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color

검색결과 1,536건 처리시간 0.031초

유치원 아동이 그린 치과의사 그림의 주조색과 아동의 치과불안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MAIN COLORS OF PRESCHOOL CHILDREN'S DRAWINGS OF THE DENTIST AND THEIR ASSOCIATION WITH THE DENTAL ANXIETY)

  • 유두선;이광희;김대업;노동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35-246
    • /
    • 1997
  • This study was done as a pilot study to develop a color test measuring children's dental anxiety. The subjects of study were 511 preschool children aged from 3 to 6. Caries experience was examined. Children's drawings of the dentis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the method of human figure drawing test modified by Sonnenberg and Venham. Colors of high dental anxiety level were black, brown, purple, red, yellow, pink, green, orange, blue, gray, yellow ochre, and white in that order. Colors of high frequency of use were yellow ochre, green, blue, red, orange, pink, black & purple, yellow, brown, gray, and white in that order. As the age increased, white & gray, yellow ochre, and blue increased and black, purple, and pink decreased. Boys liked green and blue, and girls liked orange and yellow. Filled teeth rate was highest in yellow ochre group and very low in black group. Children who had an educational dental visit before the test used green color more than the rest of children.

  • PDF

Effects of Black Sugar® and Mineral®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Hamwoo Steers in Fattening Period

  • Kim, Kwan Sik;Lee, Sang Mo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2-208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addition of mineral and sugar on the dry matter intake, daily gain, yield grade and quality grade of Hanwoo (Bos taurus coreanae) steers. Three diets fed to steers included a control diet (concentrate mix and rice straw : C) and two treatments diet (control diet + black sugar 100 g + mineral 100 g : T1, and control diet + black sugar 150 g + mineral 50 g : T2).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otal feeding intake, body weight gain and daily gai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treatments. Cold carcass weigh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2 than in the other two treatments (C and T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yield traits of back fat thickness, longissimus muscle area and yield grade among the three treatments (C, T1 and T2). Marbling score showed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order of T2 (5.67) > T1 (4.67) > C (3.67). Meat color, fat color, texture and maturity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Quality grade was higher in T2 than in the other two treatments (C and T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show that marbling score and quality grade of Hanwoo can be increased by high dry matter intake with feeding addition of mineral and sugar.

MC1R 유전자의 PCR-RFLP를 이용한 한우육과 젖소육/black Angus 수입육의 구분 (Discrimination of Hanwoo from Holstein/black Angus meat by PCR-RFLP of MC1R gene)

  • 김태중;이재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35-339
    • /
    • 2005
  • The melanocortin 1 receptor (MC1R)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on of melanin pigment synthesis within mammalian melanocytes. Mutations within the gene encoding MC1R have been shown to explain coat color variations within several mammalian species including cattle. To develope a rapid and accurate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Hanwoo, we performed a modified PCR-RFLP analysis of MC1R gene us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within MC1R as a target. A size of 538 bp (537 bp for Hanwoo) was amplified by PCR, digested with Hpa II, and electrophoresed on a 1.5% agarose gel. A PCR product from Hanwoo showed a single band of 537 bp, whereas two fragments of 328 bp and 210 bp were detected in both Holstein and Black angus. The current result suggests that the PCR-RFLP using our primers and enzyme digestion system would be very accurate, easy and reproducible method to discriminate between Hanwoo and Holstein/Black angus meat.

흑미와 밀가루를 첨가한 Sponge Cake의 제조

  • 정동식;이진철;은종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224.1-224
    • /
    • 2003
  • The production of black rice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as more Koreans are tending to blend black rice with medium-grain rice for serving. This increased production creates an opportunity for developing new products. In this study, the properties of sponge cakes produced from a blend of black rice flour (BRF) and wheat flour (WF) are investigated. Black rice sponge cakes (BRSC) were produced with constant process variables (e.g. baking temperature, fermentation time and BRP content (10, 20 & 30%)). Proximate compositions, farinogram, amylogram and extensogram analyses of BRSC were determined by AACC method. BRSC color was expressed to Hunter L, a and b values using a colorimeter. Sensory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a trained 5-member panel. Moisture contents in BRSC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tents of BRF, while ash and protein contents were increased. Farinograph and amylograph data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reatments, while extensograph data decreased with increasing BRF contents. With increasing BRF contents, Hunter L value decreased, while Hunter a value increased. When using 20% of BRP, sensory scores of BRSC were the highest in color, flavor and taste. In conclusion, 20% of BRF would be the optimum amount for producing sponge cake with BRP and WF.

