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board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7초

항공 사진 분석 시스템 (APAS:Aerial Photograph Analysis System)

  • 김범수;김병천
    • 인지과학
    • /
    • 제2권2호
    • /
    • pp.359-403
    • /
    • 1990
  • 컴퓨터의 눈이라고 불리우는 감지 장치를 통하여 얻어진 항공 사진에 관한 영상을 분할하고, 이런 초기자료를 바탕으로 영상을 해석하여 건물 및 도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흑판 시스템을 소개한다. 흑판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흑판, 지식원, 제어 모듈의 기능및 역할이 지식 표현과 제어 전략 측면에서 설명된다. 프레임 형태를 취하는 흑판위의 가설들의 계층적 구조와 가설 생성및 검증을 담당하는 지식원의 구조에 대하여 소개하고, 이들 지식원을 운영하여 원하는 해를 구해가는 제어 전략에 대하여 상세히 소개한다. 특히, 영상자료의 탐색 영역을 제한하기 위한 매핑 영상의 활용 방법에 대하여 소개한다.

승하강 개폐식 칠판.게시판 프레임 및 분필통 디자인개발 연구 (Design development of chalk store boxes and blackboard with notice board frames)

  • 도화용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53-62
    • /
    • 2001
  • 고도화 된 공업기술의 발달로 각종 기기들은 그 변모된 모습으로 우리 생활 깊숙이 침투하여 이제는 불과 몇 년의 차이가 있어도 새롭게 탄생하는 공업제품들이 어제의 제품을 새삼 낡은 것으로 규정을 짓는 사회가 된 것 같다. 이와 보조를 맞춘 듯이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대하게 되는 칠판도 이러한 최신의 첨단기기와 사용환경의 조화를 위하여 오랜 세월 전형적인 형태에서 탈피하여 완전히 새로운 개념의 칠판이 개발되어 탄생하게 되었다. 승하강 개폐식 칠판·게시판이란 강사의 키의 높이에 맞추어 중앙부분의 주(主)칠판을 상하로 자유로이 높낮이를 조절하며 쓸 수 있게 된 것이다. 판서(板書) 중에는 강사의 편한 위치에 고정을 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며 판서 후에는 여러 수강생들이 편히 볼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어 앞좌석의 사람이나 혹은 강단의 탁자가 칠판을 가려 글씨가 보이지 않아 이리저리 상체를 움직여 보거나 일어서서 보아야 하는 불편함을 없앤 새로운 개념의 칠판으로서, 첨단 멀티미디어 기기를 갖추어 가고 있는 오늘날의 새로운 교육환경에 걸맞도록 개발된 것이다. 양 사이드에는 표면에 일반 게시판을 설치하고 그 안 쪽에 보조칠판을 여닫이 형식으로 빼어서 사용할 수 있어 여러 가지 복합기능을 갖춘 칠판으로서 새로운 환경을 고려하여 칠판의 Frame과 그에 부착되는 분필 보관함에 대하여 디자인 전개와 그 진행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Using WhatsApp on EFL Students' Medical English Vocabulary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Saud Alenezi;Elias Bensale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2호
    • /
    • pp.143-149
    • /
    • 2024
  • The role of social networking mobile applications such as WhatsApp in enhancing second language vocabulary learning among English language learners continues to be a subject of interest for many scholars. The current study aimed at examining medical English vocabulary learning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using WhatsApp compared to learning vocabulary via the Blackboard platform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this end, 108 medical students (51 males, 57 females) enrolled in a first semester English for a specific English course participated in the study.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adopted for two groups. Fifty-thre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WhatsApp group and 55 students formed the Blackboard group. A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o collect data. Results of t-test score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WhatsApp and Blackboard groups on a vocabulary test. Results of a survey that measured students' opinion of the use of WhatsApp as a platform for learning new vocabulary showed positive perceptions since participants thought that WhatsApp enhanced their learning experience.

사용자 동작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판서 소프트웨어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Writing Software for the Electronic Blackboard Supporting the User Action Recognition Functions)

  • 최윤수;정진욱;황민태;진교홍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213-1220
    • /
    • 2015
  • 최근 전자칠판 시스템, 스마트 기기의 보급과 더불어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가 등장하면서 종이 교과서를 활용하는 전통적인 교육에서 위 기기들을 활용하는 스마트 교육으로 진입하기 위한 작업이 정부 주도하에 진행 중에 있다. 스마트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실제 현장의 강사들이 스마트 교육 인프라를 쉽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전자칠판은 현장의 강사들이 가장 많이 활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기로 이 기기에서 동작하는 판서 소프트웨어는 복잡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 방법이 간단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전자칠판용 판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판서 소프트웨어는 기본 판서 기능이외에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스처 인식 기능과 판서 위치에 따른 동적 메뉴 배치 기능, 그리고 사용 빈도 기반의 자동 버튼 정렬 기능을 제공한다.

