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de Number

검색결과 490건 처리시간 0.027초

껍질째 먹는 배 '조이스킨' 육성 (Breeding of 'Joyskin' Pear as fruit for Eating with the Skin)

  • 김윤경;강삼석;조광식;원경호;신일섭;김명수;마경복;이인복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6호
    • /
    • pp.959-965
    • /
    • 2016
  • 껍질째 먹는 배 '조이스킨'은 1994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연구소에서 '황금배'와 '조생적'을 교배하였다. 317개 교배실생 중 식미가 우수하고 껍질을 벗기지 않고 먹을 수 있는 '17-04-53'을 2006년 최초로 선발하고 2006년부터 2011년까지 9개 지역, 10개 장소에서 지역적응 시험을 거친 후, 최종 선발하여 '조이스킨'으로 명명하였다. '조이스킨'은 '황금배'와 마찬가지로 수세가 강하고, 반개장형이다. '조이스킨'의 평균 만개기는 4월 21일로 '황금배'와 유사하며 숙기는 9월 6-8일로 '황금배' 보다 7-8일 이상 빠르고 과형은 원형, 성숙기에는 선황색을 띈다. 평균과중은 320 g 내외, 과육경도는 $2.5kg/8mm{\varphi}$로 '황금배'와 유사하였다. blade type으로 측정한 '조이스킨'의 과피경도는 22.9 N으로 '황금배' 29.9 N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만풍배', '신고', '황금배', '조이스킨'의 과피 석세포를 phloroglucinol-HCl로 염색하여 조사한 결과, '조이스킨'은 석세포의 크기가 작고 개수도 적은 경향을 보였다. '조이스킨'은 2012년 4월 19일에 국립종자원에 2012-311로 품종보호를 출원하였으며, 2016년 2월 품종등록(grant number, 5895) 되었다.

벼속(Oryza) 잎의 식물규소체 표징형질 (Some opal phytoliths diagnostic characters of Oryza leaves)

  • 황성수;김경식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21-341
    • /
    • 2001
  • 벼속(Oryza) 잎의 식물규소체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표징형질을 정립하고 검색표를 작성하고자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였다. 벼의 잎에서 가장 다양한 형태의 규소체를 형성했던 기공장치규소체, 장세포규소체 그리고 단세포규소체 등을 대상으로 엽신 배축면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종류를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들 규소체의 특징은 속내 분류체계의 설정과 종을 동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 기공장치규소체는 공변세포와 부세포 상의 유두상돌기 유래 규소체의 발달 유무와 배열 양상의 특징이 다양하게 나타났고, 이들의 특징은 절 및 계열 수준에서 기존 분류체계와 일치하였다. 장세포규소체는 표면에 유두상돌기의 발달 유무, 배열양상 및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확인된 특징이 본 속내 기존 분류체계와 일치하기보다는, 종의 동정에 유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단세포규소체는 모두 형판규소체로 십자형, 안장형, 이완형 그리고 3완형 등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의 특징은 절 및 계열 수준에서 계통학적으로 의의가 있었다. 또한 단세포규소체가 맥상표피역에 밴드를 형성하는 종류와 밴드를 형성하지 않는 종류, 유관속 종류에 따른 맥상표피역 규소괴의 밴드 수 그리고 맥간표피역에 안장형 규소체의 발달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확인되었으나, 이들의 특징이 속내 분류체계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기공장치규소체, 장세포규소체 그리고 단세포규소체 등의 특징에 따라 각각 검색표를 작성하였고, 각 형질의 특징과 속내 분류계급과 비교하여 계통학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 PDF

수도(水滔)에 있어 전엽(剪葉)이 등숙(登熟)에 미치는 영향(影響)(예보(豫報)) (Effect of Leaf Blade-cutting on Ripening of Rice)

