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sting effects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6초

지르코니아 표면 가공에 따른 상변이 (Phase transition of Zirconia by surface treatments)

  • 이정수;심정석;정형호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7-63
    • /
    • 2010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reatments on the surface of Zirconia. Methods : To this end, we selected six treatments that have been used widely: steam cleaning, 2bar & 6bar sand blasting, grinding by green stone point, grinding by diamond bur, and grinding by diamond bur with water spray. Results :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ed that monoclinic rate increased from all six treatments. Monoclinic rate varied by treatments, ranged from 0.6% (steam cleaning) to 6.5% (6bar sand blasting). These values from all six treatments were below ISO 13356 standard, which is 25%. Also, we found that two treatments (green stone point and diamond bur) increased roughness of surface of Zirconia. Conclusion : This study concluded that phase changes of Zirconia were not significant by using six treatments we employed.

천공패턴 및 기폭시차의 변화에 의한 파쇄암의 입도 분포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Size Distribution of Fragmentation by Effects of Drilling Pattern and Time Delay Using the Sequential Blasting Machine)

  • 이춘우;양형식;송승근
    • 화약ㆍ발파
    • /
    • 제18권4호
    • /
    • pp.43-5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계단식 발파에서 파쇄입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로부터 대괴를 줄이는 새로운 발파패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광주 제2순환도로 대절토 구간에서 천공경, 1회발파공수, 화약의 종류 등의 영향을 파쇄암의 평균입자의 크기와 상위 5개의 대괴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대괴의 크기는 평균 파쇄암의 크기와 선형적인 추이를 나타내었으며 평균파쇄도는 저폭속 폭약인ANFO가 NewMITE 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또 천공경 65 mm와 75 mm로 ANFO즉 사용했을 때 파쇄도는 약포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 파쇄도가 양호하게 나타났고 총공수와 파쇄도를 살펴본 결과 평균파쇄도와 대괴의 크기는 대제적으로 총공수의 증가에 비례하여 커지는 경향이었으며 평균파쇄도 보다는 대괴의 크기가 증가의 폭이 컸다. 한편 첫째 열을 2단 분리장약했을 때가 일반 발파나 1열 소단벤치발파 때보다 파쇄도가 좋았다.

  • PDF

에멀젼 폭약의 수직 장공 장약 시 낙하 충격에 의한 성능 영향 (The Effect of Performance on Loading Impact of Emulsion Explosive in Long Vertical Borehole)

  • 이영호;이승찬;이응소
    • 화약ㆍ발파
    • /
    • 제25권1호
    • /
    • pp.45-52
    • /
    • 2007
  • 수직으로 12m 천공된 노천발파 현장에서 본당 1kg의 에멀젼 폭약을 자유낙하 하여 장약하면 117.6J의 낙하충격 에너지가 발생한다. 에멀젼이 강한 외부의 충격을 받으면 과포화 상태로 불연속상을 형성하고 있는 산화제 수용액 입자가 서로 뭉쳐서 결정으로 석출되고, 예감제의 일부가 파괴되어 비중이 상승된다. 산화제 수용액이 석출되어 에멀젼이 파괴되거나, 에멀젼 폭약의 비중이 높아지면 폭속 및 기폭감도가 저하된다. 본 연구에서는 직경 75mm, 길이 12m의 PVC 파이프를 수직과 $70^{\circ}$ 각도로 세우고, 약경 50mm 에멀젼 폭약을 낙하하여 충격에 의한 성능 변화를 평가하였는데 폭굉 에너지는 최대 26%까지 감소하나 전체 발파공에서 발파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3% 이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PFC2D에서의 발파에 의한 파괴 메커니즘의 수치적 모델링 (Numerical Simulation of Fracture Mechanism by Blasting using PFC2D)

  • 정용훈;이정인;전석원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6권6호
    • /
    • pp.476-485
    • /
    • 2006
  • 발파에 의한 암반의 손상이나 파쇄는 폭약의 폭굉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파와 가스팽창의 영향에 의해 야기된다. 발파에 의한 파괴 메커니즘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메커니즘을 같이 연구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요소법에 기초한 수치해석 프로그램인 PFC2D를 이용하여 발파공 벽면에 작용하는 폭굉압과 가스압을 동시에 모델링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암반 내 균열 발생을 확인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또한 시멘트-모르타르 블록에서의 모형 발파시험을 수치해석을 수행함으로써, 개발된 알고리즘을 검증하였다.

