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ta-lactoglobulin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6초

토끼 항 ${\beta}-Lactoglobulin$ 항혈청에 대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항원성 (Antigenicity of Whey Protein Hydrolysates against Rabbit Anti ${\beta}-Lactoglobulin$ Antiserum)

  • 이수원;하월규;전석락;김정완;손동화;이재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32-538
    • /
    • 1994
  • Chymotrypsin, trypsin, pancreatin, 그리고 Aspergillus oryzae 유래 단백질분해효소의 in vitro 처리에 의하여 유청단백질(WPI)의 가수분해물(WPH)중 ${\beta}-LG$유래의 항원성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토끼 항${\beta}-LG$항혈청을 이용한 competitive inhibition ELISA(cELISA)와 heterologous PCA를 실시하였다. cELISA에 의하여 WPH의 monovalent항원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beta}-LG$유래의 monovalent항원성은 효소처리에 의하여 $10^{-1.7}{\sim}10^{-4.1}$배 또는 그 이하로 저하되었으며, 특히 pepsin전처리후 Asp. oryzae유래의 효소로 가수분해한 경우(OUP)의 항원성은 거의 상실되었다. Guinea pig를 이용한 PCA test에 의하여 ${\beta}-LG$유래의 polyvalent항원성을 분석한 결과, WPH의 항원성은 $1/2{\sim}1/128$ 또는 그 이하로 저하되었다. 특히, WPH중에서 열변성이나 pepsin의 전처리없이 Asp. oryzae유래의 효소로 가수분해한 경우(OUN), 가수분해도(DH)가 그다지 높지 않고 monovalent항원성도 여전히 잔존하였음에도 불구하고($10^{-3.2}$배로 저하) 알레르기의 발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polyvalent항원성은 거의 상실되었다. 이는 OUN의 분해효율이 아주 높지는 않으나 ${\beta}-LG$상의 항원결정기가 효과적으로 파괴되어, polyvalent항원성이 제거되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이 결과는, Asp. oryzae유래의 효소를 WPI에 처리하면 우유 알레르기의 주요 원인물질인 ${\beta}-LG$의 polyvalent항원성이 제거됨으로써 저알레르기성 infant formula용 WPH가 제조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Orthokinetic Stability of $\beta$-Lactoglubulin-Stabilized Emulsions : Effects of Protein Heat Treatment and Surfactant Addition

  • Hong, Soon-Tae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2호
    • /
    • pp.133-142
    • /
    • 1998
  • Effects of protein heat treatment and surfactant additionoo the orthokindetic stability of $\beta$-lactoglobulin-stabilized emulsions have been investigated under turbulent flow conditions. In studies on protein-stabilized emulsions, samples which had been subjected to heat treatment(i.e. the protein solution orthe emulsion) have been found to be more prone to orthokinetic coalescene than the untreated ones. The emulsions stabilized with protein heated above the denaturation temperature(i.e. 7$0^{\circ}C$) showed the bigger initial average droplet size, which resulted in an increased orthokinetic coalescenece rate. The storage of the protein-stabilized emulsion at high temperature prior to the shearing experiment also made the emulsion less stable in the shear field. Interestingly. the addition of DATEM has been found to produce a substantial increase in orthokinetic stability of the heat-denatured protein-stabilized emulsion system, although Tween 20 is the opposite case.

  • PDF

Resveratrol-loaded Nanoparticles Induce Antioxidant Activity against Oxidative Stress

  • Kim, Jae-Hwan;Park, Eun-Young;Ha, Ho-Kyung;Jo, Chan-Mi;Lee, Won-Jae;Lee, Sung Sill;Kim, Jin Woo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2호
    • /
    • pp.288-298
    • /
    • 2016
  • Resveratrol acts as a free radical scavenger and a potent antioxidant in the inhibition of numerou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e function of resveratrol and resveratrol-loaded nanoparticles in protecting human lung cancer cells (A549) against hydrogen peroxid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assa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properties. Resveratrol had substantially high antioxidant capacity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alue) compared to trolox and vitamin E since the concentration of resveratrol was more than $50{\mu}M$. Nanoparticles prepared from ${\beta}$-lactoglobulin (${\beta}$-lg) were successfully developed. The ${\beta}$-lg nanoparticle showed 60 to 146 nm diameter in size with negatively charged surface. Non-cytotoxicity was observed in Caco-2 cells treated with ${\beta}$-lg nanoparticles. Fluorescein isothiocynate-conjugated ${\beta}$-lg nanoparticles were identified into the cell membrane of Caco-2 cells, indicating that nanoparticles can be used as a delivery system. Hydrogen peroxide caused accumulation of ROS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Resveratrol-loaded nanoparticles restored $H_2O_2$-induced ROS levels by induction of cellular uptake of resveratrol in A549 cells. Furthermore, resveratrol activated nuclear factor erythroid 2-related factor 2-Kelch ECH associating protein 1 (Nrf2-Keap1) signaling in A549 cells, thereby accumulation of Nrf2 abundance, as demonstrated by western blotting approach. Overall, these results may hav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oxidative stress in treatment with nanoparticles as a biodegradable and non-toxic delivery carrier of bioactive compounds.

