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logical Hazard Analysi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3초

HACCP의 환경 최적화를 위한 식품 클린룸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 clean room system observing the regulations of HACCP)

  • 원영재;서기원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20-526
    • /
    • 2009
  • This study proposed the optimum design values for the biological clean room system observing the regulations of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Even though the standard for industrial clean room system has been well established, the basis for biological food clean room system is the first stage. In order to prevent the contaminations in advance for food storages, processes, and distributions, the criterion of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is positively required.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possible ways of how to avoid the hazardous contaminations.

  • PDF

HACCP의 환경 최적화를 위한 식품 클린룸 설계에 관한 연구

  • 원영재
    • 공기청정기술
    • /
    • 제23권3호
    • /
    • pp.1-9
    • /
    • 2010
  • This study proposed the optimum design values for the biological clean room system observing the regulations of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Even though the standard for industrial clean room system has been well established, the basis for biological food clean room system is the first stage. In order to prevent the contaminations in advance for food storages, processes, and distributions, the criterion of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is positively required.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possible ways of how to avoid the hazardous contaminations.

  • PDF

국내 유통중인 약용작물의 생물학적 위해요소 모니터링 (Monitoring of Biological Hazards in Herbal Crops from Korean Market)

  • 이영섭;이상원;김연복;김옥태;박경훈;이재원;이대영;김금숙;권동렬;한신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3-151
    • /
    • 2016
  • Background: The public has increasing concerns about herbal crops owing to insufficient information on biological hazards such as foodborne pathogen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a herbal crop quality control system through monitoring with biological hazard analysis. Today, it is estimated that millions of people become ill every year from food contamination. The public demands agricultural products of stable and consistent quality. Governments have the responsibility of establishing the standards, legislation and enforcement programs necessary to control food quality and safety. However, research on the biosafety of herbal crop products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e implementation of monitoring systems with high standards is critical for public safety. 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we collected 52 samples of herbal crop products, and conduct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biological hazard analysis. With biological hazard analysis, aerobic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Coliforms, and Listeria spp. could be detected. Conclusions: Herbal crops were found to be contaminated with aerobic bacteria at $3.69{\pm}0.32log\;CFU/g$.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Coliforms, and Listeria spp. were not detected in any of the sample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continuous monitoring of biological hazards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herbal crops.

고춧가루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HACCP System Application to Red Pepper Powder)

  • 박성빈;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602-2608
    • /
    • 2015
  • 본 연구는 고춧가루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시스템 적용에 필요한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2014년 1월 10일~2014년 6월 13일까지 충주시 동량면 소재에 있는 용금농산에서 수행하였다. 고춧가루 제품의 모든 공정 단계들을 파악하여 공정흐름도를 작성하였고 미생물학적 위해를 제어할 수 있는 자외선살균공정에서 살균 시간을 변화시키면서 미생물의 변화를 시험한 결과 자외선 등 $20W{\times}12EA$, 살균 시간은 $63{\pm}3$초를 한계기준으로 결정하였다. 자외선살균 후에는 위해 미생물 검사 결과는 안전하나 제조환경과 작업자의 미생물 검사 결과 주기적인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시키고 작업자 위생교육 등을 통하여 개인위생을 준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Degradation of the Herbicide Butachlor by Laboratory-synthesized Nanoscale $Fe^0$ in Batch Experiments

  • Kim, Hyang-Yeon;Kim, In-Kyung;Han, Tae-Ho;Shim, Jae-Han;Kim, In-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3호
    • /
    • pp.101-105
    • /
    • 2006
  • Degradation of the herbicide butachlor was investigated using laboratory-synthesized zerovalent iron ($Fe^0$). The synthesized zerovalent iron was determined to be nanoscale powder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To investigate degradation of butachlor using the synthesized nanoscale zerovalent iron, time-course batch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treating the solution of butachlor formulation with the iron. More than 90% degradation of butachlor was observed by iron treatment within 24 h. The synthesized nanoscale zerovalent iron showed an increase in particle aggregation in the batch tests. Green rust formation and a pH drop in solutions were observed, suggesting that the oxidation of the iron occurred. When the iron was extracted with dichloromethane, a negligible concentration was found in the extract, suggesting that butachlor did not bind to the iron particles. GC/MS analysis detected the dechlorinated product as a major degradation product of butachlor in the solutions. The data indicate that laboratory-synthesized zerovalent iron functioned as a reductant to remove electron-withdrawing chlorine, giving the dechlorinated product.

유탕면류의 유탕공정 중 중요관리점(CCP)을 위한 미생물학적, 화학적 위해요소분석 (Biological and Chemical Hazards Factor Analysis for CCP(Critical Control Point) in Fried Process of Fried Noodles)

  • 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578-3585
    • /
    • 2012
  • 유탕면류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유탕 공정-CCP(Critical Control Point)에 대한 미생물학적(Biological hazards)과 화학적(Chemical hazards) 한계 기준 설정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경기도 이천 소재의 P사에서 실행하였다. 유탕공정은 각각의 시간과 온도 측정에 따라 미생물학적, 화학적 위해요소를 제거하거나 감소에 대해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Standard plate count와 식중독균은 유탕공정(Temperature : $145{\pm}10^{\circ}C$, Time : $75{\pm}30$ sec)에 의해 검출되지 않았다. 유탕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화학적 위해 기준의 산가는 법적 기준치인 0.6보다 낮은 0.2 이하였다. 증숙실과 유탕실의 공중낙하균을 측정한 결과 3 CFU/mL, 3 CFU/mL 검출되었다. 따라서 유탕공정의 CCP-BC는 일반세균과 식중독균, 산화생성물 생성을 예방, 제거하는데 좋은 대안책이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HACCP을 위해 유탕공정에 대한 한계기준설정, 모니터링방법, 개선조치, 검증방법, 교육, 기록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떡류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The Application of the HACCP System to Korea Rice-cake)