  • 박준규;김영섭;이종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25-128
    • /
    • 1968
  • 엽(葉)의 차광(遮光)을 피(避)하고, 근부(根腐)를 피(避)하는 일방(一方) 양분(養分)을 적정(適正)히 공급(供給)할 수 있는 수경재배(水耕栽培)의 조건하(條件下)에서 출수이후(出穗以後)의 엽(葉)의 잔존수(殘存數)가 후기생육(後期生育) 및 탄수화물(炭水化物)의 전류(轉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檢討)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出穗期)에 전엽전엽(全葉剪葉), 지엽(止葉) 1 매잔류(枚殘留), 토위엽(土位葉) 2 매잔류(枚殘留) 및 토위엽(土位葉) 3 매잔류(枚殘留) 등 처리(處理)에 있어 등숙비율(登熟比率)은 각각(各各) 38.8, 74.7, 83.9 및 87.0%이였으며 정조천립중(精租千粒重)은 전엽전엽(全葉剪葉)이 21.3g로 가장 낮고 기타처리(基他處理)는 28.7g로 차이(差異)가 없었다. 2. 전엽수(剪葉數)의 증가(增加)에 따라 출수기(出穗期)에 축적(蓄積)된 탄수화물(炭水化物)의 전류(轉流)는 증가(增加)되며 간기중(稈基重)은 감소(減少)된다. 3. 출수기(出穗期) 이후(以後) 지엽(止葉)과 차엽(次葉)2매(枚)가 건재(健在)하면 등숙비율(登熟比率) 80% 정도(程度)로 유지(維持)시킬 수 있으리라 추정(推定)된다.

  • PDF

토양중(土壤中) 비소(砒素)의 행동(行動)과 행동과 수도(水稻) 비소흡수(砒素吸收)에 의(依)한 피해생리(被害生理) 생태(生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Ⅱ. 토양(土壤)에 비소처리(砒素處理)로 인(因)한 수도(水稻)의 비소흡수(砒素吸收) 및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Behaviors of Arsenic in Paddy Soils and Effects of Absorbed Arsenic on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Rice Plant)

  • 이민효;임수길;김복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5-100
    • /
    • 1986
  • 비소(砒素)의 토양처리(土壤處理)에 의한 수도체(水稻體)의 비소흡수(砒素吸收) 정도(程度) 및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양토(壤土)와 사양토(砂壤土)에 수용성(水溶性) 염(鹽)인 $Na_2HAsO_4{\cdot}7H_2O$로 비소(砒素)의 농도(濃度)가 0, 10, 25, 50, 100 및 150 ppm되게 각각(各各) 처리(處理)하여 pot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도수량(水稻收量)은 토양중(土壤中) 비소농도(砒素濃度)가 높아짐에 따라 유의성(有意性) 있게 감소(減少)되었고 토성별(土性別) 유의성(有意性)있는 감소농도(減收濃度)는 사양토(砂壤土)가 2.75ppm, 양토(壤土)가 6.79ppm이었다. 2)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도 토양중(土壤中) 비소농도(砒素濃度)가 높아질수록 유의성(有意性)있게 각각(各各) 감소(減少)되었고 이중 천입중(千粒重)이 가장 높은 상관(相關)($-0.893^{{\ast}{\ast}}$)을 나타내었다. 3) 수도체(水稻體) 비소(砒素)는 대부분(大部分) 뿌리에 축적(蓄積)되어 있고 소량(小量)이 지상부(地上部)로 이행(移行)되었으며 부위별(部位別) 함량(含量)은 뿌리>줄기>엽신(葉身)>엽초>현미(玄米)의 순(順)으로 높았다. 4) 부임입수(不姙粒數)는 토양중(土壤中) 비소농도(砒素濃度)가 높을수록 증가(增加)되었으며 토성별(土性別)로는 사양토구(砂壤土區)가 양토구(壤土區) 보다 더 많았다.

