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ended essential oil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9초

돈육의 브랜드화를 위한 Blended Essential Oil의 육질개선 효과 (Effects of Feeding Blended Essential Oils on Meat Quality Improvement for Branded Pork)

  • 장해동;홍성민;정지홍;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2호
    • /
    • pp.125-130
    • /
    • 2010
  • 본 시험은 Blended Essential Oil 급여가 비육돈의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개시시 평균체중이 66.24 kg인 3원 교잡종(Landrace ${\times}$ Yorkshire ${\times}$ Duroc) 비육돈 80두를 공시하였으며, 10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1) CON (basal diet) 2) NBE (basal diet + 75 ppm of blended essential oil), 3) NBA (basal diet + 0.3% Benzoic acid)] 및 4) BEB [basal diet + 75 ppm of blended essential oil (with 0.3% Benzoic acid)]로 4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4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등심은 일반도축장에서 110~120 kg 도축 후 수집하였다. 육질평가 결과, 근내 지방도는 NBE 처리구가 CON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경도는 NBA 처리구가 CON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Total UFA/SFA는 NBA 처리구가 BEB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에 본 시험결과, 비육돈에 blended essential oil의 첨가는 육 및 지방 내 지방산 조성을 개선시킴으로써 브랜드 돈육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Blended Essential Oil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Profiles and Fecal Characteristics in Weanling Pigs

  • Huang, Y.;Yoo, J.S.;Kim, H.J.;Wang, Y.;Chen, Y.J.;Cho, J.H.;Kim, I.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5호
    • /
    • pp.607-613
    • /
    • 2010
  • The influence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blended essential oil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profiles and fecal characteristics was evaluated in 125 crossed ((Duroc ${\times}$Yorkshire) ${\times}$Landrace) pigs (6.21${\pm}$0.20 kg initial body weight and 21 d average age). The pigs were allotted to the following treatments: i) NC (antibiotic free diet), ii) PC (NC diet+44 ppm tylosin), iii) T1 (NC diet+0.1% essential oil), iv) T2 (NC diet+0.1% essential oil (with 0.3% Benzoic acid)) and v) T3 (NC+22 ppm tylosin and 0.05% essential oil). Average daily gain (ADG) was improved in the T2 group on d 14 (p<0.05). In addition, nutrient digestibility was partially affected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by the treatments. Furthermore, the immune system was stimulated and the fecal pH and fecal noxious gases were improved in pigs that received the diets supplemented with essential oil (p<0.05). The appearance and score of diarrhea also tended to be lower in pigs that were subjected to the essential oil treatments. Coll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of the diet with blended essential oils could replace treatment with antibiotics to improve growth performance and fecal characteristics.

Effects of essential oil (blended and single essential oils) on anti-biofilm formation of Salmonella and Escherichia coli

  • Oh, S.Y.;Yun, W.;Lee, J.H.;Lee, C.H.;Kwak, W.K.;Cho, J.H.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2호
    • /
    • pp.4.1-4.5
    • /
    • 2017
  • Background: Biofilms were the third-dimensional structure in the solid surface of bacteria. Bacterial biofilms were difficult to control by host defenses and antibiotic therapies. Escherichia coli (E. coli) and Salmonella were popular pathogenic bacteria that live in human and animal intestines. Essential oils are aromatic oily liquids from plant materials and well known for their antibacterial activitie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 of essential oil on anti-biological biofilm formation of E. coli and Salmonella strains in in vitro experiment. Two kinds of bacterial strains were separated from 0.2 g pig feces. Bacterial strains were distributed in 24 plates per treatment and each plates as a replication. The sample was coated with a Bacterial biofilm formation was. Result: Photographic result, Escherichia coli (E. coli) and Salmonella bacteria colony surface were thick smooth surface in control. However, colony surface in blended and single essential oil treatment has shown crack surface layer compared with colony surfaces in control.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essential oils have some interesting effect on anti-biofilm formation of E. coli and Salmonella strains from pig feces.

