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zophenone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2초

포스파젠 고분자를 이용한 Wittig반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olyphosphazenes-bound Wittig Reactions)

  • 권석기;전창림
    • 공업화학
    • /
    • 제5권5호
    • /
    • pp.843-850
    • /
    • 1994
  • $[NP(OC_6H_5)_{1.7}(OC_6H_4P(Ph)_2$=$CHCH_2CH_2CH_3)_{0.3}]_n$과 같은 포스파젠 고분자에 부착된 Wittig 시약을 $[NP(OC_6H_5)_{1.7}(OC_6H_4Br)_{0.3}]_n$에 n-butyllithium, diphenylchlorophosphine, 그리고 n-butyl iodide 등으로 처리하여 만들었다. 고분자의 반응들은 [$NP(OC_6H_5)_5(OC_6H_4P(Ph)_2$)]와 같은 고리형 삼중체를 이용한 모델반응 조건들을 고려해 이루어졌다. 포스파젠 고분자에 부착된 Wittig 시약과 benzophenone을 반응시켜 원하는 알켄과 고분자에 부착된 phosphine oxide를 성공적으로 만들었다.

  • PDF

수소화붕소리튬, 보란 및 보란-염화리튬 (1 : 0.1)에 의한 카르보닐화합물의 선택환원 (Selective Reduction of Carbonyl Compounds with Lithium Borohydride, Borane, and Borane-Lithium Chloride (1 : 0.1) in Tetrahydrofuran)

  • 윤능민;차진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9-267
    • /
    • 1978
  • 수소화붕소리튬, 보란 그리고 보란-염화리튬(1:0.1)의 카르보닐화합물 환원에 있어서의 선택성을 5쌍의 대표적인 카르보닐화합물 쌍(벤즈알데히드-아세토페논, 벤즈알데히드-2-헵탄온, 2-헵탄온-벤조페논, 아세토페논-벤조페논, 2-헵탄온-아세토페논)에 대해서 이들 수소화물의 제한된 양을 반응시켜 알아보았다. 이들 수소화물중 보란-염화리튬(1:0.1)이 제일 선택성이 좋았고, 수소화붕소 리튬과 보란도 2-헵탄온-아세토페논 쌍을 제외하고는 좋은 선택성을 보였다.

  • PDF

폴리프로필렌 纖維用 反應性染料의 開發에 關한 硏究 (Studies on Reactive Dyes for Polypropylene Fiber)

  • 이학기;임용진;민경은;최흥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425-432
    • /
    • 1984
  • 難染性纖維인 폴리프로필렌用 反應性染料를 開發하기 위하여 反應部位로서 카르벤을 染料에 生成케하여 폴리프로필렌의 C-H結合에 揷入反應을 시켜 堅固한 染着物을 얻을 수 있었다. 反應性카르벤染料의 前驅體로서 알데히드係, 메틸케톤係 및 페닐케톤係 反應性染料를 合成하고 카보닐基에 토실히드라진 및 부틸리튬을 各各 作用하여 各種染料의 토실히드라존리튬鹽을 만들어 폴리프로필렌상에서 加熱分解시킴으로써 染料分子에 生成된 카르벤이 폴리프로필렌에 共有結合을 하여 染着하였다. 여기에서 合成한 各種 카르벤染料들은 카르벤이 生成되는 隣接位에 있는 置換基의 種類와 位置에 따라 反應性에 差異點을 나타내었다. 특히 페닐케톤係 反應性染料가 反應性이 優秀하였으며 이들 페닐케톤係 反應性染料의 前驅體中에서도 클로로基를 가지는 클로로아미노벤조페논으로부터 合成한 染料가 他에 비해 反應性이 良好하였다.

  • PDF

Fabrication and Processing Method of Ophthalmic Hydrogel Tinted Lens Containing Indium Tin Oxide-Composited Materials

  • Lee, Min-Jae;Lee, Kyung-Mun;Sung, A-Young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685-690
    • /
    • 2018
  • In this study, a multifunctional ophthalmic lens material with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ect, high oxygen permeability, and high water content is tested, and its applicability is evaluated. Metal oxide nanoparticles are applied to the ophthalmic lens material for vision correction to shield harmful electromagnetic waves; the pyridine group is used to improve the antibacterial effect; and silicone substituted with urethane and acrylate is employed to increase the oxygen permeability and water content. In addition, multifunctional tinted ophthalmic lens materials are studied using lens materials with an excellent antibacterial effect (2,6-difluoropyridine, 2-fluoro-4-pyridinecarboxylic acid) and functional (UV protection, high wettability) lens materials (2,4-dihydroxy benzophenone, 2-hydroxy-4-(methacryloyloxy)benzophenone). To solve problems such as air bubbles generated during the polymerization process for the manufacturing and turbidity of the lens surface, polymerization conditions in which the defect rate is minimized are determined. The results show that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and time are most appropriate when they are $110^{\circ}C$ and 40 minutes, respectively. The optimum injection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solution is 350 ms. The turbid phenomenon that appears in lens processing is improved by 10 to 95 % according to the test time and conditions.