유청 및 대두 단백질의 상호작용 (Interaction between Whey and Soybean Proteins)

  • 손동화;이형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4호
    • /
    • pp.361-370
    • /
    • 1988
  • 유청 및 대두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규명하기 위하여 두 단백질용액 및 1 : 1 혼합용액에 대한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와 전기영동에 의하여 열처리 중 조성단백질의 변화 및 상호작용에 관여한 조성단백질을 조사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결과 $80^{\circ}C$ 이상에서 열처리할 경우, 대두단백질 및 혼합물에서 저분자량의 단백질과 고분자량의 응집물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열처리에 의하여 대두의 11S globulin이 subunit로 해리되고, 이것이 thiol기, disulfide bond 등을 함유한 유청단백질과 가용성 응질물을 형성하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전기영동에 의하여, 가열시 유청조성단백질 중의 ${\beta}-Lactoglobulin$, ${\alpha}-Lactalbumin$ 및 proteose-peptone 3이 대두단백질과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용액의 염환경에 따라 Bovine Serum Albumin, Immunoglobulin G(H) 및 Lactoferrin도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대두조성단백질 중의 11S globulin의 basic subunit와 acidic subunit, 7S globulin의 ${\alpha}'$ subunit가 유청단백질과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 PDF

유청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유화특성 (Emulsifying Properties of Whey Protein Hydrolysates)

  • 양희진;이수원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3-69
    • /
    • 2003
  • 본 연구는 단백질분해효소로 whey protein을 가수분해하여 얻은 가수분해물의 용해도와 유화특성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Whey protein concentrates를 porcine trypsin(E : S=1 ; 3,000)으로 pH 8.0, 37$^{\circ}C$에서 6시간 동안 가수분해한 whey protein 가수분해물의 유화활성은 분해 4시간째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 때 가수분해도는 5.50%이었다. whey protein의 효소가수분해로 whey protein 중의 $\alpha$-lactalbumin은 분해가 잘 일어나지 않으나 $\beta$-lactoglobulin은 분해 초기부터 급속히 분해되며 유화력 상승에 관여하는 여 러개의 저분자량 peptide를 생성하였다. 가수분해물의 용해도는 가수분해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세를 보이다가 5시간부터 조금씩 감소 추세를 보였으며, pH에 따라서는 등전점 부근인 pH4~5에서 용해도가 가장 낮았으나 가수분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이 부근의 용해도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pH 6이상에서는 pH가 증가함에 따라 용해도도 증가하였다. 유화활성은 용해도의 결과와 거의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유화 안정성은 분해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씩 증가함을 보여주었으나, 가수분해 4시간부터 pH 8 이상의 PH에서 급격한 증자를 나타내었다.

Poly(ethylene glycol)-dextran 수용액 2상계에서 단백질 분획계수에 미치는 금속염의 효과 (Effects of Salts on the Partition of Proteins in Poly (ethylene glycol)-Dextran Aqueous Two Phase System)

  • 이삼빈;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6-150
    • /
    • 1987
  •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EG)-텍스트란 수용액 혼합물이 형성 하는 2상계에서 단백질의 분획현상에 대한 pH와 금속 이온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PEG(5%)/dextran(9.5%)을 포함하는 5mM 인산 완충용액으로된 수용액 2상계에서 상층부와 하층부의 용적비를 1.0으로 하였을 때 분획계수는 각 단백질들의 등전점에서최소치를 나타 내었으며, pH가 등전점에서 벗어날 수록 단백질 분획계수는 증가하였다. 특히 pH11.0에서는 분획계수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소수성이 가장 큰 BSA는 50배 ${\beta}-lactoglobulin$과 소수성이 비교적 적은 ovalbum은 각각 10배 증가하였다. 금속염 첨가는 pH3.0에서 단백질과 분획계수를 증가시키나. pH7.0과 pH11.0에서는 급격하게 감소시켰다. 단백질의 총전하가 양전하를 띠게 되는 pH3.0에서는 LiNa>K의 순으로 분획계수는 감소하였다.