  • PDF

흑두 추출물에 의한 견직물의 염색성 (Dyeing Properties of Silk Fabric Dyed with Black Soybean Extracts)

  • 류정민;전영실;김인회;남성우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20-25
    • /
    • 2005
  • The colorants were extracted from black soybean using a buffer solution. Dyeing properties and the fastness of silk fabric dyed with black soybean extracts were investigated. K/S values of dyed fabric were increased with concentration of black soybean extracts. Magnesium sulfate, nickel sulfate and calcium chloride as mordants are used to obtain reddish purple color. Optimum dyeing temperature of black soybean extracts was $30^{\circ}C$. Fastness were generally good except for light fastness which was extremely poor.

천연색소 소재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y of Natural Color Resources)

  • 황초롱;탁현민;강민정;서화진;권오운;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33-641
    • /
    • 2014
  • 천연색소로 사용되는 식물류 11종(쪽, 아카시아, 코치닐, 아선약, 포도과피, 태수, 헤나, 국화, 붉은백단향, 대황, 서양꼭두서니)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해 열수 추출 분말을 제조하여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아선약 추출물이 348.23 mg/g으로 가장 높았다.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FRAP법에 의한 환원력도 아선약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beta}$-carotene linoleic acid system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소화효소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93.93%로 가장 높았고, ${\alpha}$-amylase 저해 활성은 아선약 추출물이 64.53%로 가장 높았다. Trypsin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60%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alpha}$-chymotrypsin 저해 활성은 아선약 추출물이 4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ipase 저해 활성은 아카시아 추출물이 52.73%로 가장 높았다. 3T3-L1 세포에 대한 지방 축적률은 아선약 추출물이 55.8%로 가장 낮아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물류 색소원료의 중 아선약 추출물과 아카시아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 분해효소 저해에도 상당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페놀 함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아선약 추출물의 경우 지방세포 분화 억제를 통해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이 되며 그와 관련된 메커니즘 연구는 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 MC1R 우성흑모색 대립인자를 구분하는 변형 프라이머를 이용한 소 품종들의 유전자형 분포 분석 (Analysis of the Genotype Distribution in Cattle Breeds Using a Double Mismatched Primer Set that Discriminates the MC1R Dominant Black Allele)

  • 한상현;김영훈;조인철;장병귀;고문석;정하연;이성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633-640
    • /
    • 2008
  • 소의 모색 발현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Extension 좌위에 암호화되어 있는 melanocortin- 1 receptor(MC1R) 유전자형을 변형된 염기서열이 증폭되게 제작된 이중 mismatch primer 쌍을 이용하여 PCR-RFLP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증폭된 PCR 절편들은 MC1R 유전자에서 모색 표현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세 가지 대립인자들(ED, E+, e)로 MspI-과 AluI-RFLP에 의해 성공적으로 구분되었다. MC1R 유전자형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제주흑우는 세 가지 대립인자가 모두 출현하였고, 황-적모색의 한우와 호피문의 칡소에서는 흑모색우성 대립인자 ED가 출현하지 않았다. 반면, 우성흑모색으로 알려진 두 소 품종 Holstein과 Angus는 ED 대립인자의 빈도가 96%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한우×Holstein F1과 한우×Angus F1은 모두 ED/e의 유전자형을 나타내었고, 표현형은 전신 흑색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고안한 이중 mismatch primer 쌍을 이용한 MC1R 유전자 증폭 절편에 대한 MspI-과 AluI-RFLP 조합은 소의 품종 특성 규명과 품종 식별에서 매우 중요한 유전자 표지인자 중 하나인 MC1R 유전자의 세 가지 대립인자를 식별하는 데 유용한 실험기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흑맥가루와 올리브유 첨가 식빵의 제조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White Pan Bread Preparation by Addition of Black Barley Flour and Olive Oil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진곤;김영호;오종철;유현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80-190
    • /
    • 2013
  • 흑맥가루와 올리브유를 첨가하여 식빵의 영양성과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해, 밀가루 대체 흑맥가루 첨가량은 6-34%로, 쇼트닝 대체 올리브유 첨가량은 0.6-3.4%로 첨가량을 달리 하여 식빵을 제조한 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최적화하여 최적조건을 구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이화학적 특성과 물성 중 무게, 부피, 비용적, 명도, 적색도, 황색도, 경도,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이 linear 모델이 채택되었으며, 검성은 quadratic 모델이 채택되었다. 관능적 특성 중에서는 색, 외관, 조직감, 맛, 전체적 기호도가 quadratic 모델이 채택되었고, 향은 이차 회귀분석에 대한 설명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특성과 물성 중 흑맥가루와 올리브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게, 적색도, 경도, 응집성, 검성, 씹힘성이 증가하였고 부피, 비용적, 명도, 황색도, 탄력성은 감소하였다. 이화학적 특성과 물성 특성에 흑맥가루 첨가량에 대한 영향이 올리브유 첨가량에 대한 영향 보다 컸다. 관능특성 검사 결과 향을 제외한 모든 관능검사 항목에서 흑맥가루와 올리브유 첨가량에 의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으며, 올리브유에 대한 영향은 흑맥가루 첨가량에 대한 영향보다 적었다. 관능특성 검사 결과 중 유의성이 있었던 모든 항목의 최대값을 목표범위를 충족시키는 최적의 배합비율은 흑맥가루 18.00%, 올리브유 1.80%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흑맥가루와 올리브유를 이용한 식빵을 비롯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UASB 반응기를 이용한 반응성 염료 Remazol Black B의 분해 (Biodegradation of a Reactive Dye, Remazol Black B in a UASB Reactor)

