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le duct dilatation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3초

배양된 흰쥐 담관 섬유모세포에 대한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의 영향 (Effect of Clonorchis sinensis Excretory-secretory Product on the Cultured SD Rat Bile Duct Fibroblast)

  • 권정남;민병훈;이행숙;김수진;주경환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2호
    • /
    • pp.117-124
    • /
    • 2009
  • 간흡충(Clonorchis sinensis)은 우리나라에서 높은 감염률(2.9%)을 나타내는 기생충으로(KAHP, 2004), 간흡충에 감염된 담관은 간흡충의 흡반에 의한 물리적 자극과 대사산물 및 분비물 등의 화학적 자극에 의해 담관염이 일어나고, 간흡충이 성장할 때 충체 주위의 담관 상피세포의 증식, 탈락, 담관 주위의 염증 및 섬유화가 일어난다. 담관 점막에 분포하는 섬유모세포는 결합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한 종류로서 세포질돌기들이 잘 발달된 형태적 특징이 있으며, 세포질 내에 세포의 형태 유지, 신호전달, 인접세포와의 연접 등에 관여한다. 또한 조직을 발달시키고, 조직이 손상된 부위에서 콜라겐 층을 형성하여 손상된 조직이 복구되도록 하기도 한다. 상처의 반흔(scar) 형성과 지방축적, 염증(inflammation) 발생 과정에서 섬유모세포의 작용이 제대로 조절되지 못하면 섬유증(fibrosis)이 발달하게 된다는 연구 보고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흰쥐에서 분리된 담관 섬유모세포와 간흡충 감염 흰쥐에서 분리된 담관 섬유모세포를 배양하고, 각각의 실험군에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Cs excretory-secretory product, ESP)을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배양된 섬유모세포의 미세구조 변화와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sialic acid 및 actin의 분포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간흡충 감염에 따른 섬유모세포의 변화 및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의 자극에 따른 섬유모세포의 변화를 관찰하여 흰쥐의 담관 섬유모세포와 간흡충 감염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상 흰쥐 담관에서 분리한 섬유모세포(G1)에 비하여 간흡충에 감염된 흰쥐 담관에서 분리한 섬유모세포(G2)와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을 첨가하여 배양한 섬유모세포(G1-1, G2-1)의 증식속도가 느린 것이 확인되었다. 세포질돌기의 수는 간흡충에 감염된 흰쥐의 담관으로부터 분리된 섬유모세포(G2)에서 가장 많은 수가 관찰되었고, 배양배지에 분비배설 물질을 첨가하면 정상 담관의 섬유모세포에서도 세포질돌기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간흡충 대사물질은 섬유모세포의 세포질돌기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간흡충에 감염된 흰쥐 담관에서 분리한 섬유모세포(G2)의 소포체는 정상 담관에서 분리된 섬유모세포(G1)의 것에 비하여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여기에 분비배설 물질을 첨가하면 섬유모세포의 소포체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세포표면에 분비되는 sialic acid는 주로 세포질의 소포낭 주변에서 관찰되었으며, 정상 섬유모세포(G1, G1-1)보다 감염된 섬유모세포(G2, G2-1)에서 증가하였다. Actin은 세포표면과 세포질돌기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정상 섬유모세포(G1, G1-1)보다 감염된 섬유모세포(G2, G2-1)에서 반응이 증가하였고, 간흡충 분비배설 물질을 첨가하면 G1-1은 반응이 증가하고, G2-1은 반응이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간흡충에 감염된 흰쥐 담관의 섬유모세포는 세포질돌기들이 매우 발달하며, actin단백과 sialic acid가 증가하여 세포변형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간흡충 감염으로 손상된 담관의 섬유모세포로 구성된 결합조직은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으며, 세포질 부피 및 세포질돌기의 증가는 이루어지지만 간흡충 대사물질의 영향으로 섬유모세포의 분열 및 성장 속도가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 간흡충 감염으로 손상된 숙주의 담관 결합조직과 섬유모세포들은 간흡충 대사물질에 의하여 변형을 일으키고, 세포 활성 및 증식이 저하되므로 팽대된 담관은 간흡충이 사멸된다 하더라도 원상회복이 불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c-99m DISIDA 간담도 신티그라피에서 간 실질의 분절형 배설지연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Segmental Parenchymal Excretion Delay on Tc-99m DISIDA Hepatobiliary Scan)

