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nder combination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3초

비닐멀칭작물재배용(作物栽培用) 지효성(遲效性) 전용복비(專用複肥) 개발(開發) -I. 제립(製粒)이 지효성(遲效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Mono-granular Compound Fertilizer Acting Slow Release for the Crops Under Vinyl Mulching Cultivation -I. Effect of formulation and granulation on slow release)

  • 신제성;임동규;성기석;김복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7-100
    • /
    • 1987
  • 비닐멀칭 재배용 복비(複肥)는 요소(尿素), DAP, 염화가리(鹽化加里)를 원료비료(原料肥料)로, 제오라이트, 부생석고(副生石膏) 및 분뇨잔사(糞尿殘渣)를 증량제(增量劑)로 하여 아미노산폐액(酸廢液)을 이용(利用) 조립(造粒) 제조(製造)하였다. 시제품(試製品)의 NPK성분함량(成分含量)은 고추비료(肥料), 12-10-11, 5, 참깨비료(肥料) 8-8-6, 땅콩비료(肥料) 4-19-14이었고 시제품(試製品)의 수중(水中)N용출량(溶出量)은 비교적(比較的) 낮아 고추비료(肥料)에서 80%, 참깨비료(肥料) 55%, 땅콩비료(肥料) 70%로 비료지효화(肥料遲效化) 기준치(基準値) 50%에 근사(近似)하여 비닐멀칭재배시(栽培時) 전량기비시용(全量基肥施用)이 가능(可能)할 것이다.

  • PDF

Computational optimized finite element modelling of mechanical interaction of concrete with fiber reinforced polymer

  • Arani, Khosro Shahpoori;Zandi, Yousef;Pham, Binh Thai;Mu'azu, M.A.;Katebi, Javad;Mohammadhassani, Mohammad;Khalafi, Seyedamirhesam;Mohamad, Edy Tonnizam;Wakil, Karzan;Khorami, Majid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23권1호
    • /
    • pp.61-68
    • /
    • 2019
  • This paper presents a computational rational model to predict the ultimate and optimized load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RC) beams strengthened by a combination of longitudinal and transverse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composite plates/sheets (flexure and shear strengthening system). Several experimental and analytical studies on the confinement effect and failure mechanisms of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wrapped columns have been conducted over recent years. Although typical axial members are large-scale square/rectangular reinforced concrete (RC) columns in practice, the majority of such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the behavior of small-scale circular concrete specimens. A high performance concrete, known as polymer concrete, made up of natural aggregates and an orthophthalic polyester binder, reinforced with non-metallic bars (glass reinforced polymer) has been studied. The material is described at micro and macro level, presenting the key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using different experimental techniques. Furthermore, a full description of non-metallic bars is presented to evaluate its structural expectancies, embedded in the polymer concrete matrix. In this paper, the mechanism of mechanical interaction of smooth and lugged FRP rods with concrete is presented. A general modeling and application of various elements are demonstrated. The contact parameters are defined and the procedures of calculation and evaluation of contact parameters are introduced. The method of calibration of the calculated parameters is presented. Finally, the numerical results are obtained for different bond parameters which show a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results reported in literature.

Ensembles of neural network with stochastic optimization algorithms in predicting concrete tensile strength