Characteristics of crater formation due to explosives blasting in rock mass

  • Jeon, Seokwon;Kim, Tae-Hyun;You, Kwang-Ho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9권3호
    • /
    • pp.329-344
    • /
    • 2015
  • Cratering tests in rock are generally carried out to identify its fragmentation characteristics. The test results can be used to estimate the minimum amount of explosives required for the target volume of rock fragmentation. However, it is not easy to perform this type of test due to its high cost and difficulty in securing the test site with the same ground conditions as the site where blasting is to be performed. Consequent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rock fragmentation by using the hydrocode in the platform of AUTODYN. The effectiveness of the numerical models adopted are validated against several cratering test results available in the literature, and the effects of rock mass classification and ground formation on crater size are examined. The nume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dimension of a crater is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rock quality, and the formation of a crater is highly dependent on a rock of lowest quality in the case of mixed groun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also be applied to the estimation of the level and extent of the damage induced by blasting in concrete structures.

단일공 발파에서 생성된 균열망에 작용하는 가스압의 수치해석적 산정 (Numerical Simulation of Gas Flow within a Radial Fracture Created by Single-Hole Blasting)

  • 정용훈;이정인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6권5호
    • /
    • pp.413-421
    • /
    • 2006
  • 발파에 의한 암반의 동적 파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발생한 폭굉압과 가스압의 작용을 동시에 연구해야 한다. 발파 과정에서 폭굉압과 가스압의 발파공 벽면에의 작용을 동시에 모델화하여 이에 따른 암반과의 상호 작용을 수치해석하는 연구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단일 발파공에서 생성된 단일 균열망에서의 가스 유동에 미치는 가스압 이력, 균열 길이 그리고 가스압을 산정하기 위해 적용한 상태 방정식의 영향에 대해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단일공 발파에 의해 길이 0.01 m, 간극 0.001 m으로 동일한 5개의 균열로 구성된 단일 균열망이 생성되었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지름이 45 mm인 발파공에 지름이 36 mm인 PEIN을 장약하였다고 가정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균열망을 구성하는 개별 균열에 작용하는 최대 가스압력과 그 도달시간은 사용 폭약의 특성과 균열망의 기하학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FM metal과 zirconia의 표면상태에 따른 전단결합강도 분석 (Shear bond strength analysis of PFM metal and zirconia with different surface condition)

  • 정재관;김경아;이수옥;김기백;김재홍;김영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329-433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금속 도재관과 지르코니아 도재관 보철물의 하부 구조물인 금속과 상부 도재의 결합강도 (금속군), 하부 구조물인 지르코니아와 상부 도재의 전단결합강도 (지르코니아군)를 결정함에 있어서 각각 하부 구조물인 금속과 지르코니아의 표면 처리를 다르게 하였을 때,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금속군에서는 금속 표면에 각각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집단(NM), 모래분사를 실시한 집단(SM), 불투명 도재를 도포한 집단(OM), 모래분사와 함께 불투명 도재를 도포한 집단(SOM) 총 4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지르코니아군에서는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집단(NZ), 표면에 모래 분사를 실시한 집단(SZ), 지르코니아 표면에 이장재(지르라이너)를 처리한 집단(LZ), 모래분사와 이장재 처리를 함께한 집단(SLZ) 총 4집단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금속군과 지르코니아군 각각의 4집단의 표면 처리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에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SPSS를 사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금속 도재관의 경우 하부 구조물인 금속 표면에 모래분사를 한 후 불투명 도재를 도포하는 것이 가장 권장되며, 지르코니아 도재관의 경우 하부 구조물인 지르코니아 표면에 모래분사를 한 후 지르라이너를 도포하는 것이 권장된다.

