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seabream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8초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정자의 냉동보존에 미치는 희석액과 동해방지제의 영향 (Effects of Diluents and Cryoprotectants on Cryopreservation of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igeli) Sperm)

  • 임한규;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7-75
    • /
    • 1998
  •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정자의 냉동 보존시 정자의 생리활성과 보존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순환여과 사육시스템에서 사육한 전장 $25.9{\pm}1.7$ cm, 체중$292.8{\pm}53.7$ g의 성어로부터 얻은 정액을 재료로 하여 희석액별, 동해방지제별 해동후 정자의 활성, 생존율 및 알에 대한 수정능력을 평가하였다. 희석액별 냉동보존에서 해동정자의 생존율은 3% sodium citrate에서 $80{\pm}1.4$%로 가장 높았으나, 수정률은 5.4% glucose에서 $63.4{\pm}4.4$%로 가장 높았다. 동해방지제별 냉동보존에서 해동정자의 수정률은 5~15% glycerol을 동해방지제로 사용하였을 때, 50.1~69.4%로 DMSO 보다 나은 효과를 보였다. 감성돔 정자의 냉동보존을 위한 적정 희석액과 동해방지제는 5% glucose와 5% glycerol이었다. 냉동하지 않은 감성돔 정자의 머리는 구형으로 직경 $1.5{\pm}0.1$ ${\mu}$m, 길이 $1.3{\pm}0.1$${\mu}$m였으며, 치밀한 핵질로 채워져 있었다. 편모는 전형적인 9+2 구조를 나타냈다. 그러나 냉동후 해동시킨 정자중에서는 염색질의 과립화, 세포막의 이탈에 의한 그 용적이 커지는 구조변화를 보였다.

  • PDF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GTH$\beta$ 유전자 발현 및 성스테로이드 합성에 미치는 GnRHa의 효과 (Effect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alogue (GnRHa) on Expression of the Gonadotropin Subunit Gene and on Synthesis of the Sex Steroids in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최철명;민병화;장영진;박인석;조성환;안광욱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3-298
    • /
    • 2005
  • RT-PCR을 이용하여 감성돔의 뇌하수체에서 발현하는 FSH$\beta$와 LH$\beta$ cDNA를 각각 cloning하였다. GenBank를 이용하여 FSH$\beta$와 LH$\beta$ 아미노산 배열과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감성돔 FSH$\beta$는 참돔 FSH$\beta$$83.3\%$, snakehead fish FSH$\beta$$79.2\%$ 및 striped bass FSH$\beta$$76.0\%$의 상동성이 나타났으며 , 감성돔 LH$\beta$는 yellowfin seabream LH$\beta$$97.7\%$, 참돔 LH$\beta$$96.2\%$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1년생 수컷 감성돔에 GnRHa를 처리한 후, 뇌하수체에서 발현하는 GTH subunit mRNA의 농도와 혈중 T및 혈중 $E_2$ 농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GnRHa를 체중 g당 $0.2\;{\mu}g$으로 복강 주사한 후 0, 6, 12, 24 및 48시간제에 뇌하수체와 혈액을 샘플링한 결과, 호르몬 처리 후 6시간째에 FSH$\beta$ mRNA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LH$\beta$ mRNA 발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혈중 T와 혈중 $E_2$ 농도는 GnRHa처리 후 24시간째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i) 치어의 포르말린에 대한 내성 및 조직학적 반응 (Tolerance and Histological Responses to Formalin of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i Juveniles)

  • 명정인;민병화;박미선;황형규;도정완;정경일;장영진;정달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923-929
    • /
    • 2013
  • Black seabream juveniles Acanthopagrus schlegelii held at $20^{\circ}C$ were exposed to formalin at concentrations of 50 to 400 ppm, and tolerance values were determined by calculating median lethal concentration values (LC50) through probit analysis. The 12-, 24, 48, 72- and 96-h LC50 values for formalin were 297, 233, 171, 162 and 157 ppm, respectively. The histological effects of formalin on gill and liver tissues in this fish were determined. No histological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The intensity of cell damage increased with the concentration of, and duration of exposure to, formalin. Hyperplasia, separation and epithelial necrosis, epithelial lifting, lamellar synechiae and collapsed lamellae were observed in gill tissues exposed to formalin. Hepatic lesions in liver tissues of fishes exposed to formalin were characterized by cloudy swelling of hepatocytes, necrosis, cytoplasmic vacuolization, deposition of pigments, spongiosis hepatis, nuclear hypertrophy, dilation of sinusoids and bile stagnation. The LC50 values and histological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ill aid in designing treatment regimens to minimize toxic side effects and increase efficacy.

