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propellant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4초

전단동축형인젝터를 통해 분사된 메탄-산소 이원추진제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Methane-Oxygen Bipropellant Injected by a Shear-coaxial Injector)

  • 홍준열;배성훈;배대석;김정수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87-790
    • /
    • 2017
  • 본 연구는 이원추진제 추력기(thruster)에 사용되는 메탄-산소 연소특성규명의 선행연구로서 모델연소실 내 전단동축형인젝터를 통해 분사된 기체메탄-기체산소 비예혼합화염의 연소안정한계 및 화염형상을 도출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DSLR 카메라를 이용하여 화염 직접이미지(direct image)를 촬영하였고, 이미지 후처리(post-processing)를 통해 연소특성파악 및 화염길이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산화제 레이놀즈 수($Re_o$)가 증가함에 따라 이론반응비(stoichiometric ratio)에서 안정된 화염이 발생하였고, 동일 인젝터직경 조건에서 난류화염의 길이가 늘어남을 확인하였다.

  • PDF

리세스 길이 및 분사압력 변이에 따른 스월 동축형 인젝터의 분무특성 (Spray Characteristics of Swirl-coaxial Injector According to the Recess Length and Injection Pressure Variation)

  • 배성훈;권오채;김정수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8-76
    • /
    • 2016
  • 본 연구는 이원추진제 추력기의 핵심부품에 대한 성능평가의 일환으로, 기체메탄/액체산소를 추진제로 사용하는 스월 동축형 인젝터의 리세스 길이 및 분사압력에 따른 분무특성 파악을 목표로 하였다. 분무형상은 슐리렌 가시화 기법을 이용하여 획득하였고, 슐리렌장치는 광원, 오목거울, 초고속카메라 등으로 구성된다. 내부 인젝터에 의한 액체 분무의 경우 hollow cone 형상을 확인하였으며, 내부 인젝터 오리피스 길이의 증가와 함께 스월강도 감쇠의 영향으로 분무각은 줄어들었다. 기체-액체를 함께 분사할 때, 분무각은 리세스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외부혼합영역에서 증가하지만, 내부혼합영역에서는 작아졌는데, 액체분무 분사 압력의 높고 낮음에 무관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모델연소실 내 압력 변화가 메탄/산소 이원추진제의 연소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sure Variation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 Gaseous CH4/O2 Bipropellant in a Model Combustor)

  • 최선;김태영;김희경;구자예;권오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3-71
    • /
    • 2017
  • 메탄($CH_4$)/산소($O_2$) 액체이원추진제는 친환경성, 무독성, 경제성, 우수한 성능 등의 장점으로 최근 들어 차세대 친환경 이원추진제로서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소실 내 압력 변화에 따른 기체 메탄/산소 비예혼합 동축 화염의 연소안정한계를 측정하고, 화염 및 유동의 가시화를 통해 분사 조건 및 압력 변화에 따른 화염의 구조와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연료과농 조건에서 연소실 내 압력이 증가할 경우 연소안정한계가 확장되고 반응 영역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주분야에서의 Hydrazine 적용현황 및 발전방향 (Technology trend & its future for the space application of hydrazine)

  • 김인태;이재원;장기원;유명종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6년도 제26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7-22
    • /
    • 2006
  • 하이드라진 추진시스템은 위성 및 발사체 추진시스템에 적용되는 액체추진제 중에 가장 안정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추진제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다목적실용위성 사업을 수행하며 단일추진제로서 하이드라진을 운용 및 시험한 경험을 갖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이드라진 추진제에 대한 소개 및 Material Compatibility, 운용 및 취급시의 주의사항 그리고 향후의 하이드라진 시스템의 발전방향 등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였다.

  • PDF

l00N $H_2O_2$ Monopropellant 로켓 엔진의 개발 (Development of a Hydrogen-Peroxide Rocket Engine of l00N Thrust)

  • Sang-Hee Ahn;S. Krishnan;Choog-Won Lee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3년도 제21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1-134
    • /
    • 2003
  • There has been a renewed interest in the use of hydrogen peroxide as an oxidizer in bipropellant liquid rocket engines as well as in hybrid rocket engines. This is because hydrogen peroxide is a propellant of low toxicity and enhanced versatility. The present paper details the features of the designed engine of l00N thrust and its facility. Also explained is the arrangement of the distillation unit to be used to prepare rocket-grade hydrogen-peroxide propellant. Results of the simulated "cold" tests are presented.