  • Hu, Juan;Dong, Fenghui;Qiu, Yiqi;Xi, Lei;Majdi, Ali;Ali, H. Elhosiny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45권2호
    • /
    • pp.205-218
    • /
    • 2022
  • Proper calculation of splitting tensile strength (STS) of concrete has been a crucial task, due to the wide use of concrete in the construction sector. Following many recent studies that have proposed various predictive models for this aim, this study suggests and tests the functionality of three hybrid models in predicting the ST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xture components including cement compressive strength, cement tensile strength, curing age, the maximum size of the crushed stone, stone powder content, sand fine modulus, water to binder ratio, and the ratio of sand. A multi-layer perceptron (MLP) neural network incorporates invasive weed optimization (IWO), cuttlefish optimization algorithm (CFOA), and electrostatic discharge algorithm (ESDA) which are among the newest optimization techniques. A dataset from the earlier literature is used for exploring and extrapolating the STS behavior. The results acquired from several accuracy criteria demonstrated a nice learning capability for all three hybrid models viz. IWO-MLP, CFOA-MLP, and ESDA-MLP. Also in the prediction phase, the prediction products were in a promising agreement (above 88%) with experimental results. However, a comparative look revealed the ESDA-MLP as the most accurate predictor. Considering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 index, the error of ESDA-MLP was 9.05%, while the corresponding value for IWO-MLP and CFOA-MLP was 9.17 and 13.97%, respectively. Since the combination of MLP and ESDA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optimizing the concrete mixture toward a desirable STS, the last part of this study is dedicated to extracting a predictive formula from this model.

산업부산물 치환 및 저점도형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한 시멘트 계열 재료의 점도저하 방안 연구 (A Study on Viscosity Reducing of Cement-Based Materials by Replacing Byproducts and Adding Low-Viscosity Type HRWR)

  • 손배근;한동엽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353-35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성능 시멘트계열 재료의 점성을 감소시키는 것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레올로지적 측면에서 시멘트 계열 재료의 유동성을 결정하는 것은 항복응력과 소성점도이다. 물결합재비가 낮고 분체비율이 높은 고성능 시멘트계열 재료의 경우, 고성능 감수제로는 항복응력을 줄일 수는 있으나 점성을 낮추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시멘트계열 재료의 소성점도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두가지 방법, 즉, 분말상태의 적절한 조합 및 저점도형 고성능 감수제의 사용을 제시하였다. 첫째, 다양한 산업부산물을 치환하여 석탄재 원분과 폐석회석 분말이 점성저하에 효과가 있음을 밝혔으며 저점도형 고성능 감수제가 일반형 고성능 감수제에 비해 시멘트 페이스트의 점도를 낮추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방법의 시멘트계열 재료의 점도를 낮추는 기초적인 방법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삼성분계 혼합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 저항성 및 내구성에 대한 고찰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of Ternary Blended Concrete and Discussion for Durability)

  • 송하원;이창홍;이근주;김재환;안기용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39-449
    • /
    • 2008
  • 혼화재를 사용한 혼합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품질을 개선시키며 지속가능한 콘크리트구조물의 건설에도 기여하고 있다. 실리카퓸 (SF), 고로슬래그미분말 (GGBS), 플라이애쉬 (PFA) 등의 시멘트계 결합재는 고성능콘크리트의 혼화재로서 인식이 증가되고 있으나, 삼성분계 혼합콘크리트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특히 염해에 의한 부식저항성 측면에서의 연구는 상당히 취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통포틀랜드시멘트의 경우를 50%의 치환율로 고정한 후 고로슬래그미분말의 경우는 $20{\sim}40%$, 실리카퓸의 경우에는 $5{\sim}15%$, 플라이애쉬의 경우는 $10{\sim}45%$로 치환한 경우의 각종 배합에 의한 염해부식저항성에 관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삼성분계 혼합콘크리트의 염해부식저항성을 평가한 본 연구에서는, 수행 실험으로서 부식 저항성 실험, 염소이온 고정화 능력 실험, 급속 염화물 촉진 실험, 산중성화 저항 능력 실험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삼성분계 콘크리트는 미세구조를 치밀화 하여 염소이온의 이동을 지연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염분을 함유한 삼성분계 혼합콘크리트 내의 염소이온 고정화 능력 및 산중성화 저항 능력이 크게 개선되고 있음을 확인하여 염해에 대한 부식 저항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비닐멀칭 작물재배용(作物栽培用) 지효성(遲效性) 전용복비(專用複肥) 개발(開發) -III. 참깨 전용복비(專用複肥)의 비효구명(肥效究明) (Mono-granular Compound Fertilizer Acting Slow Release for the Crops Under Vinyl Mulching Cultivation -III. Effect of Newly Developed Compound Fertilizer on Sesame)

