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ceps

검색결과 647건 처리시간 0.027초

뇌졸중 환자의 햅틱 로봇 기반 상지 재활 시 근육 동시활성도 분석 (Muscle Coactivation Analysis during Upper-Limb Rehabilitation using Haptic Robotics in Stroke Survivors)

  • 오건영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66-74
    • /
    • 2024
  • This study analyzed the occurrence of abnormal muscle coactivations based on the assistance of upper limb weight during reaching task in stroke patients. Nine chronic stroke survivors with hemiplegia performed reaching tasks using a programmable haptic robot. Electromyography (EMG) coactivation levels in the upper limb muscles were analyzed using a linear model describing the activation levels of two muscles when the patient's upper limb weight was assisted at 0%, 25%, and 50%. As the upper limb weight assistance of the haptic robot decreased, the magnitude of the EMG signal in both the deltoid and biceps muscles increased simultaneously on both the paretic and non-paretic sides.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paretic and non-paretic sides when comparing the slope of the linear model describing the activ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eltoid and biceps. The aforementioned results suggest that in some stroke survivors, the deltoids, triceps, and biceps on the paretic side may not be abnormally coupled when supporting the upper limbs against gravity. Furtherm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ation of haptic robots and EMG analysis might be utilized for evaluating abnormal coactivations in stroke patients.

Classification system for partial distal biceps tendon tears: a descriptive 3-Tesl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of tear morphology

  • Alex B Boyle;Simon BM MacLea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6권4호
    • /
    • pp.366-372
    • /
    • 2023
  • Background: There is minimal literature on the morphology of partial distal biceps tendon (DBT) tears. We sought to investigate tear morphology by retrospectively reviewing 3-Tesla magnetic resonance imaging (3T MRI) scans of elbows with partial DBT tears and to propose a basic classification system. Methods: 3T MRI scans of elbows with partial DBT tear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by two experienced observers. Basic demographic data were collected. Tear morphology was recorded including type, presence of retraction (>5 mm), and presence of discrete long-head and short-head tendons at the DBT insertion. Results: For analysis, 44 3T MRI scans of 44 elbows with partial DBT tears were included. There were 9 isolated long-head tears (20%), 13 isolated short-head tears (30%), 2 complete long-head tears with a partial short-head tear (5%), 5 complete short-head tears with a partial long-head tear (11%), and 15 peel-off tears (34%). Retraction was seen in 5 or 44 partial tears (11%), and 13 of the 44 DBTs were bifid tendons at the insertion (30%). Conclusions: Partial DBT tear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sub-types: long-head isolated tears, short-head isolated tears, complete long-head tears with partial short-head involvement, complete short-head tears with partial long-head involvement, and peel-off tears. Classification of tears may have implications for operative and non-operative management. Level of evidence: III.

견관절에 발생한 활액막 연골종증의 관절경적 치료에서 소절개를 이용한 상완 이두건 건초 병변의 병행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Synovial Chondromatosis of the Shoulder Joint with Mini-open Procedure for the Lesions of Biceps Tendon Sheath)

  • 조기현;오주한;최정아;정진행;공현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9-73
    • /
    • 2008
  • 활액막 연골종증은 흔하지 않은 질환으로 견관절에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15세 여자 환자가 견관절 통증을 호소하여, 단순 방사선 검사 및 MRI 검사로 활액막 연골종증으로 진단하였고, 병변이 견관절뿐만 아니라 상완 이두건 건초 내로 침범 되었다. 저자들은 견관절 병변은 관절경 시술로, 그리고 상완 이두건 건초 내 병변에 대해서는 소절개를 통한 유리체 제거 및 활액막 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비록 견관절경 시술이 적은 합병증 및 우수한 수술 시야를 제공하지만, 관절경 시술로는 이두 구내의 활액막과 건초 병변에 대한 완벽한 치료는 매우 어렵다. 이에 저자들은 이두 구까지 침범된 견관절에 발생한 활액막 연골종증의 완벽한 치료를 위해, 관절경적 활액막 전 절제술 및 유리체 제거술과 더불어 상완 이두건 건초의 소절개를 통한 병소의 완전 제거가 필요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소금과 아질산염 처리수준에 따른 건염햄의 이화학적 특성 (The Effects of Salt and $NaNO_2$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y-cured Ham)