CLA 첨가사료가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성장과 지방산 조성 및 내장 추출지방이 지방세포 3T3-L1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Carotenoids on Growth, Fatty Acid Composition, and 3T3-L1 Cells in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곽뢰;쥴리야티 로마;최광수;박시향;하영래;강석중;최병대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48-556
    • /
    • 2015
  • 공액리놀레산(CLA)과 카로테노이드 일정량을 함유하는 두 가지 사료구와 대조구를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에 급여하였다. 대조구에는 CLA와 카로테노이드가 포함되지 않았고, CP10구에는 CLA 1%와 카로테노이드 0.1%가 포함되었고, CP25구에는 CLA 2.5%와 카로테노이드 0.1%가 포함되었다. 대조구, CP10 및 CP25구의 일일성장률(SGR)은 0.74, 0.81, 0.97이었고, 사료요구율은 2.65, 2.46 및 2.04이었다. 사육 후 근육 내에 축적된 CLA 함량은 CP10 및 CP25구에서 각각 2.8% 및 5.6%였으며, 내장에 축적된 CLA 함량은 4.0% 및 8.3%였다. 한편, CP25구의 에서 추출된 지용성 물질(VLE)을 첨가한 3T3-L1 지방세포 생존율은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처리량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P25구의 VLE 추출물 농도를 1, 10, 50 및 $100{\mu}g/ml$으로 처리하였을때 각각 $85.9{\pm}0.8%$, $74.8{\pm}0.9%$, $75.5{\pm}0.6%$$72.1{\pm}0.7%$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사료로 감성돔을 사육하는 경우 CP10 및 CP25구의 내장에서 추출한 지질함량 중 CLA함량은 각각 4.0% 및 8.5%, 카로테노이드는 각각 0.62 mg/g 및 0.56 mg/g, EPA 및 DHA는 각각 11.7%와 10.8% 및 11.8%와 12.7%로 증가하였고, 총 PUFA 함량도 각각 48.4% 및 50.5%로 증가하여 인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동시에 섭취할 수 있어 기능성 어류의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돔 자연산 치어와 양식산 치어의 마취 내성 비교 (Comparison of Anesthetic Tolerance between the Wild and Cultured Fish,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Juvenile)

  • 손맹현;임한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04-308
    • /
    • 2008
  • MS-222 농도별로 자연산 및 양식산 감성돔 치어의 마취효과를 비교하면 수온 $22^{\circ}C$ 고수온구가 $12^{\circ}C$의 저수온구에 비해 마취 및 회복시간이 빨랐으며, 수온 $12^{\circ}C$의 저수온에서는 자연산이 양식산에 비하여 마취 및 회복이 빨랐다. MS-222 100 ppm 농도에서 침지시간별 회복 조사에서도 $22^{\circ}C$ 실험구가 $12^{\circ}C$의 저수온 실험구에 비해 회복시간이 빨랐으며, 수온 $12^{\circ}C$의 동일 수온에서의 자연산과 양식산 치어를 비교했을 시에는 자연산 치어가 양식산 치어에 비해 마취후 회복이 빨랐다. MS-222 100 ppm에 3분간 침지후 공기중 노출시간에 따른 회복시간 조사 결과도 마찬가지로 $22^{\circ}C$ 실험구가 $12^{\circ}C$의 저수온에 비해 회복시간이 빨랐으며, 수온 $12^{\circ}C$에서는 자연산 치어가 양식산 치어에 비해 회복이 다소 빨랐다. 그러나 공기중에 노출시간이 15분 이상인 경우에 $12^{\circ}C$의 저수온 실험 구에서 수온 $22^{\circ}C$의 고수온구에 비해 회복이 빨랐다. 수온 $12^{\circ}C$에서는 자연산이 양식산 치어에 비해 회복이 빨랐다. 따라서 자연산 감성돔 치어가 양식산 치어에 비하여 마취 및 공기중 노출 내성이 강함을 알 수 있었다.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치어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외인성 3,5,3'-triiodo-L-thyronin ($T_3$) 효과 (Effects of Dietary 3,5,3'-Triiodo-L-Thyronine ($T_3$) on Growth and Survival Rate in Juvenile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legeli)

  • 강덕영;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15-222
    • /
    • 1996
  • 감성돔, A. schlegeli 자치어의 성장 및 생존에 미치는 3,5,3'-triiodo-L-thyronine($T_3$) 경구투여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T_3$를 0, 10, 20, 50 및 100 ppm으로 사료에 섞어 경구 투여하였다. $T_3$ 경구투여에 따른 사료섭식률은 10 ppm구와 20 ppm구에서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T_3$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사료효율의 경우 10 ppm구가 다른 실험구들에 비해 높았으나, 큰 차는 없었다. 생존율의 경우 100 ppm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그 외 처리구는 대조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장과 체중의 성장은 10 ppm 구가 다른 실험구보다도 높았고, 20 ppm구는 대조구와 거의 같은 수준에 있었으나, 50 ppm과 100 ppm구는 오히려 대조구보다도 느린 성장 경향을 나타내었다. 비만도는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10 ppm구를 비롯한 모든 $T_3$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나, $T_3$ 투여량이 많아짐에 따라 비만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통영 연안에서 채집된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i)의 산란시기와 성전환 (Spawning Period and Sex Inversion of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i Collected off the Coast of Tongyeong, Korea)

