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rth Plan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2초

Identifying Space Grammar in the Unit Plans of Contemporary Indonesian Houses

  • Ju, Seo Ryeung;Maisarah, Maisarah;Kim, Min Kyoung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9-20
    • /
    • 2019
  • I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a unit plan, two rules exist: one that governs the arrangement of spaces, and one that controls the design process of generating a unit plan. This study defines space grammar as an integration of the two rules that give birth to a given spatial configuration and as the process of the generation of unit plans. To understand the distinctive features of Indonesian row houses, this study analyzes the unit plans of row houses in new towns of the metropolitan cities of Indonesia, derives a common space grammar from the unit plans, and interprets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that has produced this space grammar. This study employs Seo's (2007a; 2007b) graph-theoretic methodology to analyze the spatial configurations of unit plans along with a topographical approach to systematically illustrate the design process. The guest space was found as the most unique space of Indonesian houses, which cannot be found in other Southeast Asian houses. Kitchen was clearly seperated from the dining and living spaces, following traditional custom. Dining space was found to serve as a circulation center, connecting the entrance, the lving area and the kitchen. This study locates the basic orders of primary space and the design principles that dictate the unique spatial configurations of Indonesian row houses. This study reveals the basic space grammar that underpins the forms of Indonesian row houses, explaining the sociocultural and geo-climatic factors affecting this space grammar and propos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Indonesian contemporary houses.

가나 볼타지역 가임여성의 가족계획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That Affect Family Planning of Fertile Women in Volta Region in Ghana)

  • 김재우;남은우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9-395
    • /
    • 2014
  • Background: Family planning is widely practiced today to resolve the over-growing population and overcome obstacles that thwart socio-economic growth. While Ghana was the first country in Africa to implement family planning program, its birthrate is still twice as much as world average due to weak infrastructure and strategic plans to enforce the policy. Thus, there is a need to objectively verify the factors that affect family planning of fertile women of Ghana. Methods: Total of 630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April 8 to 17 of 2013 to collect data. Six-hundred eighteen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luding the 12 incomplete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SW SPSS ver. 18,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factors that affect practice of family planning. Results: Satisfaction with health and medical facilities, experience with family planning education and awareness of birth control methods significantly affected practice of family planning. Based on analysis using odds ratio, enforcement rate of family planning increased by 4.574 times when the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health and medical facilities, by 3.920 times when received family planning education, and by 3.284 times when they were aware of birth control methods. Conclusion: By adopting family planning education program, government should be able to change fertile women's perception of family planning. A strategic plan is necessary in order to increase access to medical facilities, improve service satisfaction, and induce women to enforce family planning voluntarily.

Positive Effect of Baby-Friendly Hospital Initiatives on Improving Mothers' Intention for Successful Breastfeeding in Korea

  • Park, Hyun Woo;Ryu, Keun Ho;Piao, Yongjun;Li, Peipei;Hong, Jae Shik;Kim, Hee Bum;Chung, Hwanwook;Hoh, Jeong-Kyu;Kim, Yong Joo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43호
    • /
    • pp.272.1-272.12
    • /
    • 2018
  • Background: In Korea, the breastfeeding (BF) rate of infants aged 6 months or more is drastically decreasing, and this phenomenon is particularly worrisome for the future health of the population.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an antenatal strategy for initiation and continuation of human BF, and to identify how Baby-Friendly Hospitals (BFHs) may positively influence the intention to breastfeed. Methods: A total of 414 pregnant Korean antenatal women were surveyed using questionnaires to determine current knowledge of the benefits of human breast milk, whether they planned to breastfeed after delivery, to continue BF after reinstatement in the workforce, are willing to abide by rooming-in care for infants, and plan to give birth at BFHs. Results: We found that planning room-in care, greater awareness of BF benefits for infant and mother, participation in antenatal education programs, and provision of BF facilities in the workplac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lans for exclusive breastfeeding (EBF) and longer BF duration. The mothers who planned to give birth at BFHs also desired to breastfeed immediately after birth, implement in-room care, continue BF at their workplace, participate in antenatal BF educational programs, and were more aware of the benefits of BF. Conclusion: If the beneficial effects of BFHs were well known to individuals, these would enhance the success rate of BF in Korea. Antenatal education and consequent acquisition of better knowledge of the benefits of BF are important for increasing the rate of BF practices.

