level Seven 그리고 Continua Health Alliance를 통해 진행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실험이 계속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 건강 정보의 교환을 위한 표준인 IEEE 11073 PHD와 Bluetooth의 건강정보측정기기를 위한 프로파일인 Bluetooth Health Device Profile(HDP)을 소개하고, HDP가 적용된 스마트 디바이스와 건강정보측정기기 간 개인의 건강 정보를 교환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HDP를 이용하여 IEEE 11073 PHD 표준 프로토콜의 송수신으로 스마트 디바이스와 건강정보측정기기 간에 상호연결 및 운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향후 이를 지원하는 기기를 통해 다양한 원격 의료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블루투스를 이용한 DirectShow기반의 H.264 동영상 플레이어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H.264 Video player based on DirectShow via Bluetooth)

  • 박태준;조태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93-498
    • /
    • 2009
  • 블루투스는 저전력으로 근거리상의 디바이스들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통신하는 기술이나 저속의 통신속도를 갖고 있다. 따라서 파일이나 네트워크상의 동영상 스트리밍을 위한 플레이어는 많지만 Bluetooth를 통한 동영상 재생기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낮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갖는 Bluetooth를 통해 동영상을 전송시 인코더로는 높은 압축 효율을 보이는 MPEG-4 AVC/H.264가 적합하다. DirectShow는 Microsoft사가 개발한 소스필터 기반의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이자 API이다. DirectShow를 이용하여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필터를 쉽고 빠르게 개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H.264방식으로 인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블루투스를 통해 전송받아 디코딩하여 재생시킬 수 있는 DirectShow 기반의 플레이어의 설계 및 구현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다양한 비디오 샘플을 가지고 실험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블루투스 및 무선 LAN 시스템의 동시지원을 위해 Listen-Before-Talk 기법을 결합한 Adaptive Frequency Hopping 방식의 제안 (The hybrid method of Listen-Before-Talk and Adaptive Frequency Hopping for coexistence of Bluetooth and WLAN)

  • 김용석;;장경훈;차균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7B호
    • /
    • pp.706-718
    • /
    • 2002
  • In bluetooth system, there are two kinds of interference. One is the frequency static interference, for example 802.11 direct sequence, the interferer uses fixed frequency band. Another is frequency dynamic interference, for example other piconets or 802.11 frequency hopping, the interferer uses dynamic frequency channel and cant be estimated.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ovel solution of hybrid method of Listen-Before-Talk (LBT) and Adaptive Frequency Hopping (AFH) to address the coexistence of bluetooth and Direct Sequence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Before any bluetooth packet transmission, in the turn around time of the current slot, both the sender and receiver sense the channel whether there is any transmission going on or not. If the channel is busy, packet transmission is withdrawn until another chance. This is the LBT in Bluetooth. Because of asymmetry sense ability of WLAN and bluetooth, AFH is introduced to combat the left front-edge packet collisions. In monitor period of AFH, LBT is performed to label the channels with static interference. Then, all the labeled noisy channels are not used in the followed bluetooth frequency hopping. In this way, both the frequency dynamic and frequency static interference are effectively mitigated. We evaluate the solution through packet collision analysis and a detail realistic simulation with IP traffic. It turns out that the hybrid method can combat both the frequency dynamic and frequency static interference. The packet collision analysis shows it almost doubles the maximal system aggregate throughput. The realistic simulation shows it has the least packet loss.

안양지역 어린이집에서의 블루투스 염도계 사용에 따른 국의 염도 비교 (Comparison of Salinity of Soups on the Use of Bluetooth Salinity Meter at Childcare Centers in Anyang Area)

  • 김혜원;피재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435-443
    • /
    • 2020
  • 이 연구는 블루투스 염도계 사용이 어린이집에서 제공하는 국의 적정 염도 수준을 조절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2019년 1월부터 12월까지 안양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등록된 어린이집 중 나트륨 저감화 특화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어린이집(블루투스 염도계 사용 군, BG)과 참여하지 않은 어린이집(블루투스 염도계 미사용군, NG)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블루투스 염도계 사용 여부에 따라 국의 염도와 나트륨양을 비교하였을 때, BG의 값이 NG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블루투스 염도계의 사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염도와 나트륨양이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블루투스 염도계는 어린이집에서의 나트륨 저감화 교육과 관련하여 조리원들의 자발적인 염도 조절을 유도하는 수단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IoT와 BLE 통신상의 형태보존암호 활용 및 최적화 구현 기법 (Utilization and Optimized Implementation of Format Preserving Encryption Algorithm for IoT and BLE Communications)