SPH-FEM 연계기법을 이용한 MDS 발파법의 기폭패턴별 암석파괴 효과 분석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Initiation Sequences of the MDS Blasting Method on Rock Fracturing Using SPH-FEM Coupling Technique)

  • 최병희;김영근;전기찬;오세욱
    • 화약ㆍ발파
    • /
    • 제41권3호
    • /
    • pp.13-25
    • /
    • 2023
  • 종래의 벤치발파 공법은 한 발파의 모든 발파공에 역기폭을 적용하지만 MDS (mixture detonation system) 발파공법에서는 각 발파공의 공간적 또는 시간적 순서에 따라 정기폭과 역기폭을 교대로 적용한다. 공간적 순서에 따라 교대 적용하는 공법을 SMDS (spatial MDS), 시간적 순서에 따르는 공법을 TMDS (temporal MDS)라 부른다. 또 하나의 변종으로서 MMDS (modified MDS)가 있는데, 이 공법은 비산문제가 있는 현장을 위한 특수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암석파괴 효과의 측면에서 MDS 발파공법을 종래공법과 비교한다. 비교는 LS-DYNA 상에서 2열 벤치발파 모델에 대한 수치적 시뮬레이션으로 이루어진다. 수치모델에서는 SPH-FEM 연계기법을 적용한다. SPH 요소는 발파공 부근의 근거리 영역의 암석에 적용하고, FEM 요소는 그 바깥의 원거리 영역에 적용한다. 암석에 대한 재료모델은 RHT 모델을 사용한다. 실제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벤치고 3.0 m, 저항선 1.6 m의 경우에 SMDS 발파공법이 종래공법에 비해 최대 0.4 m 더 깊은 파괴영역을 보였다. 덧붙여, MMDS 발파공법의 경우, 여타 공법들에 비해 벤치면 전방으로의 암편의 비산속도가 약 2.0 m/s 더 낮게 나타났다.

지하철건설에 따른 문화재 보호와 동대문역사시공 보고서(1) (Study on the measurement of blasting vibration response in construction a subway station at East gate of cultural treasure)

  • 최상열;이수복;허진;채수연
    • 기술사
    • /
    • 제17권3호
    • /
    • pp.32-49
    • /
    • 1984
  • The East gate station area is 205M long and 24m deep which is located 13 meter in front of cultural treasure east gate. The area to be excavated by blasting is composed of granite rocks from 10M depth to 25M. Surface earth extends to up 10M depth. This job site has in involves heavy traffic congestion such as over 10,000 cars passing in rush hour where clossing No 1 lint of subway running 3 minitues head way. This east gate station construction is to be executed for the provent of the setting down of underground level and blasting vibration effects to cultural treasure east gate. Therefore, the caltural treasure committee approved this execution subject to the following condition. 1. Subway gelogical foundation and measured natural frequency 2. Execution of water tight wall 3. Sellection and test of damping material for wall and under rail 4. Measurement of monitoring system during the execution 5. Measurement of histogram system The above two projects was carried out by Dr. Kwang team in KAIST and prof, Han in Hanyang University under accadamic study contract. In the blasting work, for the pourpose of reduced vibration and low explosion velocity such as CCR, Kovex slurry. The 2nd, used electrical caps shall be delay cap and M/S caps in multi delay. The 3rd, drilling pattern is bench cut in open cut and applied control blasting in tunnelling and also shall drill anti-vibration holes as line drilling.

  • PDF

전자뇌관을 이용한 터널발파의 근거리 지반진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Near-field Ground Vibration in Tunnel Blasting using Electronic Detonators)

  • 김용표;김갑수;손영복;김재훈;김희도;이준원
    • 화약ㆍ발파
    • /
    • 제31권1호
    • /
    • pp.76-86
    • /
    • 2013
  • 전자뇌관을 사용하여 근접 보안물건에 대한 터널발파 진동제어를 위해서는 근거리 발파진동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터널발파 진동의 결정에 있어서, 심발부와 확대부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계측자료는 "원주~강릉 복선전철 제${\bigcirc}{\bigcirc}$공구 노반건설공사" ${\bigcirc}{\bigcirc}{\bigcirc}$ 터널 현장의 기존 도로 하부통과 구간에서 획득하였다. 이에, 0.01%의 높은 시차 정밀도를 가진 터널용 전자발파시스템을 활용하여, 최대 지발당 장약량을 정밀하게 유지함으로써 뇌관 오차에 의한 진동 증폭현상을 제거하고, 진동제어에 유리한 심빼기 발파방법으로 번 컷(Burn-Cut)을 채택하였다. 그 결과, 심발부의 진동수준이 가장 높다는 일반적인 발파 상식과 달리 확대부의 진동수준이 상대적으로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근접 거리의 터널 발파진동은 전자뇌관을 심발부에 적용함으로서 저감시킬 수 있으며, 전체 영역에 전자뇌관을 사용할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발파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