  • 임동규;신제성;성기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6-300
    • /
    • 1988
  • 요소(尿素), DAP, 염화가리(鹽化加里)를 주재료(主材料)로, Zeolite 당밀발액(糖密發液)을 부재료(副材料)로 활용(活用)하여 참조(懺造)한 참깨전용복비(專用複肥) 시제품(試製品)을 투명(透明) 및 흑색(黑色)비닐멀칭의 재배시험(栽培試驗)에 각각(各各) 공시(供試)하여 비효시험(肥效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참깨의 초장(草長)과 간경(幹俓)은 투명(透明)비닐 및 흑색(黑色)비닐피복(被覆)에서 공(共)히 시제품구(試製品區)가 대조구(對照區)(NPK분시구(分施區)에 비(比)해 컸다. 2. 참깨의 종실수량(種實收量)은 투명(透明)비닐피복(被覆)에서는 시제품구(試製品區)가 NPK 분시(分施) 및 전량기비구(全量基肥區) 보다 증수(增收)하였으나 흑색(黑色)비닐피복(被覆)에서는 시제품구(試製品區)가 NPK전량기비구(全量基肥區) 보다 증수(增收)되었으나 NPK분시구(分施區)와는 차(差)가 없었다. 3. 참깨의 식물체중(植物體中) 질소함량(窒素含量)은 투명(透明) 및 흑색(黑色)비닐처리(處理)에서 시제품처리구(試製品處理區)가 전(全) 생육기간(生育期間)을 통(通)하여 공(共)히 줄기에서 높았다. 4. 수확기(收穫期) 토양(土攘)의 무기성분함량(無機成分含量)은 시제품구(試製品區)가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 가리함량(加里含量)만 높았다.

  • PDF

Ca-P 박막 이종골과 제 1형 교원질이 토끼 두개골 결손부의 골재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alcium-Phosphate Coated Xenogenic Bone and Type I Collagen for Bone Regeneration on the Calvarial Defects in Rabbits)

  • 김창한;박진우;이재목;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223-241
    • /
    • 2004
  • 골재생을 위해 사용되는 골이식재로 자가골, 동종골, 이종골 등이 있다. 자가골은 가장 예지성이 높은 골이식재이지만, 부가적인 수술, 환자의 동통과 불편, 채취하는 양의 제한, 비용의 증가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오랫동안 자가골을 대체할 골이식재 개발에 힘써왔고, 다양한 연구가 있었다. 소로부터 유래한 이종골은 천연 다공성의 골 무기질로서, 인간의 골의 구조와 유사하면서, 골 전도성이 있고,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다고 보고되었다. 이에 최근에 개발된 Ca-P 박막이 이종골과 조작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type I collagen을 혼합한 골이식재를 토끼 두개골 결손부에 매식하여 골형성 능력 및 주변 조직의 반응을 보고자 하였다. 총 16마리의 New Zealand white rabbits를 사용하였고, 두개골에 4부위의 결손부를 형성한 후, 다음과 같이 적용하였다. 이식재를 넣지 않은 군을 음성대조군으로, 자가골 분말을 이식한 군을 양성대조군으로, Ca-P 박막 탈단백 우골 분말을 이식한 군을 실험1군으로, Ca-P 박막 탈단백 우골 분말과 type I collagen을 같은 부피로 혼합하여 이식한 군을 실험2군으로 하였다. 1, 2, 4, 8주째 4마리씩 희생하여, H-E 염색과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시행한 후,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토끼 두개골 결손부에 이식한 Ca-P 박막 탈단백 우골은 골성회복초기에 골결손부 변연에서 골전도성을 보였지만, 완전한 골성회복을 이루지 못하였고, 신생골과 직접적인 유합을 보이지 않았다. 또, collagen의 부가적인 사용은 조작성은 가장 우수했으나, 조직소견상 신생골의 형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반면 자가골을 이식한 부위는 신생골 형성양과 밀도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