  • 성필남;김진형;조수현;이창현;강동우;하경희;임동균;박범영;김동훈;이종문;안종남
    • 육가공
    • /
    • 통권36호여름호
    • /
    • pp.61-71
    • /
    • 2009
  • 자연환경에서 건염햄 제조 시 소금 처리수준과 아질산염 처리 유무가 뒷다리 중량감소, 제품의 일반성분, 화학적 특성 및 조직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HS(뒤다리 kg당 9.2 g 소금 처리), HS+NaNO2(뒷다리 kg당 9.2 g소금+100 ppm 아질산염 처리), LS(뒷다리 kg당 6.2 g 소금 처리), LS+NaNO2(뒷다리 kg당 6.2g 소금+100 ppm 아질산염 처리) 등 4개 처리구에 뒷다리 3개씩을 배치하여 조사하였다. 소금처리 수준과 아질산염 첨가 유무는 전체 중량감소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p>0.05) 제조과정 중 중량감소는 건조기간 동안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27.46%, 28.25%, 26.99%, 28.42%) 자연환경에서 제조된 건염햄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저염처리구(LS)가 아질산염을 처리한 고염처리구(HS+NaNO2)와 아질산염을 처리한 저염처리구(LS+NaNO2) 보다 수분 함량이 높았다. 지방함량, 단백질 함량, 회분 함량은 소금처리수준과 아질산염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경도(hardness)와 씹힘성(Chewiness)은 저염처리구(LS)에서 가장 낮았으며, 아질산염 처리는 건염햄의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염처리구(LS) 건염행 대퇴두갈래근의 수분활성도는 고염처리구(HS)와 아질산염을 처리한 고염처리구(HS+NaNO2) 보다 높았으며, 염도는 아질산염을 처리한 저염구(LS+NaNO2)가 고염처리구(HS)와 아질산염을 처리한 고염처리구(HS+NaNO2) 보다 낮았다. 아질산염 잔존량은 아질산염 처리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육색 명도(L)와 적색도(a), 색도($h^{\circ}$)는 소금 처리 수준과 아질산염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황색도(b)와 채도(chroma)는 아질산염을 처리한 고염처리구(HS+NaNO2)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소금과 아질산염 처리수준에 따른 건염햄의 이화학적 특성 (The Effects of Salt and NaNO2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y-cured Ham)

  • 성필남;김진형;조수현;이창현;강동우;하경희;임동균;박범영;김동훈;이종문;안종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93-498
    • /
    • 2008
  • 자연환경에서 건염햄 제조 시 소금 처리수준과 아질산염 처리 유무가 뒷다리 중량감소, 제품의 일반성분, 화학적 특성 및 조직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HS(뒷다리 kg당 9.2g소금 처리), HS+$NaNO_2$ (뒷다리 kg당 9.2g 소금+100 ppm 아질산염 처리), LS(뒷다리 kg당 6.2g 소금 처리), LS+$NaNO_2$(뒷다리 kg당 6.2g 소금+1100 ppm 아질산염 처리) 등 4개 처리구에 뒷다리 3개씩을 배치하여 조사하였다. 소금처리 수준과 아질산염첨가 유무는 전체 중량감소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p>0.05), 제조과정 중 중량감소는 건조기간 동안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27.46%, 28.25%, 26.99%, 28.42%). 자연환경에서 제조된 건염햄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저염처리구(LS)가 아질산염을 처리한 고염처리구(HS+$NaNO_2$)와 아질산염을 처리한 저염처리구(LS+$NaNO_2$) 보다 수분함량이 높았다. 지방함량, 단백질 함량, 회분 함량은 소금처리 수준과 아질산염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경도(hardness)와 씹힘성(Chewiness)은 저염처리구(LS)에서 가장 낮았으며, 아질산염 처리는 건염햄의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저염처리구(LS) 건염햄 대퇴두갈래근의 수분활성도는 고염처리구(HS)와 아질산염을 처리한 고염처리구(HS+$NaNO_2$) 보다 높았으며, 염도는 아질산염을 처리한 저염구(LS+$NaNO_2$)가 고염처리구(HS)와 아질산염을 처리한 고염처리구(HS+$NaNO_2$) 보다 낮았다. 아질산염 잔존량은 아질산염 처리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육색 명도(L)와 적색도(a), 색도($h^{\circ}$)는 소금처리 수준과 아질산염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황색도(b)와 채도(chroma)는 아질산염을 처리한 고염처리구(HS+$NaNO_2$)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