  • PDF

벼의 생육기별 수분결핍장애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Stress at Different Growth Stages on the Growth and Yield of the Transplanted Rice Plants)

  • 남상용;권용웅;권순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41
    • /
    • 1986
  • Knowledge of the degree of yield reduction due to water stress at different crop growth stages in rice production is important for rational scheduling of irrigation during periods of insufficient water supply. Previous studies to determine the degree of yield reduction duo to water stress suffered from interruptions by rain during experiment. Also the findings did rot relate the degree of water stress to the soil water potential and water deficit status of rice plants. In this study, two years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the high yielding rice varieties, an Indica x Japonica (Nampoong) and a Japonica variety(Choochung). These were grown in 1/200$^{\circ}$ plastic pots placed under a rainfall autosensing, sliding clear plastic roof facility to control rainfall interruption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The two varieties differed in the growth stage most sensitive to water stress as well as the degree of yield reductions. When rice plants were stressed to the leaf rolling score 4 and soil water potential of about - 20 bar at major crop growth stages which included heading, booting, non-effective tillering, panicle initiation and early tillering stages, the yield reductions in the Indica x Japonica variety were 58%, 34%, 27%, 22%, and 21%, respectively, whereas in the Japonica vairety they were 23%, 36%, 1%, 13% and 22%, respectively. This result show that the recommended drainage during non-effective tillering is valid only for the Japonica variety. Sufficient irrigation at booting, heading and early tillering stages are necessary for both varieties. 2.The two varieties showed visible wilting symptoms when the soil water potential dropped to about - 3.0 bar. The Japonica variety showed more leaf rolling than the Indica X Japonica. However, it had a higher retention of leaf water content and greater stomatal diffusive resistance. When the soil water potential dropped, the Japonica variety showed leaf rolling score (LRS) 1 at 0 soil-5. 0 bar and LRS 2 at 0 soil -6.0 bar while the Indica X Japonica showed LRS 1 at 0 soil - 5.5 bar and LRS 2at 0 Soil - 9.0 bar. The stomatal diffusive resistance was maximum at the second top leaf blade in both varieties at intermediate water stress of 0 soil - 4.5 bar. 3.The number of days that was required for the soil water potential to drop to-3. 0 bar and to - 20.0 bar after drainage of irrigation water from the 20cm deep silty clay loam soil in the pots were 6 and 13 days, respectively for booting stage, and 7 and 11 days, respectively for heading stage, 9 and 12 days, respectively for panicle initiation stage, and 12 and 19 days, respectively for early tillering stage. 4.Water stress during the early tillering stage recorded the longest delay in beading time, the largest reduction in panicle numbers and a substantial yield decrease of 20%. This calls for better water management to ensure the availability of water at this stage, particularly during drought periods. In addition, a reexamination of the conventional inter-drainage practice during the non-effective tillering stage is necessary for the high yielding Indica X Japonica varieties.

  • PDF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 및 등숙기(登熟期) 절엽처리(切葉處理)가 수도수량구성요소(水稻收量構成要素)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Nitrogen Level and Defoliation at Maturing Stage on the Yield Components of Rice)

  • 안수봉;이종철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1호
    • /
    • pp.26-33
    • /
    • 1977
  • 수도(水稻) 신품종(新品種) 유신(維新), 밀양(密陽)23호(號)들의 질소반응(窒素反應), 수량(收量) 제한요인(制限要因) 등숙기절엽(登熟期切葉)의 영향등(影響等)을 5개(個) 질소수준하(窒素水准下)에서 검토(檢討)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밀양(密陽)23호(號)는 통일(統一)과 같이 내비성(耐肥性)이 컸으며 등숙(登熟)이 양호(良好)하여 입수(粒數)가 수량(收量)을 제한(制限)하나 유신(維新)은 내비성(耐肥性)과 최적엽면적(最適葉面積)이 크지 못하고 다비조건하(多肥條件下)에서는 동화기관(同化器官)에 비(比)하여 수용기관(受容器官)이 과다(過多)하여 등숙(登熟)이 불량(不良)한 것으로 보였다. 2. 유신(維新)과 밀양(密陽) 15호(號)는 다비하(多肥下)에서 하위절간(下位節間) 및 엽신(葉身)이 과도(過度) 신장(伸長)하여 도복(倒伏) 및 투광면(透光面)에서도 불리(不利)한 것으로 보였다. 3. 등숙기(登熟期) 절엽(切葉)의 영향(影響)은 등숙초기(登熟初期) 및 다비조건하(多肥條件下)일수록 크고 밀양(密陽) 15호(號)보다 통일(統一)이 비교적(比較的) 큰 것으로 보였다.