  • 임지환;권혁동;우재민;안규황;김도영;서화정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1371-1378
    • /
    • 2018
  • 오늘날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많은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기기들이 무선으로 연결되는 데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기술이 바로 블루투스이다. 또한, IoT 디바이스와 사용자 간에 블루투스 통신은 주로 Bluetooth Low Energy (BLE)를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블루투스 통신기술이 점차 발전함에 따라 기존 BLE의 보안 취약점은 더욱 두드러질 것이다. 현재까지 블루투스 접근성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뤄지고 있지만, 블루투스 통신에서 데이터 보호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oT와 사용자 간 BLE 통신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평문이 아닌 형태보존암호 (Format Preserving Encryption Algorithm, FEA)를 통해 암호문을 주고받으며 통신하기 위한 효과적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 최적화 구현한 형태보존암호에 대해 Arduino와 PC에서 직접 테스트하여 성능을 측정한다.

지하광산용 근접경고시스템 개발을 위한 블루투스 비콘 신호의 수신 강도 분석 (Analysis of Received Signal Strength Index from Bluetooth Beacons to Develop Proximity Warning Systems for Underground Mines)

  • 백지은;서장원;최요순
    • 한국자원공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604-61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블루투스 비콘이 송신하는 저전력 블루투스 신호의 세기와 전파 방향성에 따른 수신 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ex, RSSI) 변화를 분석하였다. 자수정 지하광산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저전력 블루투스 신호의 RSSI 변화를 조사한 결과, 무지향성 비콘의 경우 비콘과 스마트폰 사이의 거리가 감소할수록 신호 세기가 증가할수록 RSSI 평균이 점차 증가하였다. 지향성 비콘의 RSSI 평균은 비콘과 스마트폰이 마주 보는 각도와는 연관성 없이 변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블루투스 비콘 기반의 지하광산 근접경고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LNA for 2.4GHz Bluetooth application

  • 유정근;김정태;허창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86-38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Bluetooth applications를 위한 Bipolar Transistor low noise amplifier (LNA)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LNA는 2.4GHz에서 14.31[dB]의 Gain과 1.59[dB]의 NF를 보였다. 또한 S11은 -13.5[dB], S22는 -21.4[dB]의 양호한 값은 보였다.

  • PDF

무선 네트워크 제어시스템에서의 블루투스와 지그비의 적용 가능성 (Applicability of Bluetooth and ZigBee in Wireless Networked Control System)

  • 박정일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9-15
    • /
    • 2018
  • This paper describes the applicability of Bluetooth and ZigBee networks for real-time control in wireless networked control system and suggests an effective usage of them. The Bluetooth SCO link, SPP and HID profiles and the ZigBee non-beacon enabled network are analyzed and the latency of them are measured. A number of wireless networked control system experiments are performed via DC motor control system and the various profiles of Bluetooth and ZigBee in real-time wireless networked control system are compared.

Bluetooth 기반의 U-헬스 케어 스마트 시스템 (Ubiquitous Health Care Smart System base on Bluetooth)

  • 김관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153-1157
    • /
    • 2012
  •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기술의 발달에 따라 우리 생활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인간의 생체 정보인 맥파 및 산소포화도를 계측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불루투스 기반의 u-헬스 케어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의 구현을 통하여 불루투스를 지원하지 않고 PC에서만 모니터링 하는 의료 장비를 불루투스 모듈을 추가하여 스마트폰으로 데이터를 모니터링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텔레매틱스를 위한 Bluetooth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연구 (Bluetooth Networks Systems for Telematics)

  • 서윤석;곽재혁;임준홍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제36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744-2746
    • /
    • 2005
  • 텔레매틱스(telematics)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운전자에게 운전은 물론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텔레매틱스 시스템은 운영시스템에 따라 내부시스템, 무선통신 네트워크, 텔레매틱스 센터부분으로 크게 나눠볼 수 있다. 이중에서 내부시스템 및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Bluetooh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Bluetooth는 다양한 주변기기들의 사용으로 인한 차내 배선의 복잡성을 해소하고 주변 기기들에 대한 중앙 집중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Bluetooth는 GPS 항법 시스템 개발자가 최상의 GPS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있어 가장 비용 효과적이고 상용화 시간을 최소화하며 상호 운용성이 가장 뛰어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텔레매틱스 시스템에서 내부시스템 및 무선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는 Bluetooth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차량의 진동에 의한 전파 오류, 전파 반사, 전파간의 간섭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