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glutinous rice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2초

쌀의 종류에 따른 식사대용 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inous Rice Dduk Made from Different Rice as a Meal Substitute)

  • 김옥희;신명은;이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84-691
    • /
    • 2012
  • Glutinous rice dduk, traditional Korean rice cake, was prepared using rice(white glutinous rice, brown glutinous rice, black glutinous rice, gaba glutinous rice) as a meal alternative, and each of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This study had checked sensory tests, color differences, moisture contents, texture characteristics, and storage lives of dduk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for 6 days. The moisture contents of black glutinous rice dduk scored the highest. For color properties, gaba glutinous rice dduk was darker with a decreased yellow value, whereas its red value was higher comparing with that of brown glutinous rice dduk. The results of the preference test showed that appearance, flav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were the highest in white glutinous rice dduk, whereas black glutinous rice dduk showed the lowest score. The results of the color difference test showed that softness, viscoelasticity, and fineness were the highest in white glutinous rice dduk, whereas black glutinous rice dduk showed the highest difference in color. For individual textural characteristics, black glutinous rice dduk showed the highest score, whereas white glutinous rice dduk showed the lowest scores in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In the results of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dduk during storage, white glutinous rice dduk showed the highest increase in hardness after 48 hours, whereas black glutinous rice dduk showed the lowest increase. White glutinous rice dduk showed the highest increases in chewiness and gumminess. Cohesiveness decreased in all glutinous rice dduk. In the results of fungal occurrence in dduk during storage, black and gaba glutinous rice dduk showed increased fungi occurrence compared with white and brown glutinous rice dduk after 6 days. In conclusion, the overall preference for glutinous rice dduk made from different rice is more affected by appearance or texture than flavor.

팬 프라잉(Pan-frying)이 찰흑미 첨가 화전의 안토시아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n-frying on Anthocyanin Content in Hwajeon with Varying Proportion of Glutinous Black Rice Flour)

  • 서정희;고은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8-384
    • /
    • 2014
  • Hwajeon, pan-fried rice cake, containing glutinous black rice flour at different proportions (0, 5, 10, 20, 30, or 50% of glutinous rice flour) was cooked to investigate the cooking effect on anthocyanins, color, and texture. Two anthocyanins, cyanidin-3-glucoside and peonidin-3-glucoside, were detected in both hwajeon dough and pan-fried hwajeon. The hwajeon retained up to 60% of anthocyanins in the dough after pan-frying. The lightness (L) of dough and hwajeon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black rice flour rice flour. Interestingly, the lightness (L) of hwaje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unterpart dough, indicating that the color of hwajeon resulted not only from anthocyanins, but also from the browning reaction occurring during pan-frying. The redness (a) of hwajeon initially increased by adding glutinous black rice flour, and decreased at higher than 10% of black rice flour.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hwajeon (0% black rice flour), the black rice-added hwajeon showed lower hardness, whereas it had higher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resulting i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umminess and chewiness among the hwaje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wajeon enriched with glutinous black rice flour can be developed as a functional food containing health-promoting anthocyanins.

섭취빈도가 높은 곡류의 혼합비율에 따른 곡류 혼합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with Mixed Cereals by Blending Ratio of the Cereals Frequently Consumed in Korea)

  • 한규상;정혜정;이영미;윤지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37-552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with cereals frequently consumed in Korea by blending ratio. Seven kinds of cereals, white rice, glutinous barley, brown rice, black rice, glutinous rice, glutinous foxtail millet and proso millet, were chosen for the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rapid viscosity analyzer, glutinous barley had the lowest pasting temperature($66.55^{\circ}C$) and black rice had the highest values in the peak(231.77 RVU), trough(162.25 RVU), final viscosity(295.81 RVU) and set back(64.05 RVU)(p<0.05). Water absorption rate by soaking time for black rice and brown rice was increased only 18.77% and 14.57%, respectively, even after 120 minutes, whereas those of other cereals were increased up to 20.28~39.32% after 50 minutes. The pasting characteristics of white rice blended with cereals tended to be lower than white rice in the peak, trough, and final viscosity. Textural property of cooked white rice blended with black rice, brown rice, and glutinous foxtail millet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for hardness than that of cooked white rice only(p<0.05). The most preferred blending ratio of the respective cereals was 25% for glutinous barley, 10% for black rice, brown rice and proso millet, and 5% for glutinous foxtail millet and glutinous rice in the sensory evaluation for overall quality,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glutinous barley, brown rice and glutinous foxtail millet.

