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ckchain

검색결과 1,001건 처리시간 0.023초

국경 무정차 통과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국제 철도 통관 체계 상호운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nteroperability of the International Customs Clearance System based on Blockchain for Railroad Non-Stop Passing System)

  • 김성빈;원종운;김희상;김도훈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9권1호
    • /
    • pp.1-13
    • /
    • 2023
  • Transportation of goods by rail in border areas requires considerable time, money, and human resources. Therefore, in this study, a blockchain-based non-stop passing system is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study, each transit station and train are designated as one network node, and the corresponding node participates in the blockchain network to record and verify data. In the process, we will design a blockchain network using Docker and design a network interface. Without changing the data and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existing legacy clearance system,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blockchain network to ensure the integrit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and to minimize the consumption of time and human resources. The railroad non-stop passing system aims to change the existing legacy system to a blockchain-based non-stop passing system.

Prospect Analysis for Utilization of Virtual Assets using Blockchain Technology

  • Jeongkyu Ho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2권1호
    • /
    • pp.64-69
    • /
    • 2024
  • Blockchain is a decentralized network in which data blocks are linked. Through a decentralized peer-to-peer network, users can create shared databases, resulting in a trustworthy and aggregated database known as a blockchain that enhances reliability and security. The distributed nature of the blockchain enables data to be stored on multiple nodes, eliminating the need for a central server or platform. This disintermediation significantly reduces the transaction and administrative costs. The blockchain is particularly valuable in applications where reliability and stability are critical because it establishes an open database that ensures data integrity, making it virtually impossible to tamper with or falsify data. This study explores the diverse applications of the blockchain technology in virtual assets, such as cryptocurrency, decentralized finance,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nonfungible tokens, and metaverses. In addition, it analyzes the potential prospects and developments driven by these innovative technologies.

Why is the Interest in Blockchain Still on the Decline? Blockchain Challenges, Review, and Research Agenda

  • Kumar Saurabh;Neelam Rani;Ridhi Arora;Debasisha Mishra;Ramkumar M.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2권2호
    • /
    • pp.191-225
    • /
    • 2022
  • Based on its technological elements (distribution, encryption, immutability, tokenisation, decentralisation, and smart contracts), blockchain has drawn considerable attention in various industries and verticals. Still, the strategic adoption of blockchain is in its early stages because of the current barriers and challenges in the areas of 'customer experience', 'business models', and 'operational processes.' This work delivers a comprehensive synopsis of the fundamental challenges faced by blockchain adopters in their digital journey, based on a literature survey. The authors leveraged MAXQDA software and the theory, context, characteristics, and methodology (TCCM) framework to develop themes, findings, and evidence for adoption barriers. The research evaluates the literature on blockchain adoption challenges and offers research insights and managerial agendas for future inferences.

스마트 컨트랙트 프로그래밍 언어 동향 조사 (Survey on Smart Contract Programming Languages)

  • 김익순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5권5호
    • /
    • pp.134-138
    • /
    • 2020
  • Blockchain is an enabling technology for managing data with high trust and transparency among connected computers. Blockchain emerged with the advent of the Bitcoin cryptocurrency, and then, evolved as general-purpose platforms such as Ethereum, EOS, R3 Corda, and IBM Hyperledger Fabric. The application of blockchain covers a broad range of areas such as fintech, decentralized identity, distribution, real estate trading, games, and drone air traffic management. Smart contracts are indispensable for constructing blockchain services. This survey classifies smart contract languages by their features and shows their differences from existing general-purpose programming languages.

컨소시엄 블록체인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sortium Blockchain Governance Framework)

  • 박진상;김정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89-94
    • /
    • 2019
  •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한계로 인해 여러 조직들이 컨소시엄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다. 조직이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비즈니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전략과 목표에 따라 블록체인 온체인과 오프체인 상의 의사결정권, 책임성, 보상체계와 같은 '블록체인 거버넌스' 요소들을 고려해야 한다. 조직이 블록체인 거버넌스가 부재한 상태로 비즈니스를 수행하면 조직의 전략과 목표를 체계적이면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없고, 조직의 이해관계자들의 기대 및 법규 등의 내 외부 요구사항들을 준수할 수 없다. 하지만 컨소시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가 확대됨에 따라 컨소시엄 블록체인 거버넌스가 필요로 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이 컨소시엄 블록체인을 활용한 비즈니스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기능 및 역할과 책임을 포함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컨소시엄 블록체인 거버넌스 프레임워크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두 차례에 걸쳐 블록체인과 거버넌스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통해 프레임워크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기능, 역할과 책임을 포함한 컨소시엄 블록체인 거버넌스 프레임워크의 구성 요소들이 완전하고 타당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수정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권한 변경 및 접근 제어시스템 (Redactable Blockchain Based Authority Alteration and Accessn Control System)

