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rberidacea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산(韓國産) 매자나무과(科) 및 대극과(科) 활엽수재(闊葉樹材)의 천공(穿孔)을 지니는 방사조직(放射組織) 세포(細胞) (Perforated Ray Cells in Korean Hardwoods of Berberidaceae and Euphorbiaceae)

  • 엄영근;정연집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3호
    • /
    • pp.374-378
    • /
    • 1999
  • 본(本) 연구(硏究)는 매자나무과(科)의 매발톱나무와 당매자나무 그리고 대극과(科)의 예덕나무와 사람주나무에 있어서 목부(木部) 방사조직(放射組織)내 에 천공(穿孔)을 지니는 방사조직(放射組織) 구성세포(構成細胞)가 존재(存在)함을 처음으로 보고(報告)하는 것으로써 천공(穿孔)을 지니는 이들 방사조직(放射組織) 세포(細胞)의 천공(穿孔)은 도관요소(導管要素)에 발달(發達)하는 천공(穿孔)과 동일(同一)하게 단일천공(單一穿孔)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매자나무 세포독성성분 분석 (Analysis of Cytotoxic Constituent of Berberis koreana Palibin)

  • 김영균;곽병만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3호
    • /
    • pp.100-107
    • /
    • 1998
  • Methanol extracts of five Berberidaceae species were examined against tissue factor inhibitory and tumour cell growth inhibitory activity. Methanol extracts of Berberis koreana Palibin showed a strong cytotoxicity activity against SK-MEL-2 (Melanoma) tumour cell lines with more than 90% in $25{\mu}g/m\ell$ and against A549 (Lung carcinoma), SK-OV-3 (Ovarian cancer), XF498 (CNS cancer) and HCTl5 (Colon cancer), other Berberidaceae species except B. koreana species have no effect on the tumour cells. Biologically active compound, therefore, was isolated through the activity guided fractionation and purification. The structure was confirmed by NMR. FT-IR and MS to 2-(3,4-dihydroxybenzyl)-ethyl alcohol. It showed cytotoxicity activity against SNU-C4 tumour cell lines with 50.7% in $50{\mu}g/m\ell$. Methanol extracts of 5 Berberidacae species have no effect on the tissue factor inhibitory activity.

  • PDF

음양곽의 성분에 관한 연구(II)$^1$ -삼지구엽초 지하부의 성분- (Phytochemical Studies on Epimedii Herba (II)$^1$ -Studies on the Underground Parts of Epimedium koreanum-)

  • 강삼식;김주선;강윤정;한혜경
    • 생약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6-59
    • /
    • 1990
  • n-Alkanes (n-nonacosane and n-hentriacontane), phytosterols (campesterol and ${\beta}$-sitosterol) and phytosteryl glucosides (${\beta}$-sitosterol 3-O-${\beta}$-D-glucopyranoside and campesterol 3-O-${\beta}$-D-glucopyranoside) were isolated from the underground parts of Epimedium koreanum (Berberidaceae) and characterized by spectral data.

  • PDF

매발톱나무의 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Berberis amurensis Ruprecht)

  • 이향이;김종원
    • 생약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57-263
    • /
    • 1997
  • Berberis amurensis Ruprecht(Berberidaceae) is a medicinal plant indigenous to the middle and nor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he woody parts of this plant have been used for the ocular, peptic and intestinal disorders. The stems of this plants were extracted with MeOH and the MeOH extract was partitioned between organic phases and water layer, successively to fractionated quarternary alkaloids. The acetone-soluble part of guarternary alkaloidal fraction had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it contained four protoberberine alkaloids such as palmatine(I), Berberine(II), Jatrorrhizine(III) and coptisine(IV), and one aporphine alkaloid, magnoflorine(V). Although the isolations of the compounds I, II, IIII, IV and V from different sources were reported,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Berberis amurensis contained the compounds. When the contents of compound I(palmatine) and II(berberine) were quantifi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plant parts, cortex contained higher palmatine and berberine than any other part of the plant.