블렌딩 에센션오일의 항균효과 증진 (Improved Antibacterial Effect of Blending Essential Oils)

  • 권필승;김대중;박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6-262
    • /
    • 2017
  • 식물로부터 유래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인 에센셜 오일은 인체에 약리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농성 질환과 병독성 질환 비뇨기계통 감염에 나올 수 있는 병원성 세균 Staphylococcus aureus (그람양성알균), Escherichia coli (그람음성막대균), Pseudomonas aeruginosa (그람음성막대균, 극성단모균)을 대상으로 천연 허브 오일 중에 비교적 많이 알려져 있는 라벤더(lavender), 티트리(tea tree), 로즈마리(rosemary), 멜리사(melisa) 4종류의 단일 오일과 비교해, 티트리와 로즈마리, 멜리사를 블렌딩하였을 때 항균력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그 결과 디스크 확산법에서 블렌딩 오일(티트리, 로즈마리, 멜리사)의 경우 단독의 허브오일보다 S. aureus에서18 mm, E. coli 에서 22 mm 와 P. aeruginosa는13 mm의 우수한 항균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블렌딩 오일의 경우 최소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분석에서 S. aureus, E. coli 에서는 0.3125%에서, P. aeruginosa는 1.25%에서 성장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블렌딩 오일이 Oxacillin과 로즈마리, 티트리보다 항균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증명되어 단독의 허브오일보다 블렌딩 오일이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허브의 블렌딩을 활용하면 다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시너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입증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천연보존제와 건강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에 활용 가능성을 기대해본다.

항균작용에 대한 에센셜 오일들 간의 상승작용 탐색 (Exploring synergistic effect among essential oils in antibacterial action)

  • 김가은;박순권;조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547-55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피부상재균을 대상으로 단일오일의 항균효과를 살펴보는 동시에 2가지 이상의 오일을 혼합한 블랜딩 오일이 실제로 상승효과를 일으키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항균실험에 사용된 에센셜 오일은 100% 유칼립투스(EU), 레몬(LE), 라벤더(LA) 오일이었으며, 2가지 오일 블랜딩의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EU+LE, LE+LA, EU+LA을 1:1의 비율로, 3가지 오일 블랜딩의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오일을 1:1:1 비율로 혼합하여 배지의 표피포도상구균에 적용한 후 항균 영역 값을 평균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단일오일에서는 LE이 가장 높은 항균력을 보였으며, LA는 가장 낮은 항균력을 보였다. 2가지오일 블랜딩에서는 EU+LA의 항균력이 단일오일의 항균력의 합보다 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3가지 오일 블랜딩의 항균효과는 아주 낮게 나타나 상승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블랜딩 한 오일의 수 보다 오일을 구성하는 화학 성분들 간의 상호작용이 상승효과에 더욱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에센셜 오일 블랜딩에 대한 과학적 증거 마련이 더욱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Differences in Neurotransmitters Level as Biomarker on Sleep Effects in Dementia Patients with Insomnia after Essential Oils Treatment

  • Kyung-Bok Lee;Sana Latif;Young-Sook Ka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1권3호
    • /
    • pp.298-305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everal essential oils on insomnia in dementia patients following transdermal treatment (aromatherapy). The mean change rates (%) of sleep biomarkers were compared between the single essential and jojoba (vehicle) oil massage groups in this study. The lavender (L) essential oil massage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ean change rate (%) of 24-h urinary free cortisol, whereas the valerian (V) essential oil massage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an change rate (%) of serum 5-hydroxytryptamine. In additio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an change rate (%) of 24-h urinary norepinephrine was observed in the chamomile (C) essential oil massage group only. Based on these results, valerian, lavender, and chamomile oils were mixed in different ratios to produce blending oils A (L:C:V=2:2:1), B (L:C:V=3:1:1) and C (L:C:V=1:3:1). The highest level of serum 5-hydroxytryptamine was observed after administering blending oil A. These results suggest that blending oil A might possess therapeutic effects against insomnia. Overall, it is hypothesized that the optimally blended essential oil will produce synergic effects when combined with hypnotic drugs.

Grapefruit seed extract와 7종의 Essential oil 및 혼합 Essential oil의 항균 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grapefruit seed extract and seven kinds of essential and blended essential oils)

  • 육영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98-205
    • /
    • 2021
  • 본 배경 : 질염은 항생제를 복용하는 방식으로 치료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항생제의 지속적인 치료는 내성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 방법 : Lactic acid bacteria 2종에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항균 활성을 보고자 한다. SE(Grapefruit Seed Extract), eucalyptus, tea tree, clove bud oil, cinnamon oil, lemongrass oil, thyme oil, ginger oil을 일정 비율로 넣어 배양 후, 병원성 미생물- E. coli, C. albicans와 Lactic acid bacteria은 균주에 맞는 배지를 사용하여 균 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 Essential oil 7종과 GSE가 병원성 미생물에 억제 효과가 있으며, 병원성균(E. coli, C. albicans)에 대한 Grapefruit seed extract(GSE)의 억제농도를 확인하였다, 병원성균은 억제하고 Lactic acid bacteria는 억제하지 않는 배합비도 확인하였다(GSE 농도가 200ppm에서 Eucalyptus globulus(EG) oil 50㎕와 Melaleuca alternifolia oil(Tea tree oil, TTO) 50㎕(pH 5.0, 5.5, 6.0)). 결론 : 본 실험에서 Essential oil은 다양한 항균 활성 가지고 있어 항생제 대안으로도 생각할 수 있으며, 장기 항생제 치료환자에 대한 보조 항균제로서도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식물정유 및 혼합물의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에 대한 살비 및 기피활성 (Toxicity and Repellent Activity of Plant Essential Oils and Their Blending Effects Against Two Spotted Spider Mites, Tetranychus urticae Koch)