  • 오유관;이성호;김효섭;김유진;이상준;박성훈
    • KSBB Journal
    • /
    • 제14권6호
    • /
    • pp.688-69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난분해성 염료인 diazo계 반응성 염료 Remazol Back B의 UASB 반응기 처리에 있어서 운전변수의 영향 및 환경기준치 만족을 위한 유입되는 염료부하량을 조사하였다. 중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입 염료농도 20-60 mg/L, 보조탄소원인 포도당 농도 1,000-3,000 mg/L 범위에서, HRT(3-12 시간)에 상관없이 염료 제거율은 75-80%로 일정하였다. 2. 흡광도 및 HPLC를 통한 유입수 및 유출수의 분석결과 Black B는 UASB 반응기에서 완전히 분해되었으나 Black B 분해산물의 경우 Black B 분자가 가지고 있는 색도의 25%에 해당하는 색도세기를 지니고 있었다. 이들 물질들로 인해 염료 제거율이 운전조건에 상관없이 항상 75-80%로 유지된 것으로 판단된다. 3. 환경기준치를 만족시킬 수 있는 유입 가능한 최대 염료농도는 13 mg/L이었고 이 때 UASB 반응기에 유입 가능한 최대 염료부하량은 104 mg/L${\cdot}$day이었다. 이로써 UASB 공법의 현장 적용가능성은 높다고 판단된다.

  • PDF

나이, 성 별 선호색과 감성이미지에 의한 자동차 색에 대한 비교 연구 (The Comparison Study Against Preference Colors and Emotional Image of Car Colors According to an Age and Gender)

  • 이창민;신광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66-178
    • /
    • 2012
  • 감성 세대로의 진입에 따라 소비자들의 선호 색을 반영한 자동차 선호 색상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 디자인과 소비 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계층별 선호색과 감성 이미지에 의한 자동차 색에 대하여 조사 하였다. 조사 대상은 연령대 별, 성별에 따라 남, 여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을 기준으로 8분류로 나누어 각각 30명씩 실시하였다. 선호 색상은 검은색, 흰색, 하늘색, 보라색, 분홍색, 주황색 순으로 나타났으며 검은색, 흰색, 회색을 제외한 색상은 파란색, 노란색, 보라색 순으로 나타났다. 감성적인 자동차 색상을 색상으로 보여주었을 때와 색상으로 보여주지 않았을 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좋아하는 색상은 감성에 따르고 있으나 실제로 자동차 이미지가 보수적으로 인식되어 밝은 유채색 차의 선택을 주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아직은 감정표출에 있어 소극적임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