  • PDF

한계령풀의 생식기관 발생형태 (Embryology of Gymnospermium microrrhynchum (Berberidaceae))

  • ;신동용;허권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26-233
    • /
    • 2010
  • 속간 계통유연관계 해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연구되지 않은 한계령풀의 생식기관 발생학적 형태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한계령풀의 생식기관 형태는 매자나무과의 다른 속들과 비슷한 점이 많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주피 내강벽의 발달, 미분화 종피 구조 등과 같은 새로운 생식기관 특징들이 밝혀졌다. 지금까지 계통학적으로 한계령풀속은 매자나무과 내에서 꿩의다리아재비속이나 Leontice속에 가장 가깝다고 인정되고 있는데 이들이 같은 족에 분류되어 있는 것처럼 분자계통학적 유사성과 더불어 많은 형태적인 특징들도 공유하고 있었다. 한계령풀은 기본형의 약벽형성, 분비형 융단세포, 화분모세포의 연속형 세포질분열, 약 열개시 2세포성 성숙화분, 도생배주, 후층성주심, nucellar cap의 발달, 내주피 내강벽의 형성, 마디풀형 배낭형성, 핵형 배유형성, 미분화 종피 패턴 등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과내 Nandina속과의 비교에서는 약의 열개 패턴, 소포자의 세포질 분열패턴, 종자 형태, 종피 유형 등 많은 형태적 특징에서 차이가 있었다. 비록 이 연구에서 근연속인 꿩의다리아재비속이나 Leontice속의 생식기관 정보를 충분히 이용할 수는 없었지만, 한계령풀속은 종자와 종피 형태를 근거로 매자나무과내에서 꿩의다리아재비속과 Leontice속에 가장 가까운 유연관계임을 추론할 수 있었다.

새로운 조경수(77) - 남천

  • 김사일
    • 조경수
    • /
    • 제80권5_6호
    • /
    • pp.2-5
    • /
    • 2004
  • 남천은 매자나무과(Berberidaceae)의 남천속(Nandina)에 속하며 남천속에는 남천 단 한종밖에 없지만 관상용으로 재배되면서 많은 원예용 품종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분포지역은 일본, 중국, 인도 등 동남아시아의 나라들 중 난대 및 열대에 속하는 지역에 자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관상용으로 도입되어 재배되고 있는 도입수종이다. (중략)

  • PDF

깽깽이풀의 발생과 근연속간 비교 (Embryology of Jeffersonia dubia Baker et S. Moore (Berberidaceae) and comparison with allied genera)

  • ;허권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60-266
    • /
    • 2012
  • 깽깽이풀의 발생학적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이를 매자나무과내의 근연속 들과 비교연구하였다. 깽깽이풀의 발생학적 특징은 4포약, basic type의 약벽형성, 2핵성의 glandular tapetum, 약벽 표피세포의 숙존, 내피층이 섬유상조직으로 발달, 판개형의 약 열개, 화분모세포의 연속형 세포질분열, 정사면체형 화분사분체, 약 열개시 화분은 2세포성, 양주피성, 도생배주, 후층성주심, 한개의 포원세포, 마디풀형 배낭형성, 성숙배낭은 타원형, 핵형 배유형성, 배 발생은 Onagrad 형태, 종자는 종의가 있고, 종피는 외종피외층형 등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매자나무과내의 다른 속들과 비교한 결과 깽깽이풀속은 융단세포의 핵수, 감수분열시 세포질의 분열패턴, 그리고 외종피외층의 두께 등에서 매자나무속이나 Mahonia속 보다는 삼지구엽초속과 Vancouveria 속에 좀 더 닮았다. 또한, 약벽형성 패턴, 융단세포의 핵수, 주심cap의 형성, 반족세포의 행동패턴등에서 한계령풀속과도 유사한 형질이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계령풀속은 다른 많은 발생형질과 분자 data에서 깽깽이풀속과는 다르다. 따라서 발생학적 증거들은 깽깽이풀속이 삼지구엽초속(Epimedium)과 Vancouveria 속에 가장 가까운 유연관계라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