국내 산양(Naemorhedus caudatus) 암컷의 출산시기 행동 특성에 따른 분석 및 관리 방안 (Analysis of Home Range Change of Female Goral (Naemorhedus caudatus) during the Period of Birth and Management Plan for their Protection in the Natural Habitat in Korea)

  • 조재운;김규철;김기윤;이용학;손장익;정승준;송동주;정대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57-864
    • /
    • 2016
  •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산양 암컷(n=6)의 출산시기 행동권 분석을 위해 2007년 3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설악산국립공원, 월악산국립공원 2지역에서 GPS collar 발신기를 이용하여 연구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출산시기에 따라 행동권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MCP 95%에서 봄 $1.00{\pm}1.00km^2$ > 가을 $0.66{\pm}0.30km^2$ > 여름 $0.61{\pm}0.40km^2$ > 겨울 $0.50{\pm}0.10km^2$(F=4.240, p<0.05)로 분석되었으며, 월별분석은 5, 6, 7월에 급격이 행동권이 작아지는 특징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F=24.261, p<0.01). 이렇듯 행동권의 급격한 변화를 보인개체들은 새끼를 출산한 개체로 확인 되었고, 행동권이 급격히 작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평균 이용고도는 $615.77{\pm}173.508m$이며 출산개체와 비출산 개체 모두 큰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출산 시기 등을 고려한 개체관리 및 복원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청소년부모의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10대에 첫 자녀를 임신한 미혼한부모를 대상으로- (Exploratory study on developing a support policy for adolescent parents: focusing on single mothers who become pregnant for the first time as teenage years)

  • 이영호;박지윤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1호
    • /
    • pp.113-132
    • /
    • 2021
  • 지금까지의 한부모가족에 대한 연구들의 대다수는 미혼 한부모가족의 형성사유를 구분하지 않아, 청소년한부모를 특정하여 직접 자료조사를 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부모의 임신, 출산, 양육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기 위한 정책 개발의 기초 자료를 청소년부모의 양육과 관련한 실태조사를 통해 얻고자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청소년부모를 대상으로 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므로 동일한 문제를 내포한 10대에 첫 자녀를 출산한 미혼한부모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이들의 기본적인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임신에서 양육 초기의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자녀 양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넷째, 자립의 가능성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부모의 지원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10대에 첫 자녀를 출산한 미혼한부모를 대상으로 임신에서 출산, 양육초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직접 조사를 통해 탐색한 연구로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점을 갖고 있으며, 비양육자인 자녀의 생부의 역동을 함께 추측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저출산의 극복이라는 중차대한 국가의 과업에서 청소년 산모의 건강권을 바탕으로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함께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는 일은 개인, 사회가 함께 고민하여야 하며, 그 과정에서 아이 생부에 관한 사회의 무관심을 환기시키고 아이 생부를 양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부모와 미혼부의 존재를 인정하고 이들을 다양한 가족의 하나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청소년복지지원법과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에서 청소년부모에 대한 지원의 근거가 명시되어야 하며, 10대의 청소년으로서 부모역할을 수행하는 부모, 한부모들에 대해서는 가정의 형태에 관계없이 이용가능한 시스템의 도입과 10대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자녀양육과 관련한 정보 및 양육프로그램이 전문가에 의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포괄하는 가족정책의 수립과 가족자원과 지역자원을 적용할 수 있는 더욱 구체적인 후속 연구들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수도권 펜션의 실태 분석에 의거한 펜션단지 조성 방안 (The Scheme of Making Pension Community Based on the Factual Analysis of Pensions Near Urban Areas of Seoul)

  • 김인호;김신원
    • 농촌계획
    • /
    • 제9권1호
    • /
    • pp.27-35
    • /
    • 2003
  • As the modern societies have become complicated and diverse, people's interest in "leisure time" has been higher than ever before, especially in relation to 5 day work a week. The increasing weekend trip and the travlers' demand for the better service and the convenient accomodations gave birth to "Pension" as one of accomodations in Ko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attempt to plan and design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etitive "Pension" which are popular between traveler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living in cities. This study also attempts to find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in relation to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ensions which are built and under construction, and to suggest a new revised concept of pension. The summary is as follows: 1. This study focuses on the special theme of building Mo-Hyun Myon pension community with originality and new style of management. 2. This study includes the introduction of the special agency which makes reservations, promotes, and manages for the convenience of customers and buyers. 3. It pianos to secure the public area for various events and rests. 4.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site where the complex stands will be fully utilized to maximize the beauties of nature.