  • 강도영;류진숙;문대혁;이성구;김명환;이희경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1-167
    • /
    • 1998
  • 목적: Tc-99m DISIDA 신티그라피에서 간 실질에 분절형으로 배설지연을 보이는 소견은 분절형 간내담관폐쇄의 소견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러한 소견의 분절형 간내 담관폐쇄에서의 진단적 가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간 실질 분절형 배설지연 소견의 분절형 간내 담관폐쇄 진단에서의 양성예측도와, 방사선학적 검사와 비교한 진단적 가치를 알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Tc-99m DISIDA 신티그라피에서 간 실질에 분절형 배설지연 소견을 보인 43명의 환자(48개 영상)를 대상으로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고, 1개월 이내에 시행된 CT와 US와 비교하였다. 결과: 31예는 ERC나 PTC에 의해, 13예는 임상적 경과 관찰에 의해 분절형 담도 폐쇄가 확진되었고, 4예는 원인이 규명되지 않았다. 분절형 담관폐쇄에 대한 Tc-99m DISIDA 간담도 신티그라피의 양성예측도는 92% (44/48)이었다. US의 28%(5/ 18), CT의 13% (5/38)는 정상 소견이고, US의 17% (3/18), CT의 18% (7/38)에서는 담관 확장 소견만이 있었고, 원인이 되는 병변을 알 수 없었다. 결론: Tc-99m DISIDA 신티그라피에서 간 실질에 분절형 배설지연을 보이는 소견은 분절형 간내 담관폐쇄 진단에 높은 양성 예측도를 가진다. Tc-99m DISIDA 신티그라피는 특히 US나 CT가 정상인 경우에 분절형 담관폐쇄 진단에 선별검사로서 이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c-99m DISIDA 신티그라피의 분절형 담도관쇄 진단에서의 진단적 가치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PDF

Bile duct changes in rats reinfected with Clonorchis sinensis

  • Choi, Dong-Il;Hong, Sung-Tae;Li, Shun-Yu;Chung, Byung-Suk;Lim, Jae-Hoon;Lee, Soon-Hyu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2권1호
    • /
    • pp.7-17
    • /
    • 2004
  • This study describes an evaluation of the sonographic, cholangiographic, pathological, and immunological findings, and the protective effect shown by rats reinfected with Clonorchis sinensis. Eight experimental rat groups were, namely, a normal control, a primary infection control, a reinfection I (reinfection 7 week after treatment following 3-week infection), a reinfection II (reinfection 2 week after treatment following 8-week infection), a reinfection III (exploration of the intrahepatic bile ducts 1 week after reinfection 4 week after treatment following 4-week infection), a superinfection, a secondary infection control, and an infection following immunization group. Sonographic and cholangiographic findings showed moderate or marked dilatation of the bile duct confluence in the primary infection control, reinfection II, and secondary infection control groups. Juvenile worms survived in the intrahepatic bile ducts 1 week after reinfection following treatment in the reinfection III group. It was concluded that reinfecting juvenile worms found during the first week following reinfection failed to survive or grow further. Anatomical, pathophysiological, or immunological changes may induce protection from reinfection in rats.

A giant choledochal cyst in infancy: a case report

  • Yurttutan, Nursel;Karakus, Suleyman Cuneyt;Koku, Naim;Demirci, Mustafa;Ucak, Ramaz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5호
    • /
    • pp.239-241
    • /
    • 2016
  • Choledochal cyst is a dilation that encloses the intrahepatic or both extra- and intrahepatic portions of the biliary ducts. Postnatally, ultrasonography is the initial diagnostic modality of choice, allowing for precise measurements of intra- or extrahepatic duct dilatation and identification of stones and sludge. Symptoms depend on the age at presentation. Common bile duct malforma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a differential diagnosis of a cystic mass regardless of the cyst's size or patient's age, especially in children presenting with abdominal pain, jaundice, and palpable mas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we report the largest choledochal cyst in infancy.

