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tope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2초

Urban Forest Monitoring in Korea since 1991: Case Study on Daegu Metropolitan City

  • Kwon, Jino;Cho, HyunJe;Choi, MyoungSnb;Park, Chan-Ryul;Sung, Joo-Han;Cho, Jae-Hyoung;Kim, Sunhee;Park, Jonggyun;Oh, Jeong-Hak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5호
    • /
    • pp.591-594
    • /
    • 2006
  • To have better urban forests in future we are focusing on two major issues like other countries. How we could have more urban forest-quantitative approach-against the expanding of urbanization, and how we could produce better urban forest-qualitative approach-to give a chance in contact with better nature for urban people. Prime surveys on urban forests have been carried out in 6 major cities since 1991, and the city of Daegu which is located on the east southern area of Korea have been case studied for qualitative approaches during last 3 years. Major species of the remnant forests were Pinus densiflora, Pinus rigida, Pinus thunbergii and Robinia pseudoacacia. Approximately 20% of the surveyed forests were lost their structure as forests caused by illegal farming, facilities and as the bare ground by excessive visitors. Generally speaking the condition of forests for biotope was very poor in overall. From two years data of monitoring of birds, we found that wooded parkways and woodland squares had more species than street tree areas. Nests were found mainly on the branch of Zelkova serrata,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yrsinaefolia. The size of urban forests mainly determined the species richness of birds. According to the oxygen output and carbon input by photosynthesis measurement, the capability was in order of Platanus occidentalis, Zelkova serrata and Ginko biloba. Air conditioning effects of trees through transpiration measurement was found and the quality of forests also related to the reducing of urban heat-island.

건설관리 사업의 생태 보전 및 복원 전략 - 댐사업을 중심으로 - (Ecological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Strategies 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Projects - Focused on Dam Projects -)

  • 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건설 사업의 수행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환경훼손을 최소화하거나 저감하고,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공법, 정책 및 제도를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사례로 댐건설 사업에 대한 친환경 기술과 공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존 연구사례 및 문헌을 고찰하여 친환경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미 조성되었거나 조성 중인 댐을 대상으로 실제 적용되고 있는 친환경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건설사업에 도입될 수 있는 친환경 항목을 설정하고 기술 및 공법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생태계 보전, 생태계 복원, 새로운 생태계 조성, 친수환경 및 위락, 경관 및 역사문화 등이 친환경요소로 도출되었다. 또한 환경친화형 건설사업의 지속적인 추진과 성과를 위한 정부차원의 정책과 제도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적극적인 생태환경 보전 및 복원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건설사업에 의한 환경파괴를 최소화하고 새로운 생태환경을 창출하는 친환경 건설의 대표적인 사례로 자리매김될 수 있으며, 나아가 건설 분야의 친찬경 사고 확산을 위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천지역 비오톱지도 제작을 위한 프레임웍 데이터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Framework data for Biotope Mapping in Incheon)

  • 최병길;나영우;이형수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9-354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비오톱지도 제작 및 환경관리를 위한 프레임웍 데이터의 제작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비오톱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원시데이터를 취합 및 통합과정을 통해 무결점의 프레임웍 데이터를 제작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지역 환경관리를 위한 비오톱지도 제작의 기초데이터인 프레임웍 데이터 제작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비오톱지도는 지표면의 형태와 위치의 기준을 나타내는 지형주제도, 단위비오톱 형상의 기준이 되는 도시주제도, 도시생태현황을 나타내는 도시생태조사도 등을 기반 데이터로 사용하여 제작되어지며, 각 주제도는 다양한 형태의 원시자료로부터 추출 및 가공되어 비오톱지도의 기반데이터로 사용되는데 이 기반데이터가 논리적, 물리적으로 정확하게 제작되어야 정확한 비오톱지도가 제작될 수 있으므로 이를 비오톱 지도 제작을 위한 프레임웍 데이터로 분류하여 본 연구를 통해 구제적인 작성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농촌지역과 소도시간 학교 생태연못 특성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cological Pond in School between rural area and small town)