  • 이해원;정재묵;유효재;황강석;오시은;송세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7-42
    • /
    • 2021
  • 본 연구는 연안에 서식하는 감성돔의 산란생태학적 연구를 위해 2020년 2월부터 2021년 1월까지 통영 연안에서 어획된 시료 총 470개체(가랑이체장 20.5~50.2 cm)를 대상으로 하였다. 통영에 서식하는 감성돔의 월별 생식소숙도지수(GSI) 변화를 통해 암수 모두 동일한 양상을 보이며 4~5월이 산란시기로 추정되었고, 연 1회 산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직학적 검경을 통해 수컷에서 암컷으로 성전환하는 과정을 확인하였으며, 전기자웅동체(MF)는 20.5~39.6 cm에서 보였고, 후기자웅동체(FM)는 26.4~50.2 cm에서 보였다. 난경은 0.02~0.60 mm 범위였으며, 2월에 평균 난경은 0.09 mm로 가장 작았고, 8월에 평균 난경은 0.43 mm 가장 높았고, 포란수는 277,148 (33.9 cm)~2,772,421 (34.1 cm)립의 범위를 보였다.

담수 사육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수온 상승에 따른 HSP90, HSP70 mRNA의 발현 및 혈장 cortisol과 glucose 변화 (Expression of HSP90, HSP70 mRNA and Change of Plasma Cortisol and Glucose During Water Temperature Rising in Freshwater Adapted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최철영;민병화;김나나;조성환;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5-32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담수사육 감성돔을 대상으로 수온을 상승시켰을 때, 세포적 스트레스 측면에서 HSP90 및 HSP70 mRNA의 발현 정도를, 신경-내분비적 스트레스 측면에서 혈장 cortisol 및 glucose 농도를 조사하였다. RT-PCR법을 이용하여 생식소로부터 HSP90 (891 bp) 및 HSP70 (465 bp) cDNA 단편을 클로닝 하여, 타 종과 그 상동성을 비교해 본 결과, 감성돔 HSP90은 참돔 HSP90과 99%, 무지개송어 HSP90과 95%, 대서양 연어HSP90과 94%, zebrafish HSP90과 94%로 나타났으며, 감성돔 HSP70은 무지개송어 HSP70과 96%, silver seabream HSP70과 95%, zebrafish HSP70과 95%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감성돔의 사육수온을 $30\;^{\circ}C$로 상승시켰을 때, HSP90 mRNA는 모든 조직에서 그 발현 정도가 $20\;^{\circ}C$ 실험구에 비하여 $7{\sim}9$배 정도 높았으나, HSP70 mRNA는 생식소에서만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장 cortisol 및 glucose 농도는 $20\;^{\circ}C$ 실험구에 비하여 $30\;^{\circ}C$ 실험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돔(Pagrus major)과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종간 자연 잡종 가능성 (Possibility of Natural Hybridization between Red Seabream (Pagrus major) and Blackhead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강정하;양상근;김은미;노은수;김동균;김봉석;최태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6-20
    • /
    • 2015
  • 참돔과 감성돔은 우리나라 주변에 서식하는 고유 어종으로, 참돔의 암컷과 감성돔의 수컷을 이용한 인공수정에 의하여 잡종은 생산되었으나, 자연 상태에서는 이들 간의 잡종이 보고된 바 없다. 이들 두 어종의 암수 및 타 어종을 섞어서 대형 수조에서 사육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수정란을 회수하여 부화시켜 육성하는 과정에서 이들 두 종간의 잡종의 형태를 보이는 개체들이 관찰되었다. 임의로 96개체를 선택하여 두 종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microsatellite marker를 이용하여 유전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96개체 중 두 종의 혼합된 형태적 특징을 보이는 15개체는 참돔 암컷과 감성돔 수컷 간의 잡종으로 판명되었으며, 나머지 81개체는 감성돔 치어로 확인되었다. 사육 수조의 크기가 매우 컸으며 다른 어류들도 함께 들어 있었다는 점과, 이와 같이 유전적으로 구분되는 두 종 간의 잡종이 자연상태와 유사한 환경에서 생산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 상태에서도 인위적인 영향이나 기후 변화에 의하여 이들의 서식지가 중복될 경우 두 종간의 잡종이 생산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