식이 내 곡류 종류와 지방수준이 성장기 이후 비만유도 흰쥐의 당대사와 항혈전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Kinds of Dietary Grain and Dietary Lipid Level on the Glucose Metabolism and Antithrombogenic Capacity of Full Grown Obesity Induced Rats)

  • 옥향목;손정숙;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8호
    • /
    • pp.613-625
    • /
    • 200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impact of kinds of dietary grain and dietary lipid level on the glucose metabolism and antithrombogenic capacity in obesity induced rats. Total of 80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raised for one month with control diet containing $50\%$ (w/w) well-milled rice powder and $20\%$(w/w) of dietary lipids. The rats were blocked into 8 groups and raised for two months with diets containing well-milled rice, brown rice, black rice, or glutinous barley powder and 8 or $20\%$(w/w) of dietary lipids. The contents of total dietary fiber in experimental grains were in following order; glutinous barley > black rice > brown rice > well-milled rice. Weekly food intake were lower in glutinous barley group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Body weight gain was high in high level of fat groups ($50\%$w/w) than medium level of fat groups ($8\%$ w/w).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in each groups. But brown rice group was a little lower than others. Plasma insulin concentration was lower in black rice and glutinous barley group than rice group. Plasma glucagon concentra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Hexokinase activities in skeletal muscle are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level of dietary fat and grain variety factors. Brown ric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st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in hexokinase activity. Plasma $TXB_2$ concentrations in black rice and glutinous barley groups were lower as compared to rice and brown rice groups. Plasma 6-keto-$PGF_{1\alpha}$ concentrations in glutinous barley group was higher as compared to others. In conclusion brown rice has a little lowering effect glucose concentration. Black rice and glutinous barley intakes enhance antithromboenic capacity. It is suggested that the intakes of mixed gains are recommend.

찰흑미와 찰벼를 첨가한 혼합밥의 텍스쳐 (Texture of Cooked Milled Added Waxy Black Rice and Glutinous Rice)

  • 오금순;나환식;이유석;김관;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13-219
    • /
    • 2002
  • 찰흑미와 찰벼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L값(명도)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는데 특히 찰흑미의 경우 그 감소속도가 찰벼보다 더 빨랐으며, a값(적색도)은 찰흑미와 찰벼 모두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b값(황색도)의 경우 찰흑미는 감소하고 찰벼는 증가하였다. 찰흑미와 찰벼의 L값, a값 및 b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찰흑미와 찰벼를 첨가한 밥의 기계적 텍스쳐 인자들간에 있어서 찰흑미의 경우 모두 9% 첨가한 백미밥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탄성과 응집성을 제외한 다른 인자들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찰벼를 첨가한 밥은 탄성, 응집성, 씹힘성, 부착성 및 부착성과 경도의 비율이 9% 첨가한 백미밥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점성과 경도는 7% 첨가한 백미밥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관능검사는 찰벼의 경우 5% 범위에서 향과 경도, 향과 부착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른 인자들간에는 유의성이 있었다. 또한 관능검사 인자들간에는 찰흑미와 찰벼 모두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는데 모두 5% 범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들 인자들 중 두 시료 모두 맛과 종합적 기호도가 각각 r=0.7153과 r=0.5760으로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찰흑미와 일반찰벼 쌀가루의 이화학적 성질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Waxy Black Rice and Glutinous Rice)

  • 오금순;김관;나환식;최경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16
    • /
    • 2002
  • 흑미를 이용한 식품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찹쌀계통의 흑미와 일반찰벼에 대하여 쌀가루의 물리화학적 및 이화학적 성질들을 비교하였다. 일반성분 중 조단백질은 찰흑미가 9.01%, 일반찰벼는 7.54%였으며, 무기 성분들은 전반적으로 찰흑미가 다소 높은 값을 보였는데 그 중 Mg, K, Na, P 등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아미노산 조성은 두 품종 모두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품종간에는 찰흑미가 조금 많았다.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38.57%, 36.95%)와 linoleic acid(38.60%, 39.10%)가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이화학적 성질 중 찰흑미(93.26%)가 일반찰벼(87.42%)보다 물결합능력이 더 높았고, 팽윤력과 용해도는 50~6$0^{\circ}C$에서는 완만한 증가를 보였지만 그 이후에는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7$0^{\circ}C$이후에는 서서히 증가하였다. 쌀가루의 최대흡수파장과 625 nm에서의 흡광도의 값은 각각 찰흑미가 520 nm, 0.054이고, 일반찰벼가 517 nm, 0.065이였다. X-선 회절도를 실험한 결과 회절각도(2$\theta$)는 15.1$^{\circ}$와 17.1$^{\circ}$, 18.0$^{\circ}$, 23.2$^{\circ}$의 전형적인 A형을 보였다. 이 X-선 회절도에서 상대결정화도를 면적비로 계산한 결과 찰흑미가 0.399, 일반찰벼는 0.405로 두 품종이 비슷한 상대결정화도를 보였다.