  • 윤준호;탁준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99-20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종의 식물정유를 이용하여 점박이응애 성충에 대한 살비활성 및 기피활성을 확인하였다. 살비활성 평가에서는 샌달우드 오일이, 기피활성 평가에서는 클라리 세이지 오일이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평가에 사용한 20종의 식물정유간에는 살비활성과 기피활성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높은 활성을 나타낸 정유들의 혼합시험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조합이 서로간에 저해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샌달우드 및 클라리 세이지 오일의 구성성분은 GC/MS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샌달우드는 세스퀴터펜류가, 클라리 세이지 오일은 모노터펜류가 주종을 이루었다. 클라리세이지 오일의 구성성분 중에서는 linalyl acetate가 가장 높은 함량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정유가 기피효과를 갖는 주된 효능물질임을 확인하였다.

UV-Vis spectrophotometry법을 이용한 다양한 유지류로부터 헴프씨드 오일의 진위 판별법 (Authentication of Hempseed Oil from Different Commercial Oils Using Simple UV-Vis Spectrophotomety)

  • 이윤진;강덕경;김영민;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62-367
    • /
    • 2022
  • 대마씨의 외종피를 탈각하여 Tetrahydrocanabinol이 제거된 헴프씨드는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헴프씨드 오일은 α-linolenic acid 및 γ-linolenic acid 등의 다가 불포화 지방산 및 지용성 비타민 등이 풍부하여, 인지 기능 및 운동기능 개선, 콜레스테롤 감소, 혈관 염증 완화, 혈전 생성 억제, 신경세포 손상 방지 등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헴프씨드 오일은 여타의 식물성 유지(콩기름, 옥수수유, 올리브유, 카놀라유, 아미씨유)보다 45~140배 이상 고가로 판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TIR, FTIR-Raman, ATR-FTIR-MIR spectroscopy와 같은 고가의 장비와 전문인력에 의한 분석 없이도 헴프씨드 오일의 진위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간편한 UV-Vis spectrophotometry법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다양한 오일의 245, 305, 및 415 nm 흡광도를 측정하고, 245/415 nm 및 305/415 nm에서의 흡광도의 비를 계산하여 12.9 및 9.6이 나타나는 경우 헴프씨드 오일임을 확인하였다. 콩기름, 옥수수유, 카놀라유 및 아미씨유의 경우에는 각각 35.4~61.8 및 29.7~50.8을 나타내어 헴프씨드 오일과 쉽게 구분 가능하였다. 상기의 방법은 헴프씨드 오일에 여타의 식물성 유지류를 혼합하는 경우에도 혼합 여부 판별에 이용 가능하였다.

Insect Repellency and Crop Productivity of Essential Oil Films

  • KIM, Jin Gu;KANG, Seok Gyu;MOSTAFIZ, Md Munir;LEE, Jeong Min;LEE, Kyeong-Yeoll;HWANG, Tae Kyung;LIM, Jin Taeg;KIM, Soo Yeon;LEE, Won He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95-10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oniferous essential oils (EOs) blended films on insect repellence and crop productivity.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film is widely used, especially in agriculture and for food packaging. Ethylene vinyl acetate was blended with LDPE to reduce volatilization of EOs. An EO from Japanese cypress (Chamaecyparis obtusa) was incorporated into the blend film to conduct field research on antimicrobial and insect repellent properties. Among the various concentrations of EO, the highest concentration (2.5%)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in terms of pesticidal activity. The ability to inhibit microbial growth can be explained by the lipophilic properties of the EO component, and many studies have already demonstrated this. Agricultural films containing all types of EO have been tested on various crops such as chili, cucumber, Korean melon and have been able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in avoiding pests and increasing yields. From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it is reasonable to use a modified film such as a composite film containing an EO for agriculture. Thus, the modified film containing EO has undoubtedly shown impressive potential for reducing the use of pesticides in a variety of ways, not only for agricultural mulching film but also for food and agricultural product packaging. This product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chemical and is safe for agricultural and industrial and food packaging applications, among others. In particular, the use of agricultural films significantly reduces the use of pesticides, suggesting that farmers can increase their incomes by reducing working hours and costs, and increasing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