  • 윤용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1권1호
    • /
    • pp.11-22
    • /
    • 201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ecological ponds built in the campus sites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hich currently manage ecological ponds in order to find problem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the ponds as a way to build nature-friendly ecological ponds which can be used as an ecological work-study site on school campus: this study also intends to provide systematic and technological directions for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ecological pond. This study has selected 10 schools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where ponds are constructed, and investigated actual conditions of the ponds based on the survey, analysis, and evaluation standards compatible with the school environments, and finally judged the general relevancy of the po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ke us conclude that the most important issue to be considered in the processes of selection and investigation for school ecological pond is the location of the pond.

참여형 도시 소생물권 설계 (Biotop Design for an Urban Area Based on Citizen Input)

  • 이관규;김철민;한선아
    • KIEAE Journal
    • /
    • 제5권4호
    • /
    • pp.59-64
    • /
    • 2005
  • This work was designed for the Green Fund Aid 2004 of Korea Forest Service. It won the prize and has been constructed. We can have an opportunity to play a leading role in improving partnership with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ies, promoting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hancing the environmental quality by constructing biotops in urban areas where energy flow in the ecosystem is not balanced. This design includes 'citizen participation process' and 'local community partnership' that is expected to promote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design. This work suggests that biotope construction with citizen involvement and community partnership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design items but also in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y. This sort of design process could not be fully achieved without cooperation with stakeholders - environmental specialists, local authorities, relevant societies, schools, teachers, parents of students.

친환경 고속도로의 건설 방향 (The Prospects of Highway Road in Consideration of Natural Environment)

  • 전기성;김태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05-112
    • /
    • 2000
  • For the purpose of building up the construction prospects of highway in consideration of natural environment. The tree planting and flower seeding in highway road side using native species were offered to natural landscape and resting area landscaping for peoples, and these area were 194place. The tree planting and flower seeding activity is to improve driving circumstances, and to conserve living and natural environment along the highways. And, preparation of ecotone and biotope at the highway surroundings for natural ecosystem conservation is an important activity, and planting of natural plants is generally carried out near wildlife ecoroads in order to give the way for animal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tree planting and seeding is not only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but also to enhance the ecological surroundings of highway circumference. Ultimately, It is essential that the constructive method of highway think over such as ecological environment and road design, surveying and management, construction, highway maintenance etc.

  • PDF

성환읍(成歡邑)의 생태적(生態的) 녹지(綠地) 및 수공간계획(水空間計劃)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Urban Planning of Ecological Green and Water Space in Seonghwan-up)

  • 정건채;이광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87-9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odel of planning of urban on focused Seonhwan-up in Chongan-city. The subject matter of this paper is urban design of small town which has factors of ecological conditions in rural area. We can check ecological design factors of this city through green and water space, first of all. If they are produced by biotope network, this city in the nature is to create eco-city which has symbiosis between human and a creature.

  • PDF

옥상 녹화지의 시각적 선호도 (Visual Preference in Green Roof Sites)

  • 이관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2-38
    • /
    • 2006
  • Roof greening in a city can contributes to not only providing network opportunities for dispersed greenspace patches but also bringing more greenspaces into a city. In addition, it can help to flooding and microclimate control in the city. Recently, a number of roof greening projects have been introduced, mainly to public buildings and schools. Roof peening need to offers both ecological functions and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for urban residen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directions for improving ecological benefits and visual preference of roof greening. Twelve scene slides were adopted to measure people's visual preference.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landscape images can be categorized into naturalness, visual diversity, uniqueness, and spatial flexibility. Physical scenes can be classified into type I mostly greened by plants, type II mixed between convenience facilities and plants, and type III constructed with pond. People show high preferences to type I and type II when visual diversity is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o enhance the visual preference by considering visual diversity when applying the ecological design methods to improve naturalness for roof greening.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에서의 큰기러기 월동지 비오톱구조와 행동특성 연구 (A Study on the Biotope Structure of Wintering Place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nser fabalis in Cheongna Area, Incheon Free Economic Zone, Korea)