폐쇄성 황달로 내원한 담관내 증식을 동반한 간세포암 1예 (A Cas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intradural growth Presenting as Obstructive Jaundice)

  • 김승범;김태년;;이호찬;박재현;은종렬;장병익;이헌주;윤성수;배영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165-170
    • /
    • 2008
  • The inciden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presenting as obstructive jaundice is 0.7~9%. The mechanisms of obstructive jaundice include bile duct invasion by tumor, tumor thrombi, blood clots, direct bile duct compression by tumor, and intraductal tumor growth. We report a rare cas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intraductal growth. A 46-year-old woman was admitted due to colicky right upper abdominal pain and jaundice for 4 days. Computed tomography showed dilatation of the left intrahepatic duct, and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graphy showed a filling defect in the left main intrahepatic duct. We performed a left lobectomy with a Roux-en-Y hepaticojejunostomy. The tumor was diagnosed as a hepatocellular carcinoma with intraductal growth.

  • PD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of Cytokine Genes are Associated with Fibrosis of the Intrahepatic Bile Duct Wall in Human Clonorchiasis

  • Chung, Byung-Suk;Lee, Jeong-Keun;Choi, Min-Ho;Park, Myoung-Hee;Choi, Dong-Il;Hong, Sung-Ta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7권2호
    • /
    • pp.145-151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of cytokine gene polymorph isms with intrahepatic bile duct wall fibrosis in human clonorchiasis. A total of 240 residents in Heilongjiang, China underwent ultrasonography, blood sampling, and stool examinatio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sites for $IFN-{\gamma}$ (+874 T/A), IL-10 (-1,082 G/A, -819 C/T, -592 C/A), $TNF-{\alpha}$ (-308 G/A), and $TGF-{\beta}1$ (codon 10 T/C, codon 25 G/C) genes were observed with the TaqMan allelic discrimination assay.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individual cytokine gene polymorphisms and intrahepatic duct dilatation (IHDD). Among individuals with clonorchiasis of moderate intensity, the incidence of IHDD was high in those with $IFN-{\gamma}$ intermediate-producing genotype, +874AT (80.0%, P=0.177), and in those with $TNF-{\alpha}$ low-producing genotype, -308GG (63.0%, P=0.148).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IFN-{\gamma}$ and $TNF-{\alpha}$ genotypes, the risks for IHDD could be stratified into high (intermediate-producing $IFN-{\gamma}$ and low producing $TNF-{\alpha}$), moderate, and low (low-producing $IFN-{\gamma}$ and high producing $TNF-{\alpha}$) risk groups. The incidence of IHD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se groups (P=0.022): 88.9% (odds ratio, OR=24.0) in high, 56.5% (OR=3.9) in moderate, and 25.0% (OR=1) in low risk groups. SNP of $IFN-{\gamma}$ and $TNF-{\alpha}$ genes may contribute to the modulation of fibrosis in the intrahepatic bile duct wall in clonorchiasis patients.

Modified Puestow Procedure for Chronic Pancreatitis in a Child Due to Annular Pancreas and Duodenal Duplication: A Case Report

  • Alatas, Fatima Safira;Masumoto, Kouji;Matsuura, Toshiharu;Pudjiadi, Antonius Hocky;Taguchi, Tomoaki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3권3호
    • /
    • pp.304-309
    • /
    • 2020
  • An 18-year-old woman with annular pancreas and duodenal duplication presented with recurrent acute pancreatitis and underwent a resection of duodenal duplication. However, the patient experienced recurrent abdominal pain after resection.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a dilatation of the peripheral pancreatic duct and stenosis and malformation of both the Wirsung's and Santorini's duct due to multiple stones. The modified puestow procedure was performed. The main pancreatic ducts in the body and tail were opened, and the intrapancreatic common bile duct was preserved. A Roux-en-Y pancreatico-jejunostomy was performed for reconstructing the pancreaticobiliary system after removing the ductal protein plug. The patient experienced no abdominal pain, no significant elevation of the serum amylase and lipase levels, and no stone formation during the 2 years of follow-up. This procedure is considered to be beneficial for pediatric patients with chronic pancreatitis due to annular pancreas and duodenal duplication.