기혼여성의 출산아수별 추가출산계획 (Parity Specific Approach to the Plan of Having an Additional Child)

  • 김정석
    • 한국인구학
    • /
    • 제30권2호
    • /
    • pp.97-116
    • /
    • 2007
  • 저출산 현상의 지속과 심화, 그리고 그것이 갖는 사회적 파장이 부각됨에 따라 출산관련연구가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IMF 위기라는 전사회적 현상 속에서 개인의 출산행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에 대한 연구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연구들을 바탕으로 출산행위에 관련된 요소들을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경제적 상황, 출산관련 생활사건변수, 시부모 및 친정부모 생존여부, 현존자녀 및 이상자녀변수 등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기존연구들과는 달리 출산아수가 아니라 출산계획을 분석대상으로 하는 한편, 현재의 출산아수별로 출산계획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실시한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에서 35세 이하 기혼여성들을 추출해 분석해 본 결과, 첫째아 계획은 보편적인 현상이며 둘째아 계획에는 가구경제의 안정성, 양육보조자의 존재 등이 중요한 요소임을 발견했다. 이는 둘째아 계획이 주어진 경제와 양육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셋째아 계획은 남아의 존재여부와 이상자녀의 성 구분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 남아(선호)가 여전히 상당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이는 출산아수에 따라 출산계획의 기제가 차별적임을 의미한다. 출산계획의 출산아수별 차별적인 기제는 출산행위에 대한 깊이를 더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 같은 기제를 접근하는 데 있어 계량적인 접근방식과 더불어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질적 연구(특히 집단초점토론)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시도별 출산력 예측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orecasting provinces-specific fertility for Korea)

  • 김순영;오진호
    • 응용통계연구
    • /
    • 제32권2호
    • /
    • pp.229-263
    • /
    • 2019
  • 우리나라 출산율은 2000년 이후 빠르게 감소하고 있으며, 시도별 출산율도 대체적으로 동일한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시도별 출산율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저출산 고령화 대책, 교육 및 복지 등의 지역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필수 자료이다. KOSTAT (2017) 시도별 출산율 추계 방법은 최근 10년(5년)간 전국 평균 출산율 정보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질적인 시도별 추이를 반영하는데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도별 출산율 추계에서 중요한 연도별 안정적 패턴 유지와 시도 출산율 차별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제안 1, 2)는 연도별 출산율의 시계열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연령별로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출산율의 변동추이 및 전국과 시도의 차이를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안3은 전국과의 관계는 고려하지 않고 시도의 연령별로 출산율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독자적 추이를 반영한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전국 출산율과 시도 출산율 패턴이 유사하므로 제안1, 2와 같이 시도 출산율 예측시 전국과의 관계를 이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볼 수 있다. 이런 제안은 연령별 출산율 추이에 안정성을 개선시켰다.

싱글남녀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1인가구 주택상품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using Planning According to the Lifestyle of One-Person Households)

  • 이인선;강순주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80-185
    • /
    • 2009
  • The number of households in the country is expected to rise from 16,420,000 in 2007 to 19,870,000 in 2030, an increase of 21%. This is because while the population itself decreases due to a low birth rate, the number of households rapidly multiplies with the increase of nuclear family and single-person households. The ratio of single-person household is increasing every year at demographics data. The design that suits their needs, however, is not fully explored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single-person household's lifestyles, and to search and analyze users' needs for spat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and then, propose a single-person housing's plan and direction.

  • PDF

일본 노유복합시설의 세대간 교류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 Space Planning of Age-integrated Facilities in Japan)

  • 박혜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51-59
    • /
    • 2009
  • This study reviewed the background of the advent of and the concept of age-integrated facilities where elderly persons' facilities and children's facilities have been built in the same plot or building or establish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lso it examined the concept, necessity, effects, and kinds of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Ten age-integrated facilities in Japan, where it is reported that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are now being implemented, were selected and visited for surveys. This study implemented interviews with staff members and analyses of the drawings of the facilities to grasp the present state of age-integrated facilities and their plan types, etc. Through analyses of relationships between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and the spaces in which these take place, this study discusses guidelines for space arrangement and for developing interaction space plans for age-integrated facilities that would facilitate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