쌀가루의 종류와 농도를 달리한 찐 흑임자 첨가 흑임자죽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Sesame Gruels Made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teamed Black Sesame and Various Kinds of Rice Powder)

  • 박정리;채경연;홍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19-929
    • /
    • 2007
  • 흑임자를 찌는 방법으로 처리 조건을 달리하고 각각의 쌀가루(찹쌀가루, 찹쌀현미가루, 찰흑미가루)에 찐 흑임자의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흑임자죽을 제조한 후 측정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sesamin 함량은 591.919 mg/100g seed, sesamolin의 함량은 550.081 mg/100g seed, lignan 총 함량은 1142.000 mg/100g seed이었다. SOD 유사활성은 15분 쪄서 처리한 흑임자 시료는 천연항산화제인 tocopherol보다는 활성이 다소 낮았지만 천연항산화제인 sesamol보다는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생 흑임자 시료의 활성보다 다소 높았다. 지방산 분석 결과 15분 쪄서 처리한 흑임자 시료는 생 흑임자에 비하여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arachidon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고형분의 함량은 찹쌀 흑임자죽은 찐흑임자 70%, 찰흑미 흑임자죽은 50%이상 찐 흑임자를 첨가했을 때 높았다. 찹쌀 현미 흑임자죽 고형분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L값은 찹쌀 흑임자죽, 찹쌀현미 흑임자죽, 찰흑미 흑임자죽 모두 찐 흑임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값의 경우 찹쌀 흑임자죽, 찹쌀현미 흑임자죽은 대조군에서 가장 낮았고, 찰흑미 흑임자죽은 70%에서 가장 낮았다. b값은 찹쌀 흑임자죽과 찰흑미 흑임자죽은 대조군에서 낮았고, 찹쌀현미 흑임자죽은 40%이상 찐 흑임자를 첨가하였을 때 낮았다. Texture는 찹쌀 흑임자죽, 찹쌀현미 흑임자죽, 찰흑미 흑임자죽 모두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adhesiveness가 찐 흑임자를 60% 이상 첨가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흑임자죽의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찹쌀 흑임자죽은 60%, 찹쌀현미 흑임자죽은 $60{\sim}70%$, 찰흑미 흑임자죽은 찐 흑임자를 60% 첨가한 시료에서 기호도가 좋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찐 흑임자를 죽에 이용하기 위한 최적 조건은 찐 흑임자의 첨가 비율을 찹쌀 흑임자죽에서는 60%, 찹쌀현미 흑임자죽에서는 $60{\sim}70%$, 찰흑미 흑임자죽에서는 60% 첨가하는 것이 전반적으로 가장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찹쌀, 찹쌀현미, 찰흑미 가루를 첨가한 흑임자죽의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sesame gruel added with glutinous rice, glutinous brown rice and, glutinous black rice powder)

  • 박정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81-59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흑임자죽의 첨가비율과 제조방법을 기존의 흑임자죽 조리법(홍진숙 등 2003)을 바탕으로 여러 번의 예비실험을 통해 결정한 $100^{\circ}C$ 15분 볶음 처리한 흑임자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고, 쌀은 통쌀이나 타갠 쌀이 아닌 쌀가루를 대신하여 찹쌀가루, 찹쌀현미가루, 찰흑미 가루를 넣고 흑임자의 첨가 비율은 예비실험을 통해 0, 30, 40, 50, 60%로 정하여 흑임자죽의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흑임자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는 $100^{\circ}C$에서 15분 볶음 처리한 흑임자 시료는 수분 0.09%, 조지방 52.18%, 조회분 4.93%, 조단백 10.75%의 함량을 보였다. 생 흑임자 보다 $100^{\circ}C$에서 15분 볶음 처리한 흑임자 시료에서 모두 sesamin, sesamolin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Lecithin을 이용하여 TBARS를 측정한 결과 $100^{\circ}C$에서 15분 볶은 처리한 흑임자 시료가 기존 천연항산화제인 Tocopherol이나 sesamol 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고,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90% 이상의 높은 소거능을 보였고, 천연항산화제인 sesamol 보다는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100^{\circ}C$에서 15분 볶음 처리한 흑임자 시료에서 Linoleic acid의 함량이 높았고, Palmitic acid, Stearic acid, Arachidic acid, Oleic acid의 함량은 생 흑임자와 거의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Linolenic acid는 $100^{\circ}C$에서 15분 볶은 처리한 흑임자 시료에서만 측정되었다. 흑임자죽의 품질 특성 및 관능검사 결과 찹쌀, 찹쌀현미, 찰흑미 흑임자죽 제조 시 볶은 흑임자 시료를 50% 첨가하였을 때 전반적인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항산화성 및 전반적인 품질 면에서 볶은 흑임자 50% 첨가하였을 때 찹쌀, 찹쌀현미, 찰흑미 흑임자죽의 최적의 제조 방법으로 사료된다.

