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bliotherapy Study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7초

울산남부도서관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 결과 (An Operating Outcome of Bibliotherapy Programs in Ulsan NamBu Library)

  • 김순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95-217
    • /
    • 2005
  • 이 연구는 울산남부도서관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 도서관은 사서가 중심이 되어 어린이와 주부를 대상으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나타난 긍정적인 효과와 문제점을 검토하여 앞으로의 진행에 도움을 받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진행자와 참여자, 그리고 주변의 반응과 관심을 살펴보았으며, 연구자의 경험과 관찰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 PDF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에 활용될 수 있는 도서 탐색 (The Study of Exploring Quality Books for Bibliotherapy with Young People)

  • 서미옥
    • 아동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9-103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books of youngsters who struggled with typical problems in adolescent period. Literature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helping young people cope with developmental change. In bibliotherapy, the counselor provides guidance in the solution of personal problems through directed reading. Young people would solve and overcome their problems after reading useful books. So we need to carefully select books for the Youth. Selecting high-quality books that match the young person's reading level and interest were very important. Twenty three books that offer solutions that are likely to be successful in the young people's situation were gathered by 322 participants. Method of collecting materials was through a questionnaire. In addition results based on obtaining books showed that counselors provided reading guidances and were concerned with quality materials.

  • PDF

독서요법과 뉴로피드백을 시행한 심비양허형(心脾兩虛型) 울증(鬱證)환자 치험(治驗) 1례(例) (The Case Study of a Patient with Simbiyangheo type Ul-zeong who has treared by Bibliotherapy and Neurofeedback)

  • 임정화;최강욱;정인철;이상룡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7-198
    • /
    • 2006
  • Bibliotherapy is the field of clinical counceling to treat the emotional, psychiatric and social maladjustment. Neurofeedback is a means by which participants can team voluntary control of the EEG and has been applied to a range of clinical conditions such as epilepsy,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epressive disorder. 'Ul-zeong' comes from obstruction of qi by stress. The mind affect the body. The patient has depressed mood, irritable sign, chest discomfort, flank pain, angry state and some strange feeling on the throat. In this case, a female patient, 30 years old, who complained of amnesia, deficiency of the power of the attention and concentration depersonalization, depressed mood, insomnia ect. We treated the patient with bibliotherapy, neurofeedback and oriental medical treatment such as heral medicine, acupuncture treatment and aroma therapy. In result, the symptoms which she complained were improved.

  • PDF

주부의 마음상함과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A Study of Bibliotherapy Program on the Wounded Emotion of Housewives)

  • 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43-272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마음상함이란 무엇이며, 가정의 중심에 있는 여성, 즉 우리나라 주부의 마음상함의 여러 가지 요인에 대해 살펴본다. 이어서 마음상함을 치유하기 위한 방법으로 독서치료의 가능성을 알아본다. 끝으로 마음 상한 주부를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계획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독서치료 환경으로서 공공도서관의 적합성에 대해 살펴보고, 그런 다음 그 구체적인 프로그램 계획을 세워본다.

  • PDF

그림책활용 독서치료프로그램이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유능감 및 개인적 성장과 가족관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bibliotherap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personal growth and family relationships of married immigrant women)

  • 이민정;이영선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3-130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explored benefits of a bibliotherapy program using picture books for self-growth supporting married Immigrant Women settle down as a healthy member of the Korean society. Method: This intervention program was implemented on twelve married immigrant women (and another twelve women as a control group), and their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researcher kept observation journals and conducted post-program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s.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elf-esteem scores of participants had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program, however,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2) the experiment group made more progress in improving social competence, and (3) the study confirm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at the program made positive contributions to improving the participants'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s were discussed.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스트레스 인지와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그림책 조형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a Bibliotherapy Program on the Stress Recognition and Reac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 Focus on Picture Books and Paper Craft Art Activities)

  • 류지선;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29-146
    • /
    • 2014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종이조형을 활용한 그림책 독서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학생들의 스트레스 인지와 스트레스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중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종이조형을 활용한 그림책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스트레스 인지와 스트레스 반응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인지의 하위요인 중 가정환경, 친구, 학업, 교사/학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스트레스 반응의 하위요인에서는 피로를 제외하고 긴장, 좌절, 분노, 우울, 신체화, 공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연구행태 분석 - 2001년-2014년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Research Behaviors in Bibliotherapy Programs: Focusing on Journal Articles during 2001-2014)

