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ographical study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5초

웹 기반 중국인물정보원의 현황 조사와 분석 연구 (A Status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Chinese Web-Based Biographical Information Sources)

  • 한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43-263
    • /
    • 2012
  • 본 연구는 웹 기반 중국인물정보원의 현황조사와 분석을 목적으로 중국과 대만 및 일본과 미국의 웹기반 중국인물정보원의 현황을 조사하고, 중국의 CNKI(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정보원데이터베이스 중 주제사전 영역의 하나인 '성씨(姓氏)'와 인물전기(人物傳記) 영역과 미국의 CBDB(China Biographical Database Project)의 '중국역대인물전기데이타베이스(중국역대인물전기자료고(中國歷代人物傳記資料庫))'를 비교 분석하였다. 나아가 웹 기반 중국인물정보원의 현황조사와 분석 결과에 따른 문제점을 살피고 효율적인 관리와 활용을 위하여 중국과 한국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온라인 인물데이터베이스의 비교 평가 연구 (Evaluating Online Biographical Databases in Korea: A Comparative Study)

  • 장혜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83-302
    • /
    • 2001
  • 온라인 상용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이용자 불만족 요인을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 인물 데이터베이스를 분석 평가 하고 외국의 인물데이터베이스 현황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최신성, 포괄성, 완전성, 그리고 다양성을 평가하였으며 문제점과 발전방향을 도출하였다.

  • PDF

한국 웹 기반 인물정보원 분석적 연구 (An Analytic Study on Korean Web-based Biographical Resources)

  • 박준식;박경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87-203
    • /
    • 2001
  • 이 논문은 현재 인터넷을 통해 탐색할 수 있는 한국인 대상 웹 기반 인물정보원을 실증적으로 분석, 평가함으로써 그 제작경향과 특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평가방법은 현재 포괄적인 인물수록범위를 가지고 있는 한국 웹 기반 인물정보원 중 4종을 선정하여 9가지의 평가요소와 그 세부사항을 바탕으로 평가ㆍ분석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이용자와 참고사서에게 수많은 인터넷 인물정보원 중에서 우수한 인물정보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해줄 것이며, 웹 기반 인물정보원 제작자에게는 보다 양질의 인물정보를 제작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생애사 재구성 - 남성노인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Reconstructing Biography - Based on the biography of a male elderly -)

  • 양영자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2호
    • /
    • pp.275-30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성에 주목한 생애사연구를 위해 남성노인의 생애사를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에 해당 생애사를 내러티브-생애사 인터뷰 분석방법에 따라 재구성한 결과, 이야기된 생애사는 '독자로서의 의무가 이끄는 삶으로 엮여 들어가 "독자 행세" 를 하지 않을 수 없었던 삶' 이라는 생애사적 관점에 따라 구성되고 있는 반면, 체험된 생애사는 '자기주도적인 삶의 의지' 를 관철시키는 삶을 살아온 것으로 구성되는 차이가 있음을 조절메커니즘에 의거해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양 생애사 간 차이는 생애사적 자기평가와 생애사적 실재성 간에 괴리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해, 이야기성에 주목한 생애사연구가 노인복지실천과 노인복지학 분야 생애사연구 방법에 함의하는 점을 논의하였다.

고려 후기 정인경의 정책과 공신록권의 분석 (A study on the biographical records and meritorious certification awarded to Jeong In-Kyung in Koryo Dynasty)

  • 여은영;남권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1권
    • /
    • pp.485-528
    • /
    • 199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iographical records and Meritorious Certification of Jeong In-Kyung. The analysis is made in the respects of : 1) Bibliographical analysis of the (SeoSan Jeongshi GaSeung) 2) Biographical study of Jeong In-Kyung 3) Historical and Political background in the period of king ChungYeul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 PDF

전기 영화가 인물과 역사를 소환하는 한 방식에 대해 - 영화 <황금시대>를 중심으로 (On a Way in which Biographical Film Summons Character and History - Focusing on the Film, The Golden Era -)