Blackboard를 이용한 침입 탐지 Agent간의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 between Autonomous Agents using Blackboard for Intrusion Detection System)

  • 신우철;정길호;최종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2)
    • /
    • pp.111-113
    • /
    • 1998
  • 최근의 업무 환경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자간의 통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조직의 주요한 정보 자산들은 다양한 내부 통제(Internal Control)와 각종 보안 시스템을 통해 보호 받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침입(Intrusion)을 탐지해내고 자산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침입 탐지(Intrusion Detection)를 위한 소프트웨어 기술의 한 방안으로써 Agent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들 Agent간의 통신과 시스템 전체적인 측면에서의 조율(Coordinate) 및 관리에 대한 연구 성과는 아직 까지는 미약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Intrusion Detection Agent들간의 조율을 담당할 수 있는 구조(Architecture)로서 Blackboard 시스템을 제안하며, 소규모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침입 시나리오에 대한 탐지 과정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본 모델을 평가해보도록 한다.

  • PDF

칠판등용 반사판의 광학적 형상 개발 (The Design Of A Reflector For Blackboard Lighting)

  • 박혜진;김동조;김훈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3-19
    • /
    • 2003
  • 학교 교실 조명은 교사와 학생들에게 쾌적한 명시 환경을 주어 시력 보호와 학습 효과의 향상을 도모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교실 조명 환경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방법으로 칠판등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칠판면에 일정한 조도를 제공하고 효율이 높은 칠판등용 경면 반사판 형상을 설계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크기가 있는 광원에 의한 설계상의 문제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보안 모델의 연동을 위한 블랙보드구조의 적용 (An Application of Blackboard Architecture for the Coordination among the Security Systems)

  • 서희석;조대호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91-105
    • /
    • 2002
  • The attackers on Internet-connected systems we are seeing today are more serious and technically complex than those in the past. So it is beyond the scope of amy one system to deal with the intrusions. That the multiple IDSes (Intrusion Detection System) coordinate by sharing attacker's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detection of the intrusion is the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the intrusion detection performance. The system which uses BBA (BlackBoard Architecture) for the information sharing can be easily expanded by adding new agent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BB (BlackBoard) levels. Moreover the subdivided levels of blackboard enhance the sensitivity of the intrusion detection. For the simulation, security models are constructed based on the DEVS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formalism. The intrusion detection agent uses the ES (Expert System). The intrusion detection system detects the intrusions using the blackboard and the firewall responses these detection information.

  • PDF

The Use of Blackboard by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Alghamdi, Dee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3호
    • /
    • pp.319-325
    • /
    • 2022
  • By using the Blackboard (BB) system in the education sector, the educational process for both academics and students is facilitated. Two data resources were used to evaluate the use of the BB system by students of Umm Al-Qura University: statistical reports issued by the university and an online questionnaire. A total of 989 students from all colleges and different programmes provided by the university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urvey. According to our findings, most students did not use the BB before the pandemic. Therefore, the sudden conversion to the BB system required intensive training courses. After the data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the BB system before the pandemic and the problems students faced during the lockdown was revealed. The most critical issues raised by the respondents were: (1) "The voice of the lecturer went on and off during BB collaborate class", (2) "internet connection of the lecturer went on and off during BB collaborate class" and (3) "High possibility of IT problems during exams".

CPFR를 위한 블랙보드기반의 협업 에이전트 시스템 (A Blackboard-based Collaboration Agent System for CPFR)

  • 김선일;윤정욱;김창욱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856-862
    • /
    • 2003
  • CPFR(Collaborative Planning Forecasting and Replenishment)은 기존의 생산관리 패러다임(Paradigm)을 탈피하는 새로운 협업적 생산 극대화 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CPFR의 핵심은 정보 공유를 기반으로 하는 공급망상 참여 기업간의 협업이며, 이는 매우 불확실한 시장 상황 하에서 끊임없는 발생하는 예외사항들을 처리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 기업간의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블랙보드 기반 협업 에이전트(Blackboard Based Collaboration Agent) 구조를 제시한다. 또한 화행 이론(Protocol)을 제시하여 참여 기업간의 협동 과정을 제어하는 방식을 구현한다.

  • PDF

미국 대학도서관의 수업지원 시스템과 연계한 맞춤형 정보검색 서비스에 대한 고찰 - 머레이 주립 대학(MSU)의 사례를 중심으로 - (Introducing an Integrated Library Information Service with Learning Management System: Library on Blackboard from Murray State University Libraries)

  • 김동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9-50
    • /
    • 2010
  • 본 연구는 미국 켄터키 주에 소재한 머레이 주립대(Murray State University)가 제공하고 있는 주제별 맞춤형 정보제공(Library on Blackboard) 시스템의 기능들을 중심으로 현존하는 대학도서관 서비스가 온라인상에서 어떠한 정보기술을 통해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미국 대학교육에서 온라인 강의와 원거리 교육의 비중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는 새로운 대학 환경변화의 중요한 도구이다. 대학도서관의 정보제공 기능도 대학교육 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발전해 왔고, 이에 따라 이용자에게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LMS와 연계한 맞춤형 정보검색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LMS와 연계한 도서관 서비스는 학생들의 연구형 과제해결을 위한 정보수집에 적합한 검색시스템과 유용한 정보들을 한곳에 모은 가상 분관의 기능을 제공하기에 더욱 사용되고 발전해야 한다. 이 시스템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Contents Management Systems의 사용과 과목별 접근방식으로 변환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