전분을 달리한 농후제의 이용에 따른 Demi-glace sauce 제조 및 품질 특성 (Manufacturing Demi-glace Sauce Added with Different kinds of Thickening Agen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 최정희;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89-598
    • /
    • 2012
  • This research was studied to find out the best ingredients for making demi-glace sauce, using the thickening agent with glutinous rice, non-glutinous rice, brown rice, and black rice, and to look into the quality characteristics. The moisture of demi-glace sauce depending on the thickening type was that the roux added cereals was higher than the control. In addition, it was increased depending on the extension of the storage time. The control was the highest on pH and acidity. On variation depending on the storage time, all of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decrease on pH. Demi-glace sauce with brown rice and black rice roux showed increase of acidity. The DPPH radical was not tended to be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it was rapidly decreased in the control, depending on the extension of the storage time. Demi-glace sauce with non-glutinous rice was the highest on Hunter's color L value and gener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Also demi-glace sauce with glutinous rice was the highest on 'a' value and 'b' value but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storage time. The control was highest on viscosity, and demi-glace sauce with non-glutious and black rice roux were low on the variation of viscosity depending on the storage time. Increment of total bacteria in demi-glace sauce with black and brown rice roux was relatively lower than the control on storage stability test, and demi-glace sauce with brown rice roux got the highest point after swallow, taste and overall of sensory evaluation.

점미, 백미, 흑미 세포벽의 비전분성 다당류의 성분분석 (Non-Starch Polysaccharides of Cell Walls in Glutinous Rice, Rice and Black Rice)

  • 장정옥;류화정;;이온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1-102
    • /
    • 2001
  • 본 연구는 기능성 식품으로 흑미의 성분조성 연구를 위하여 식이섬유부분에 중점을 두고 백미, 점미와 흑미의 세포벅을 구성하고 있는 다당류의 분석을 행했다. 분석은 수가용성, 열수가용성, ammonium oxalate 가용성, sodium hyroxide 가용성, potassium hydroxide 가용성, alkali 불용성 획분으로 구분하여서 정제와 분석을 행하였다. 총식이섬유 함유량은 점미 5.4%, 백미 4.2%, 흑미 7.5%로 흑미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쌀의 종류에 상관없이 sodium hydroxide 가용성분이 높게 나타났고 그중에서 특별히 흑미는 4.01%로서 섬유소의 50%이상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성분은 식이섬유소를 총중량으로 점미가 80%, 백미가 66%, 흑미 86%를 나타냈다. 백미의 도정으로 수가용성분의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Pectic substances 는 수가용성분, 열수가용성분, ammonium oxalate 가용성분으로서 점미가 2.40%로 백미 1.59%, 흑미 1.12%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Alkali 가용분은 hemicellulose 부분으로서 흑미가 5.80%로서 점미 2.58, 백미 2.22%보다 2배이상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흑미의 식이섬유소의 77% 가량이 hemicellulose로서 흑미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효능은 이 부분에 중점을 두고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로서 흑미의 세포벽이 견고함으로 사료되어서 흑미의 수화나 조리시 전분이 쉽게 용출되기 어려운 점으로 미루어 조리특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알칼리 불용분은 cellulose로서 쌀의 종류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각 추출획분에서 uronic acid를 분리동정하였을 때 점미는 0.90%, 백미는 0.66%, 흑미는 1.8%로서 흑미에서 uronic acid 함량이 두 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흑미의 uronic acid 함량이 가장 많이 용출된 분획은 sodium hydroxide 부분으로서 hemicellulose구조가 polyuronic acid의 형태인 것으로 사료된다. 추출획분의 구성단당은 여러 곡물연구의 보고와 유사하게 glucose, arabinose, xylose 함량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점미가 수가용성분에서 goucose대비 용출함량이 고르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고 흑미는 알칼리가용분에서 glucose가 상당량(0.68%) 포함되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arabinose(0.68%), xylose(0.05%)도 다른 종류에 비해서 다량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흑미는 총식이섬유 함량이 높고 pectic substances, hemicellulose, uronic acid 함량이 높아서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효과가 기대되며 고섬유식품으로서 조리 특성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