  • PDF

수도품종의 위고현상과 생리 및 형태해부학적 구조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s of Physiologieal Activity and Anatomical Structure to the Wilting Phenomena in Rice Plant 1. Reappearance of the Wilting Phenomena concerning to Physiological Aspects and Environment)

  • 이종훈;윤종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
    • /
    • 1980
  • 본 시험은 신품종인 유신을 공시하여 실소와 가리의 시비수준을 달리하고 출수후 차광처리를 하여 급성위고현상의 발생을 재현시고, 위고현상의 발생과 식물체내 무기성분의 함양 및 근의 생리적 활역과의 관련성을 명백히 함과 동시에 1976년에 전국적으로 .유신품종에 대발생한 위고현상과 1977년에 전혀 발생이 없었던 기상적인 요인을 비교 검토하여 위고현상의 발생요인을 구명코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신품종은 실소증비에 의해 엽신중당 영화수 (Sink/source)가 현저히 증가하고, 상위절간에 비해 하위절간의 신장률이 뚜렷한 품종적인 특징이 있다. 2. 유신품종은 실업증비에 따라 엽신의 호흡양이 타품종에 비해 현저히 증대하는 특성이 있음을 인정 할 수 있었다. 3. 위고극다비( $N_{30}$, $K_{10)}$ 하에서 근발육과 근의 생리적 활력이 저하했으며, 실소극다비+차광처리에서 더욱 현저한 저하를 보였다. 4. 또한 실고극다비+차광처리는 도체내 엽초와 간내의 K_2 O함량을 저하시키고, 특히 간내 K_2O/N 비 및 탄수화물의 함량을 명백히 저하시켰다. 5. 유신의 위고현상은 실소극다비구에서 경미하게 발생하였고, 실고극다비+차광에서 50 % 처리구에서 격심한 발생을 유발 재현시킬 수 있었다. 6. 본 시험결과로 미루어 1976년에 대발생한 유신의 급성위고현상은 도작기간 일사양이 현저히 부족했던 기상적인 요인이 주요인이며, 농민의 실소과잉시용이 위고현상을 조장하는 부요인으로 해석되었다.

  • PDF

분지력이 우수한 적색 포인세티아 'Red Stone' 육성 (A New Poinsettia 'Red Stone' with Excellent Branching Ability)

  • 이은경;김원희;김성태;이광식;이수영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591-594
    • /
    • 2011
  • 포인세티아(Euphorbia pulcherrima. Willd. ex Klotzch) 'Red Stone' 품종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09년도에 육성한 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6년에 생육이 왕성하고 진한 분홍색의 'Freedom Rose'를 모본으로, 착색이 빠르고 분홍색인 'Enduring Pink'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양성된 실생계통 중에서 선발되었다. 2007~2008년 2차에 거쳐 특성검정을하여 '원교 D5-65'를 육성하였고 2009년에 3차 특성검정과 품평회를 실시하여 최종선발 하였으며,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선정위원회를 거쳐 '레드 스톤(Red Stone)'으로 명명하였다. 포엽의 형태는 도란형이며 포엽의 엽맥 사이에 강한 주름이 있고 포엽의 색상은 적색이다. 잎몸은 난형이며 진한 녹색이고 엽절의 수와 깊이는 중간이다. 줄기 색은 적색계이며 적심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분지가 왕성하게 발생하고 줄기의 수는 많다. 초장은 작으며 단일처리 후 약 7.5주일이 경과하면 완전히 착색되어 출하가 가능하다.