A Case of Fasciola hepatica Infection Mimicking Cholangiocarcinoma and ITS-1 Sequencing of the Worm

  • Kang, Bong Kyun;Jung, Bong-Kwang;Lee, Yoon Suk;Hwang, In Kyeom;Lim, Hyemi;Cho, Jaeeun;Hwang, Jin-Hyeok;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2권2호
    • /
    • pp.193-196
    • /
    • 2014
  • Fascioliasis is a zoonotic infection caused by Fasciola hepatica or Fasciola gigantica. We report an 87-year-old Korean male patient with postprandial abdominal pain and discomfort due to F. hepatica infection who was diagnosed and managed by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with extraction of 2 worms. At his first visit to the hospital, a gallbladder stone was suspected. CT and magnet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MRCP) showed an intraductal mass in the common bile duct (CBD) without proximal duct dilatation. Based on radiological findings, the presumed diagnosis was intraductal cholangiocarcinoma. However, in ERCP which was performed for biliary decompression and tissue diagnosis, movable materials were detected in the CBD. Using a basket, 2 living leaf-like parasites were removed. The worms were morphologically compatible with F. hepatica. To rule out the possibility of the worms to be another morphologically close species, in particular F. gigantica, 1 specimen was processed for genetic analysis of its ITS-1 reg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nt worms were genetically identical (100%) with F. hepatica but different from F. gigantica.

들장관증후군의 대체 감압 치료로서 경담낭 십이지장 배액술: 두 건의 증례 보고 (Transcholecystic Duodenal Drainage as an Alternative Decompression Method for Afferent Loop Syndrome: Two Case Reports)

  • 홍지훈;김갑철;차중근;박종민;박병건;박서영;김상운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661-667
    • /
    • 2024
  • 들장관증후군은 위장 재건술을 동반한 위절제술 후 발생하는 드문 합병증이다. 이 질환은 담관염, 췌장염, 복막염을 동반한 십이지장 천공과 같은 치명적인 상태에 이를 수 있어서, 즉각적인 감압 치료가 필요하다. 담관 확장이 없는 들장관증후군 환자를 위한 대체 감압 치료법으로 경담낭 십이지장 배액술을 시행한 두 건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Billroth II 문합술과 위원위절제술을 시행한 2명의 환자가 상복부 통증과 구토를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컴퓨터단층촬영에서 급성 췌장염을 동반한 들장관증후군으로 진단되었다. 담관 확장이 없어 담도를 통한 접근이 어려워, 경담낭 접근을 통해 담낭관을 통과한 후 들장관을 감압하기 위한 십이지장 배액 카테터를 설치하였다. 환자들은 배액술 시행 후 각각 2주와 1개월째에 추가적인 수술적 치료 없이 퇴원하였다.

카롤리병의 방사선학적 진단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Radiographic Diagnosis of Caroli's Disease)

  • 홍여진;김민아;김수빈;송진주;장경훈;전민철;한만석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85-392
    • /
    • 2023
  • 카롤리병은 섬유낭성 간질환이다. 상염색체 열성 장애로 담관의 선천적 다발성 확장이 특징이다. 카롤리병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검사, 담관 조영술, 초음파 검사가 있다. 전산화단층촬영검사는 섬유다낭성 간 질환을 감지하고 구별하는데 필수적이며, 간 내 담관의 확장을 판별하는 데 유용하다. 하지만 조영제를 사용함으로써 일어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인지가 필요하다. 자기공명영상검사는 대표적으로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 방법을 이용한다. 비침습적 검사로 환자의 고통을 경감할 수 있고, 담췌관부의 해부학적 구조와 병변 유무를 쉽고 빠르게 관찰이 가능하다. 담관 조영술은 비대해진 담관 전체에 걸친 여러 낭성 확장을 직접 시각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진단 방법이다. 하지만 이 시술 또한 침습적인 시술이므로 진단이 아닌 치료 목적으로 권장된다. 초음파 검사는 전산화단층촬영과 유사한 소견을 확인할 수 있다. 간동맥 뿌리는 기존의 그레이 스케일 초음파에서 증명하기 쉽지 않다. 하지만 관 내 혈관 뿌리를 가진 확장된 담관을 묘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 내 색상 도플러 신호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가치를 갖고 있다. 최근엔 영상진단의 발전으로 전산화단층촬영 검사, 자기공명영상 검사, 담관 조영술, 초음파 검사 등으로 조기 진단이 가능해졌다. 조기 진단을 통해 치료 후에 장기적인 예후가 개선될 수 있도록 영상 진단 발전에 더욱 기여하고자 각 검사별 카롤리병에 대하여 어떠한 양상이 나타나는지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