  • 박병구;한봉호;이경재;곽정인;임성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5-315
    • /
    • 2013
  • 본 연구는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에 도래하는 큰기러기의 월동지 비오톱구조와 행동특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큰기러기 월동지 보전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청라지구 비오톱의 주요 유형은 갈대습지 $6,093,762m^2$(47.8%), 볏짚이 없는 논 $2,927,916m^2$(23.0%), 볏짚이 있는 논 $1,915,655m^2$(15.0%)이었으며, 얼음이 있는 논, 건조초지 등이 일부 분포하였다. 2005년 2월 13일 현장조사 결과 청라지구에서 관찰된 전체 야생조류는 총 33종 6,534개체이었으며, 이 중 큰기러기는 총 5,128개체이었고 출현한 전체 종 중 78.5%를 차지하는 우점종이었다. 큰기러기 이동경로 분석 결과, 일출 전 후를 기점으로 잠자리에서 채식지로 이동하였고, 일몰 전 후를 기점으로 채이장소에서 잠자리로 이동하였다. 큰기러기의 행동특성과 비오톱 유형의 관계를 종합해보면, 갈대습지에서 큰기러기 개체군의 출현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얼음이 녹은 무논에서 큰기러기의 출현 개체수가 가장 많았다. 갈대습지에서 큰기러기는 식물의 뿌리 및 열매를 채식하였으며, 얼음이 녹은 무논에서는 낙곡 채식, 휴식, 수면하는 등 다양한 행태를 보였고 볏짚이 있는 논과 볏짚이 없는 논에서는 낙곡 채식 및 휴식을 하였다. 큰기러기의 출현 개체수는 논에서는 논경작지의 유형보다 낙곡 유무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공동주택단지의 생태면적률 계획을 위한 LIM 활용방법 - 지형 및 포장재 모델링을 중심으로 - (LIM Implementation Method for Planning Biotope Area Ratio in Apartment Complex - Focused on Terrain and Pavement Modeling -)

  • 김복영;손용훈;이순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4-26
    • /
    • 2018
  • 생태면적률은 친환경적 공간 개발을 위한 정량적 사전 계획지표이자 건축물과 외부공간의 균형 있는 개발을 유도하는 통합적 지표이다. 그러나 제도 적용상 면적 산정의 오류, 하부 지반과 토심 확보 기준의 미달, 시공 후 실제 생태면적의 감소, 사전 계획지표로서의 기능 저하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LIM 활용을 제안하였다. 생태면적률의 가중치는 주로 하부 지반과 토심, 피복 유형에 의해 결정되므로 지형과 포장재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모델은 정부기관 및 관련 전문단체에서 제시한 BIM 기준과 가이드라인, 지침서를 참고하여 여기에 부합되도록 모델의 작성 범위와 상세 수준을 의미하는 LOD(Level Of Detail)를 설정하고, BIM 저작도구를 선정하여 조경정보모델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례 대상지로는 경사지에 위치한 공동주택단지를 선정하여 3차원적 지형을 모델링하고, 생태면적률과 관련된 속성정보를 포함한 포장재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였으며, 이들을 토대로 부지의 조경 정보모델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구축된 모델을 활용하여 생태면적률을 산정하고, 계획도와 산정표, 포장 상세도 등 관련 도면을 출력하였다. LIM을 활용함으로써 생태면적률의 기준 적용과 면적 산정이 정확해지고 설계업무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었으며, 지형과 지하구조물의 관계 등 입체적 형태에 대한 객관적 검토가 가능해짐을 알 수 있었다. LIM 도입을 위해 라이브러리 매뉴얼 또는 템플릿을 작성, 배포하거나 KBIMS 기준에 부합하는 라이브러리 구축에 힘써야 하며, 인증제도에서 BIM 모델을 제출하도록 하는 제도적 전환이 필요하다. 앞으로 생태면적률에 식재 유형별 기준이 도입되어 확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식재 정보 모델 구축과 활용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