  • 진성희
    • 비교문화연구
    • /
    • 제39권
    • /
    • pp.287-308
    • /
    • 2015
  • Biographical film is a genre narrativizing the actual person and history, and reproducing the character and history in a biographical film is in a dimension different from a film focused on a fiction. Discussion between these methods of narrative composition and image reproduction in a biographical film is also, in line with artistic/aesthetic problems and ethical/philosophical theses of the film text. This study discusses the phase of the way of reproduction of the actual person, $Xi{\bar{a}}o$ $H{\acute{o}}ng$ in the biographical film, The Golden Era and the time she lived in a biographical film and how the audience's discussion of the film and socio-cultural discourse differ depending on their attitude towards the cinematic introspection of the text. The narrative structure, the method of image reproduction and cinematic devices of the film, The Golden Era are completely off the point of the general format of the traditional biographical film. In The Golden Era, $Xi{\bar{a}}o$ $H{\acute{o}}ng$ and the history which she lived in did not revive depending on an omniscient subject's selective statement and meta-film structure. Ann Hui removed general, mythic images of $Xi{\bar{a}}o$ $H{\acute{o}}ng$ formed in the field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reproduced her through multilateral visions of a real, fictional narrator. Each spectator's judgment and interpretation of the film intervene in the multi-layered and sparse descriptions of the actual person's images and the era of the character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pproach the uniqueness and authenticity a historical character, $Xi{\bar{a}}o$ $H{\acute{o}}ng$ and to have an opportunity of multi-layered reflection on how to secure a critical distance and make a perception in historical judgment.

국내 인물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서비스에 관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about Construction and the Service of the Domestic Biographical Database)

  • 한상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31-352
    • /
    • 2008
  • 인물데이터베이스는 우리나라에서 제작되어 서비스 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중 유료화가 가장 먼저 이루어졌고, 현재 활발히 서비스 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인물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고, 인물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에 대한 문제점과 검색항목 및 검색 방법을 비교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인물데이터베이스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그 대표적인 방안 중의 하나가 인물데이터베이스 구축에서 시소러스를 이용한 용어관계와 인물 속성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다.

  • PDF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지체와 뇌병변 장애인 중심으로- (A Biographical Study of Social Exclusion Experiences - Focused on the Physical and Cerebral Palsy Disabled -)

  • 신유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2호
    • /
    • pp.299-32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사 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경험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에 지체와 뇌병변 장애인 10명의 사회적 배제 경험을 중심으로 심층 면접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참여 장애인들은 교육, 노동, 사회참여, 정보, 사회서비스, 공간, 건강관리 등의 다차원적인 사회적 배제에 직면해 있는 주변인으로 시민권적 권리가 부재한 삶을 지내왔다. 이러한 배제로 인해 사회적 관계가 단절되고 해체되었으며, 그들의 정체성 또한 규범화된 사회적 관념에 의해 타율적인 방식으로 정형화되어 갔다. 또한 장애와 빈곤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참여 장애인들의 삶 가운데 이들 세대의 인식과 가치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경험들이 제시되었다. 한편 사회적으로 배제된 이들의 삶의 의미는 스스로 평가하고 해석하는 원천에 따라 새롭게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극복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위키피디아 인물 아카이브 서비스 개선을 위한 분석 연구 (Improving the Biography Archive Service of Wikipedia)

  • 최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447-467
    • /
    • 2018
  • 인물에 대한 기록정보는 사회의 주요 분야에서 특정기준에 맞는 유명한 인물에 한정하여 정보를 수집, 가공, 제공하는 인물데이터베이스 형태가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위키피디아와 같이 이용자들이 참여하여 다양한 인물에 대하여 자유롭게 서술하며 디지털 아카이브로 축적하는 체제가 활성화되고 있다. 이 연구는 위키피디아 바이오그래피 포털에서 범죄자, 교수, 영화감독 카테고리에서 인물 유형별로 500건의 데이터를 각각 수집하여 서술된 내용간 유형별 차별성이 있는지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용어의 빈도 분석과 차별지수 분석을 수행한 결과 차별지수가 각 유형별로 특화되어 있는 내용을 표현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차별지수값이 높은 상위 100개의 용어와 세 유형에 공통적으로 출현한 용어 고빈도어 100개를 워드 클라우드 형태로 활용하여 특정 유형의 인물에 대하여 서술하는 이용자와 이를 승인하는 에디터가 참조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후기노인들의 역사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에 관한 '개인적인 역사경험'을 중심으로- (A Biographical Study on Historical Experiences of the Elderly in Later Years -Their 'Individual Historical Experienc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Korean War-)

  • 양영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3호
    • /
    • pp.255-28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후기노인들의 삶에 나타난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에 대한 '개인적인 역사경험'이 어떠한 '현재성'이 있는지 생애사적 맥락에서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Sch$\ddot{u}$tze의 자료수집 방법에 따라 실시한 '생애사적-내러티브 인터뷰' 9개를 Rosenthal의 '내러티브식-생애사 인터뷰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적인 역사경험의 현재성은 주로 경험방식에 따른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친일경험'으로서의 일제강점기에 대한 직접적인 역사경험과 '국군생활'로서의 6.25전쟁에 대한 직접적인 역사경험은 '개별화된 현재성'이 있는 반면, '남편의 역사적 죽음'으로 표출된 일제강점기나 6.25전쟁에 대한 간접적인 역사경험은 '잠재된 현재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해 개인적인 역사경험의 현재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노인복지실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