마이크로 수력 에너지원의 수평축 스크류 터빈 : 설계 타당성 연구 (Horizontal-Axis Screw Turbine as a Micro Hydropower Energy Source: A Design Feasibility Study)

  • 삼수딘 모하메드 무르시드;김승준;마상범;김진혁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95-104
    • /
    • 2022
  • Micro hydropower is a readily available renewable energy source that can be harvested utilizing hydrokinetic turbines from shallow water canals, irrigation and industrial channel flows, and run-off river stream flows. These sources generally have low head (<1 m) and low velocity which makes it difficult to harvest energy using conventional turbines. A horizontal-axis screw turbine was designed and numerically tested to extract power from such low-head water sources. The 3-bladed screw-type turbine is placed horizontally perpendicular to the incoming flow, partially submerged in a narrow water channel at no-head condition. The turbine hydraulic performances were studied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s. Turbine design parameters such as the shroud diameter, the hub-to-shroud ratios, and the submerged depths were obtained through a steady-state parametric study. The resulting turbine configuration was then tested by solving the unsteady multiphase free-surface equations mimicking an actual open channel flow scenario. The turbine performance in the shallow channel were studied for various Tip Speed Ratios (TSR). The highest power coefficient was obtained at a TSR of 0.3. The turbine was then scaled-up to test its performance on a real site condition at a head of 0.3 m. The highest power coefficient obtained was 0.18. Several losses were observed in the 3-bladed turbine design and to minimize losses, the number of blades were increased to five. The power coefficient improved by 236% for a 5-bladed screw turbine. The fluid losses were minimized by increasing the blade surface area submerged in water. The turbine performance was increased by 74.4% after dipping the turbine to a bottom wall clearance of 30 cm from 60 cm. The final output of the novel horizontal-axis screw turbine showed a 2.83 kW power output at a power coefficient of 0.63. The turbine is expected to produce 18,744 kWh/year of electricity. The design feasibility test of the turbine showed promising results to harvest energy from small hydropower sources.

부추속(Allium L.) 잎 표피의 구조와 이의 분류학적 중요성 (Leaf epidermal structure of the Allium L. and its taxonomic significance)

  • 최혁재;장창기;고성철;오병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7-118
    • /
    • 2004
  • 부추속 분류군들에 대한 광학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잎 표피의 해부학적 및 미세구조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종 수준 또는 절이나 아속의 수준에서 각 분류군의 주요형질 및 형질의 변이 한계를 파악하였다. 잎 표피세포의 모양은 장방형에서부터 아주 긴 선형으로 관찰되었고, 크기는 분류군에 따라 다양하였다. 엽신이 넓은 달래절, 산마늘절, 두메부추절 등에 속하는 분류군의 표피세포는 장방형으로 선형을 가지는 다른 절로부터 이들을 구분되었다. 산마늘절의 잎은 이면기공엽으로 관찰되어 양면기공엽을 가지는 나머지 분류군들과는 구분되었다. 기공복합체에서 공변세포 크기는 각 분류군 간에 거의 변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위면적 당 기공의 수는 표피세포의 크기가 커지면 적어지고, 세포의 크기가 작아지면 많아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엽신이 넓고, 표피세포의 모양이 장방형인 산마늘절에서는 다른 선형의 세포를 가진 종에서 보다 아주 적게 나타났다. 관찰된 모든 분류군에서는 불규칙형 기공이 나타났다. SEM에 의한 잎 표피세포의 미세구조 관찰 결과, 표피 외벽의 융기 형태와 wax의 침적 양상이 종간에 다소 다양한 형태로 관찰되었다. 세포 표면이 융기된 돌기물의 형태는 달래절과 산마늘절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달래절에서는 세포벽의 표면에 주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미세무늬가 나타났고 산마늘절에서는 평행인 미세무늬가 나타났다. 세포벽 외부의 돌기물의 구조는 돌추절과 두메부추절에서는 뚜렷한 선모양으로, 노랑부추절에서는 미약한 선모양으로 관찰되었으나, 다른 분류절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달래절과 산마늘절의 분류군을 제외한 다른 분류군에서는 왁스가 침적되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