  • PDF

Poly(ethylene glycol)-Dextran 수용액 2상계에서 단백질들의 소수성에 따른 분획계수 (Partition Coefficient of Proteins of Different Surface Hydrophobicity in Poly (ethylene glycol)-Dextran Aqueous Two Phase System)

  • 이삼빈;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40-145
    • /
    • 1987
  • 폴리에틸렌 글라이콜-덱스트란 흔합수용액이 형성하는 수용액 2상계에서 표면 소수성의 크기를 알고 있는 표준 단백질들의 분획계수를 관찰하였다. 또한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EG)에 palmitate를 부착시킨PEG-P를 첨가함으로써 상층부의 소수성을 증가 시켰을때 단백질들의 분획계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PEG/dextran 2상계에서 단백질의 분획계수는 딘백질의 유효 소수성에 관계없이 2상계의 용적비가 동일한 조건에서 PEG와 dextran의 농도가 함께 증가함에 따라 분획계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PEG에 78%친환도를 가지는 PEG-P를 소량 첨가하여 만든 2상계에서는 유효 소수법이 큰 bovine serum albumin과 $\beta-lactoglobulin$의 분획계수가 10배 이상 증가하였고. 유효 소수성이작은 ovalbumin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분획계수의 급격한 중가는 PEG-P의 첨가량이 아주 낮은 2% 수준일 때 나타났으며 그 이상 침가시에는 모든 단백질이 공히 10% 첨가될때까지 완만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우유단백질의 분석을 위한 효소면역측정법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Detection of Milk proteins in Food)

  • 손동화;김현정;배근원;김순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64-569
    • /
    • 2000
  • 가공식품중의 우유단백질 분석을 위하여 효소면역측정법, ELISA를 개발하였다. 특이 항체를 생산하기 위해 열에 안정하고 우유의 주요한 단백질인 ${\alpha}_{s1}-CN$을 토끼에 면역하였다. 항${\alpha}_{s1}-CN$ 항체를 이용하여 간접경합 ELISA를 실시한 결과 검출한계는 $0.1\;{\mu}g/mL$ 이었고 ${\alpha}_{s1}-CN$, skim milk, ${\beta}-CN$과 whey protein isolate에 대한 특이항체의 반응성은 각각 100%, 37%, 0.14%과 0.04% 이었다. 그러나 다른 우유단백질인, ${\beta}-lactoglobulin,\;{\alpha}-lactalbumin$, bovine serum albumin 과 대두단백질인 isolated soy protein 에 대해서는 거의 반응성을 보이지 않았다. 샌드위치 ELISA 결과는 검출한계가 $0.01\;{\mu}g/mL$로 간접경합 ELISA 에 비하여 10배 정도 민감해져 따라서 이를 시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시유에 1-10%의 whole CN을 첨가한 spike test 결과 whole CN의 평균 회수율이 94.8%(CV, 8.2%)으로 나타났다. 식품재료와 유가공 제품에 대한 whole CN의 정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탈지유는 29%, WPI는 0.03%, 농후 요구르트는 0.25%였으며 가공치즈는 6.9%로 나타났다.

  • PDF

Composite genotypes of progestogen-associated endometrial protein gene and their association with composition and quality of dairy cattle milk

  • Kolenda, Magdalena;Sitkowska, Beata;Kamola, Dariusz;Lambert, Barry D.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8호
    • /
    • pp.1283-1289
    • /
    • 2021
  • Objective: The progestogen-associated endometrial protein (PAEP) gene encodes the main whey protein in milk, β-lactoglobulin.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olymorphism in the PAEP gene and its association with milk yield, composition, and quality. Methods: Test-day records for 782 dairy cows were analysed. A total of 10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 within the PAEP gene were investigated.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recorded: milk yield (MY, kg/d), percent milk fat (%), protein (PP, %), dry matter (DMP, %) and lactose (LP, %), urea content (UC, mg/L) as well as natural logarithm for somatic cell count (LnSCC, ln). Effect on genomic estimated breeding values accuracy was evaluated with pedigree and single step model. Results: Results show that only three SNPs were polymorphic, creating 5 composite genotypes: P1 to P5. Differences in MY between composite genotypes were noted in the two tested herds. Cows with P5 composite genotypes were characterised by the highest PP and LnSCC and the lowest LP and UC (p<0.05). P4 was linked to an increased DMP and UC, while P3 to an increase in LP and decrease in PP and LnSCC. Both factors are important markers in herd management and have high influences on the herds economics. For 5 out of 7 traits the accuracy of prediction was improved by including the haplotype as a fixed effect. Conclusion: Presented results may suggest a new way to optimise breeding programmes and demonstrate the impact of using genomic data during that process.