  • 이연주;최재현;노건태;정익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513-525
    • /
    • 2022
  • 블록체인의 불변성은 블록체인의 보안을 담당하는 주요 요인으로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한다. 그러나 블록체인에 한 번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수정이 불가하다는 특성은 특정 사용자에 의해 악용될 여지가 존재한다. 실제로 비트코인 상에는 유해 데이터, 사용자 개인 데이터와 같이 블록체인에 기록되기에 부적절한 콘텐츠들이 노출되어 있다. 블록체인에 존재하는 부적절한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안으로는 G. Ateniese 등에 의해 처음으로 제안된 카멜레온 해시 기반 수정 가능한 블록체인이 존재한다. 수정 가능한 블록체인은 데이터 수정·삭제가 가능하다는 특성으로 GDPR의 잊힐 권리(right to be forgotten)를 충족하며, 최근 개인 데이터 관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중 Y. Jia 등의 연구에서는 수정 가능한 블록체인 상에서 사용자 개인 데이터 관리가 가능한 모델을 제안하였으나 블록체인 참여 노드인 준 신뢰하는 규제자(semi-trusted regulator)가 블록체인에서 모든 블록에 대한 수정 권한과 트랜잭션 권한 박탈 등의 과도한 권한을 가지고 있어 부작용의 소지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Y. Jia 등의 연구에서 규제자의 권한을 약화하고자 권한 주체 변경 및 권한 공유 방법을 제시하고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를 토대로 수정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권한 변경 및 접근 제어 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

A Heterogeneous IoT Node Authentication Scheme Based on Hybrid Blockchain and Trust Value

  • Zhang, Shiqiang;Cao, Yang;Ning, Zhenhu;Xue, Fei;Cao, Dongzhi;Yang, Yongl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9호
    • /
    • pp.3615-3638
    • /
    • 2020
  • Node identity authentication is an essential means to ensure the security of the Internet of Things. Existing blockchain-based IoT node authentication schemes have many problems. A heterogeneous IoT node authentication scheme based on an improved hybrid blockchain is proposed. Firstly, the hybrid blockchain model is designed to make the blockchain and IoT environment more compatible. Then the proxy node selection mechanism is intended to establish a bridge between the ordinary IoT node and the blockchain, building by calculating the trust value between nodes. Finally, based on the improved hybrid blockchain, the node authentication scheme of the model and proxy node selection mechanism establishes a secure connec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nodes. Safety and performance analysis shows proper safety and performance.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 인증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Blockchain-based System Authentication Method)

  • 김성환;김영곤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11-218
    • /
    • 2020
  • 최근 블록체인 기술의 등장으로 이 기술을 적용하여 기존의 시스템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블록체인 기술의 합의원장과 스마트 컨트렉트를 이용하여 문서, 증명, 인증, 검증 등의 과정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 분산처리를 기반으로 하여 보안 성능과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해 민간 분야에서 인증서, 암호화, 해쉬연산, 블록체인 등을 활용한 방법들을 연구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실용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어 기술 확산에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업무 플랫폼 환경에서 적용이 용이하고 사용자 편의성과 강력한 보안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장치 등록 인증 알고리즘, 블록체인 기반 질의응답 인증 알고리즘, 인증서 발급, 검증 프로세스와 암호화 알고리즘, 서버사이드 인증 알고리즘의 4가지 방법으로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 인증방법에 대해 제안하였다.

사물인터넷을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킹에 대한 연구 (A Study on Blockchain Networking for Internet of Things)

  • 이일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201-210
    • /
    • 2018
  • 신뢰하기 어려운 인터넷 환경에서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사물인터넷 (IoT Internet of Things)에 적용한 '블록체인 기반 IoT'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그러나 현재의 블록체인 기반의 IoT 기술은 확장성과 보안성 측면에서 실생활에 응용하기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각광받는 사물인터넷 디지털 비즈니스를 실현시키기 위한 블록체인 네트워킹 기술의 확장성과 보안성 난제를 고찰하고 정책과 샤딩, 오프체인, 비식별화, P2P 암호화폐 교환 등의 기술적 해결 방안 도입을 제안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안성과 확장성을 보장하는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현하고 기존의 블록체인 플랫폼과 비교할 계획이다.

Key Success Factors of Blockchain Platform for Micro-enterprises

  • YANG, Mei-Hsiang;LEE, Tzong-Ru;CHANG, Tin-Cha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3호
    • /
    • pp.283-293
    • /
    • 2019
  •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hreefold: (1) develop key successful factors of blockchain platform for micro-enterprises based on Balanced Scorecard (BSC), (2)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ey successful factors of blockchain platform for micro-enterprises, and (3)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micro-enterprise blockchai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oretical guidance and practical application. This study combines Interpretative Structural Modeling Method, (ISM) and Decision-Making Trial and Evaluation Laboratory (DEMATEL)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and hierarchical structures of the 12 key successful factors of blockchain platform for micro-enterprises and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The 12 key successful factors developed based on the four perspectives of the Balanced Scorecard, and the questionnaire designs based on the concept of DEMATEL, and then analyzed data by DEMATEL and ISM method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key factor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key successful factors of blockchain platform for micro-enterprises include "brand equity", "security and anti-counterfeiting", "sales growth", "transparency and clear", "trust", "consensus mechanism", "traceability", "consistency", "tracking", "innovation management", "international", "organizational adaptation", in which consumer "trust" plays an important role. Micro-enterprises can use blockchain to expand the market, provide customers with better service quality, and bring sales growth to micro-enterpri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