  • 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47-169
    • /
    • 2014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의 독서치료 프로그램 수준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2001년도부터 2014년도까지 학술지에 기록된 총 6가지 전공분야의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대한 논문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논문들의 연구경향, 전공영역별 내용과 연구주제별 내용, 연구주제별 세부주제 등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연구자의 신분은 교수 강사의 비중이 대학원생보다 높았으나 문헌정보학과 심리학 분야에서는 대학원생의 비중이 교수 강사의 비중보다 높았다. 또한, 모든 분야에서 초등생을 대상으로 학교와 도서관에서 프로그램이 자주 실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별로는 자존감 관련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진행되었으며 그 외에 우울증, 결손가정, 사회성, 학업성취, 대인관계 등의 주제들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연구주제별로 세부주제와 측정도구, 활용자료 등이 제시되었다. 제언으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추후 독후 활동에 대한 분석, 심리학적 제 이론의 적용 등을 제시하였다.

교사, 학부모, 아동의 상담 욕구에 기초한 통합적 집단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Biblio-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채혜정
    • 아동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299-319
    • /
    • 2004
  • This study designed, implemented, and evaluated a Biblio-Counsel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Procedures included 20 60-minute sessions by counselor, 18 20-minute sessions in class by teacher, and 5 20-minute sessions at home by parents. The program was administered to 23 thir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mean, and paired t-test, using SPSS program packages. Results showed significant before and after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self-esteem. Besides, the children reported increased positive expression in class and decreased peer neglect and rejection at school. Children, parents and teacher express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ulti-faceted approach as designed and implement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promoting self-esteem, interpersonal growth, and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parents.

  • PDF

중년과 청년이 함께하는 독서모임의 그림책 치료, 독서습관 형성 및 세대교류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icture Book Bibliotherapy, Reading Habit Formation, and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in a Book Club Between Middle-Aged and Young People)

  • 김지영;윤수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11-240
    • /
    • 2024
  • 본 연구는 노인과 청년이 함께하는 독서모임의 후속 연구로 중년과 청년이 함께하는 세대교류 독서모임을 다루었다. 독서모임의 프로그램은 독서습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림책 독서를 통한 심리적 치료를 경험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연구자는 중년 참여자와 청년 참여자가 참여하는 그림책 독서모임을 운영하고, 개별인터뷰를 한 다음, 연구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는 질적연구를 하였다. 세대가 교류하는 독서모임은 중년 참여자에게는 청년과 자녀를 이해하고 청년으로부터 배우는 계기가 되었으며, 청년 참여자에게는 중년과 부모를 이해하고 중년으로부터 배우면서 세대 차이가 아니라 동질감을 느끼게 하였다. 또한 그림책을 읽으면서 스트레스를 줄이고, 인생의 중요한 교훈을 배우면서 그림책 치료의 긍정적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독서습관 형성에도 도움을 받았다. 이를 통하여 다양한 세대가 교류하는 독서모임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른 세대를 이해할 수 있는 세대교류 형태의 독서모임이 더욱 활성화되고, 많은 사람이 그림책을 비롯한 책을 읽는 활동의 장점을 발견하고 독서를 습관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발달적 독서치료를 활용한 부모 대상의 유아 성학대 자기보호 교육자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The Effects of a Parental Developmental Bibliotherapy Program for Their Young Children's Sexual Abuse Self-Protection)

  • 천희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9호
    • /
    • pp.37-5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a children sexual abuse (CSA) parental training program with applied developmental bibliotherapy on parents. Subjects were 54 mothers, 24 of whom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ch included 8 sessions for 4 weeks. Four dependent variables were subjected to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mothers’ knowledge, myths and stereotypes related to CSA, and their children’s levels of prevention concepts comprehension and self-protection skills of CS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increased mothers’ knowledge of CSA and decreaesd their beliefs on myths and stereotypes, and also increased their comprehension level of CSA prevention concepts and their level of children self-protection skills. These positive effects of the program show that the program can be incorporated in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s. We are also pursuing the development of other research programs on this su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