Holstein 종(種) 유우(乳牛)의 유단백질(乳蛋白質)의 유전적다형(遺傳的多型)과 유조성분간(乳組成分間)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Genetic Polymorphisms of Milk Proteins and Milk Compositions in Holstein Cows)

  • 상병찬;이조윤;최종우;성창근
    • 농업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56-67
    • /
    • 1993
  • 본(本) 연구(硏究)는 유단백질(乳蛋白質)의 유전적표식(遺傳的標識)(genetic marker)를 유우(乳牛)의 유전적(遺傳的) 개량(改良)을 위한 유우등록 및 선발(選拔) 자료로 활용하고자 1992년 국립 종축원에서 사육증인 Holstein종 159두에서 각각 유즙 시료를 채취하여 Polyacrylarnide gel(PAGE)에 의한 전기영동방법에 의하여 ${\alpha}S1$-casein(${\alpha}S1$-CN) 및 ${\beta}$-casein(${\beta}$-CN), ${\kappa}$-casein(${\kappa}$-CN) 및 ${\beta}$-lactoglobulin(${\beta}$-LG)의 유전적(遺傳的) 다형(多型)을 분석(分析)하여 유전적(遺傳的) 변이체의 표현형(表現型), 유전자형(遺傳子型) 및 유전자빈도(遺傳子頻度)를 추정하고 이들 단백질의 유전적(遺傳的) 다형(genetic polyrnorphisms)과 유조성분과의 연관성을 분석(分析) 검토(檢討)하였다. 유단백질(乳蛋白質)인 ${\alpha}S1$-CN, ${\beta}$-CN, ${\kappa}$-CN 및 ${\beta}$-LG 유전좌위(遺傳座位)의 유전적(遺傳的) 변이체의 표현형(表現型) 분포의 관찰치와 기대치간에 유의적(有意的)인 차이가 인정 되지않아 이들 유전자(遺傳子)들이 유전적(遺傳的) 평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단백질(乳蛋白質) 좌위(座位)의 유전자형(遺傳子型)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alpha}S1$-CN BB유전자형(遺傳子型), ${\beta}$-CN AA유전자형(遺傳子型), ${\kappa}$-CN AA유전자형(遺傳子型) 및 ${\beta}$-LG AB 유전자형(遺傳子型)의 출현빈도(出現頻度)가 각각 79.87%, 84.28%, 71.70% 및 49.10%로 높게 나타났다. 유단백질(乳蛋白質)의 유전자빈도(遺傳子頻度)에 있어서는 ${\alpha}S1-CN^B$${\alpha}S1-CN^C$가 각각 0.899 및 0.101이었고, ${\beta}-CN^A$${\beta}-CN^B$은 각각 0.921 및 0.079이었으며, ${\kappa}-CN^A$${\kappa}-CN^B$은 각각 0.837 및 0.163이었고, ${\beta}-LG^A$${\beta}-LG^B$은 각각 0.378 및 0.622이었다. 분산분석(分散分析) 결과(結果) 유단백질(乳蛋白質)의 유전자형(遺傳子型)들은 유조성분인 유지율, 단백질 함량 및 총 고형분 함량에서 유의적(有意的)인 연관성이 인정되었다. 유조성분 함량에 있어서는 ${\kappa}$-CN좌위(座位)의 BB유전자형(遺傳子型)은 유지율 및 유단백질(乳蛋白質) 함량에서 ${\kappa}$-CN좌위(座位)의 AA 및 AB 유전자형(遺傳子型)보다 유의적(有意的)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beta}$-LG좌위(座位)의 AA유전자형(遺傳子型)은 유지율에서 ${\beta}$-LG좌위(座位)의 AB 및 BB 유전자형(遺傳子型)보다 유의적(有意的)으로 높게 추정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硏究結果)를 종합하여 볼때 유조 성분인 유지율 및 단백질함량을 높히기 위하여서는 ${\kappa}$-CN좌위(座位)의 BB 유전자형(遺傳子型)과 ${\beta}$-LG좌위(座位)의 AA 유전자형(遺傳子型)을 선발(選拔)하는것이 보다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