  • 이웅수;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792-5799
    • /
    • 2013
  • 본 연구는 떡류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시스템 적용을 위한 목적으로 하였다. 떡의 주원료, 작업장 시설과 작업자 등에 대하여, 2012년 9월 12일~2013년 2월 13일까지 서울시 용산구 서계동 소재에 있는 KB 업체에서 제공받았다. 제조공정도는 일반적인 떡류 제조업체의 제조공정을 참고로 작성하였다. 제조공정도는 원료 농산물(맵쌀, 찹쌀, 팥 등), 부재료, 용수와 포장재료의 입고, 보관, 계량, 세척, 불림, 분쇄, 체선별, 혼합, 시루작업, 증자, 내포장, 금속검출, 외포장, 보관 및 출하공정으로 Fig. 1과 같이 작성하였다. 원료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결과는 Table 1과 같다. 본 연구결과 떡의 원재료와 제품의 위해미생물검사 결과는 안전하나 제조환경과 작업자의 미생물검사 결과 체계적인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시키고 작업자 위생교육 등을 통하여 개인위생개념 향상과 작업장 내 공기중의 미생물 관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과자류의 굽기공정에 미생물학적 한계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Microbiological Limitation Standards Setting of Baking Processing by Confectionery)

  • 이웅수;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422-5429
    • /
    • 2015
  • 본 연구는 과자류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시스템 적용을 위한 연구이다. 본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과자류의 주원료, 작업장 시설, 도구와 작업자는, 2014년 9월 1일~2015년 1월 15일까지 충남 계룡시 소재에 있는 LB 업체에서 제공받았다. 제조공정도는 일반적인 과자류 제조업체의 제조공정을 참고로 하여 원료 농산물(쌀가루, 계란, 밀가루), 부재료, 용수와 포장재료의 입고, 보관, 계량, 배합, 성형, 가열(굽기), 냉각, 금속검출, 내포장, 외포장 및 출하공정으로 작성하였다. 원료농산물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결과 일반세균수는 계란에서 $6.2{\times}10^3CFU/g$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하지만, 굽기공정 이후의 미생물검사 결과는 모든 균이 검출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작업장 전체에 체계적인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시키고 작업자 위생교육 등을 통하여 위생개념 향상과 작업장의 위생관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화학 생물 위험 대응 시뮬레이션 및 분석 (Simulation and Analysis of Response Plans against Chemical and Biological Hazards)

  • 한상우;서지윤;심우섭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49-64
    • /
    • 2021
  • 화학·생물(화생) 위험을 초기 단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화생 대응 계획을 체계적으로 발전시켜야 하며,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은 이를 위한 과학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오염 확산 모델링 분야는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으나, 화생 대응 계획을 모의하고 적절성을 분석하는 시뮬레이션 분야는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화생 오염 탐지, 보호, 제독 등 대응 계획을 과학적으로 모의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한다. 먼저 기상 및 지형 조건을 고려하여 예측된 오염 확산 결과를 교전 모델에 반영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어서 공개된 사상자 예측 기법을 기반으로 전투 모의 개체의 화생 피해를 모의하는 화생 전투 피해 모의 기법을 설계한다. 그리고 화생 위험 탐지·정찰, 제독, 보호 등 화생 위험 대응 계획을 체계적으로 모의하는 과업을 모델링한다. 끝으로 화생 감시소 운용에 의한 오염 탐지의 신속성을 분석하는 한편, 화생 제독소 운용 시 오염 부대 규모와 제독 부대 규모에 따른 제독 소요 시간을 분석함으로써 화생 전투 모의 실험의 가능성을 확인한다. 제안된 모델을 이용하면 향후 군의 화생 방호 체계 및 운용개념에 대한 효과 분석은 물론 재난 방재 및 모의 훈련 분야에서도 일부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 조미 통조림의 HACCP 시스템 구축을 위한 위해평가 및 현장적용 (Risk Assessment and Work in Field for HACCP System Construction of Canned Seasoned Broughton's Ribbed Ark Scapharca broughtonii)

  • 강영미;차장우;이수광;이재형;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524-534
    • /
    • 2018
  • This study assessed the 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hazards involved in establishing a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for canned seasoned Broughton's ribbed ark Scapharca broughtonii and examined the critical control points (CCPs) in the field. Following the basic principles of the HACCP system, the hazard-evaluation procedures were enacted during the production of canned seasoned Broughton's ribbed ark after field investigation of a seafood product company in Korea. CCPs were determined using canned seasoned Broughton's ribbed ark with the corresponding control measures. The HACCP system was applied to each step in processing the product.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spection of raw materials, filling, sterilization, and alien substance detection were the most important CCPs.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prevent and control food safety problems in the production of canned seasoned Broughton's ribbed 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