PS 판용 1,2-Naphthoquinone-(2)diazide-5-sulfonic Acid Ester Derivatives의 합성 및 응용 (Studies on 1,2-Naphthoquinone-(2)diazide-5-sulfonic Acid Ester Derivatives for Pre-sensitized Offset Plates)

  • 구양서;명영찬;안종일;김선호
    • 공업화학
    • /
    • 제10권8호
    • /
    • pp.1169-117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sodium 2-diazo-1-naphthoquinone-5-sulfonate를 chlorination하여 2-diazo-naphthoquinone-5-sulfonyl chloride(NQD-Cl)를 합성하였다. NQD-Cl을 여러 종류의 hydroxybenzophenone 유도체와 esterification하여 hydroxy group이 2-diazo-naphthoquinone-5-sulfonyl(NQD) group으로 치환된 여러 종류의 1,2-naphthoquinone-(1,2)-diazide-5-sulfonic acid esters(NQD0ester)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NQD-ester 유도체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methoxy group이 도입된 유도체와 이와 비교를 위해 hydroxy group만을 가지는 benzophenone 유도체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각각의 NQD-ester 유도체의 용해특성을 조사하였으며, novolac수지와 혼용(formulation)하여 감광액을 제조하여 알루미늄판에 도포, 건조하여 PS판을 제조하였다. PS판의 감광특성과 광퇴색도와 화상형성에 적합한 노광시간을 조사하였으며, 상대감도를 gray scale(GS)법으로 조사하였다. 치환된 NQD group 의 수에 따라 GS법에 의한 상대감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ethoxy group이 도입된 NQD-ester유도체는 좋은 용해특성을 보여주었으며 시판되는 PS판과 동일한 노광조건에서 비교해 본 결과 보다 우수한 감도를 보였다.

  • PDF

Aliquat 336 상이동 촉매하에서 디페닐메탄의 산화반응에 관한 속도론적 연구 (A Kinetic Study on the Oxidation of Diphenylmethane under Aliquat 336 Phase Transfer Catalyst)

  • 이화수;문정열;나석은;박대원
    • 공업화학
    • /
    • 제5권2호
    • /
    • pp.373-377
    • /
    • 1994
  • 본 연구는 Aliquat 336 상이동 촉매하에서 디페닐메탄을 산화시켜 벤조페논을 합성하는 반응의 메카니즘을 고찰한 것이다. 벤조페논의 생성속도는 Aliquat 336 촉매와 potassium tert-butoxide의 양이 많을수록 증가하였고, 반응의 부산물인 tert-butyl alcohol은 반응을 억제하였다 반응차수는 디페닐메탄과 산소의 농도가 낮을 때는 각각에 대하여 1차로 나타났고, 이들의 농도가 높을 때는 0차로 나타났다. 실험으로 측정한 벤조페논의 초기반응속도는 반응 메카니즘으로부터 유도한 다음의 반응 속도식과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gamma}_{BP})_0={\frac{k_1k_3k_5[QCI]_0[DPM]_0[PTB]_0[O_2]_0}{k_2k_4[TBA]_0+k_2k_5[O_2]_0+k_3k_5[O_2]_0[DPM]_0}}$$

  • PDF

환경호르몬물질의 오존반응성에 관한 연구(I) 페놀류 환경호르몬물질의 오존반응성

  • 이종팔;성락창;이성식;박현석;류병순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130-131
    • /
    • 2001
  • 페놀류화합물의 경우 오존단독반응에서 보다 오존/과산화수소반응이 더 속도가 느림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Hoigne 등이 이미 제시한 .OH라디칼반응보다 오히려 ortho위치의 오존삽입반응메카니즘으로 진행됨을 알 수 있으며, 반대로 benzophenone의 경우는 .OH라디칼에 의한 산화반응이 더 잘 진행됨을 볼 수 있었다.

  • PDF

PEGDMA를 이용한 PEO 필름의 광가교 (Photocrosslinking of PEO Films Using PEGDMA)

  • 구광회;장진호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8년도 제39차 학술발표회
    • /
    • pp.11-12
    • /
    • 2008
  • Poly(ethylene oxide)(PEO) of molecular weight of 300,000 was crosslinked by UV irradiation in the presence of crosslinker. The photochemical crosslinking of PEO was enhanced by the addition of dimethacrylate crosslinkers in the film. Percent conversion of the polymer into gel as well as water absorbency were investigated gravimetrically. Gel fraction of PEO films increased with increasing crosslinker concentration. In the case of photocrosslinked PEO films with benzophenone, gel fraction reached about 95%. The thermal behavior of crosslinked PEO films was characteriz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he maximum decomposition temperature increased with increasing crosslinker concent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