  • PDF

Investigation of Self-Excited Combustion Instabilities in Two Different Combustion Systems

  • Seo, Seonghyeon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8권7호
    • /
    • pp.1246-1257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haracterize dynamic pressure traces measured at self-excited combustion instabilities occurring in two combustion systems of different hardware. One system is a model lean premixed gas turbine combustor and the other a fullscale bipropellant liquid rocket thrust chamber. It is commonly observed in both systems that low frequency waves at around 300㎐ are first excited at the onset of combustion instabilities and after a short duration, the instability mode becomes coupled to the resonant acoustic modes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first longitudinal mode for the lean premixed combustor and the first tangential mode for the rocket thrust chamber. Low frequency waves seem to get excited at first since flame shows the higher heat release response on the lower frequency perturbations with the smaller phase differences between heat release and pressure fluctuations. Nonlinear time series analysis of pressure traces reveals that even stable combustion might have chaotic behavior with the positive maximum Lyapunov exponent. Also, pressure fluctuations under combustion instabilities reach a limit cycle or quasi-periodic oscillations at the very similar run conditions, which manifest that a self-excited high frequency instability has strong nonlinear characteristics.

이원추진제 추진계의 추진제 충전 해석 프로그램 (A Propellant Loading Analysis Program of Bipropellant Propulsion System)

  • 채종원;한조영;유명종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048-1053
    • /
    • 2009
  • 액체 추진제 안의 헬륨과 얼리지 안의 헬륨에 질량보존법칙을 적용하여 추진제 탱크의 평형압력을 구하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추진제 충전 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기존의 참고자료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을 현재 개발 중인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자료와 비교하였고, 다음 정지궤도 복합위성의 추진계 기술개발에 사용하고자 한다.

액체로켓엔진 축소형 고압 연소기 설계

  • 한영민;김승한;서성현;이광진;김종규
    • 항공우주기술
    • /
    • 제4권2호
    • /
    • pp.135-14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와류형 및 충돌형 분사기를 가진 액체로켓엔진용 축소형 연소기의 기본 설계 및 상세설계에 대해 기술하였다. 와류분사기는 내부에 액체산소 외부에 케로신을 공급하여 노즐 내부 또는 외부에서 혼합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축소형 연소기는 분사기 헤드, 삭마 냉각방식의 내열재 연소실 그리고 물냉각 노즐로 구성되어 있다. 분사기 헤드는 18개의 주 분사기, 하나의 중앙 분사기, 연료 메니폴드, 산화제 매니폴드 그리고 추진제 분배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PDF

이원 추진 시스템 고압 시험시의 파열 안전성 고찰 (Rupture Safety Assesment of Bipropellant Propulsion System at High Pressure Testing)

  • 장세명;한조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05-611
    • /
    • 2010
  • 정지궤도위성인 통신해양기상위성은 2010년 발사 예정인데, 관련된 일련의 성능 시험중에는 수백 기압의 헬륨 가스로 채워진 추진계 탱크의 고압 내구 시험도 포함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시험 시스템에 최악의 사고가 일어날 경우를 대비하여 그 위험도를 계산하여 보았다. 두 가지 시나리오가 있는데, 첫째는 310 기압의 헬륨 탱크가 현재의 시험챔버에서 일시에 파열하는 경우, 둘째는 116 기압의 감압된 헬륨 탱크가 방탄유리로 보호되고 있는 방에서 파열하는 경우를 가정해 보았다. 폭발파 전파 이론과 전산 수치 모사를 통하여, 제한된 공간에서 반사되는 파동의 역학을 매우 복잡한 비정상 유동 물리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H2O2-케로신 로켓을 초기 가속장치로 갖는 새로운 램젯 추진기관 (Novel Ramjet Propulsion System with H2O2-Kerosene Rocket as an Initial Accelerator)

  • 박근홍;임하영;권세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91-49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RBCC (Rocket Based Combined Cycle)엔진이나 기존 램제트 추진기관의 초기 추력 제공에 과산화수소 가스발생기를 이용하는 새로운 추진시스템을 제안하였고, 기초 연구 수행으로서 촉매 분해된 과산화수소 제트에 케로신을 분사하여 자연발화 및 연소 특성을 연구하였다. 과산화수소는 촉매 베드를 통하여 분해된 후 축소노즐을 통해 연소실로 분사됐으며 이 제트에 인젝터를 통하여 수직으로 케로신을 액상으로 분무하였다. 연소실내에서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여 점화를 확인하고 자연발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400°C의 연소실 온도와 연료와 산화제 혼합비 0.6이상에서 자연발화와 안정적인 연소가 가능하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램제트의 새로운 초기 가속장치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