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zoic acid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27초

아조벤젠을 함유한 장쇄 지방산의 광재현성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The Photo-reproducibility and Stability of Long Chain Fatty Acid Containing Azobenzene)

  • 박근호;박태곤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9-114
    • /
    • 1995
  • The Synthesis of long chain fatty acid containing azobenzene and $(C_{n}-Azo)$ was optimized, starting from p-(p'-hydroxy phenyl azo)-benzoic acid and the product of reaction containing azobenzene chromophores was investigated by ultraviolet spectrophotometery in chloroform solvent at the various temperature. In addition, Reversibility and stability of azo compounds have been measured by means of Ultraviolet and the structure of these compound were ascertained by means of FT-IR and NMR. Recrystallization of reaction product in the solvent results the experimental yield obtained about 62.93% p-(p'-octadecyloxy phenyl azo)-benzoic acid. Long chain azobenzene derivatives in chloroform solution are induced photoisomerization by u. v. and visible light irradiation. The solution of long chain fatty acids$(C_{n}-Azo)$ containing azobenzene are possible of being applied to functional molecular devices such as photomemory and light switching.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phytochemical constituents in Paeonia lactiflora extracts using the HPLC-UV method

  • Kim, Juree;Choi, Jungwon;Kang, Sam Sik;Lee, Sanghy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1호
    • /
    • pp.13-17
    • /
    • 2021
  • Qantitative analysis of six compounds: (+)-catechin, benzoic acid, gallic acid methyl ester, paeonol, paeoniflorin, and albiflorin from Paeonia lactiflora extracts was perform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an ultraviolet (UV) detector, follow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A reverse-phase column was used in a gradient elution system, and UV detection was performed at 280 n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quantity of paeoniflorin was the highest in ethanol and water extracts (73.89 and 57.87 mg/g, respectively) among the six compounds. This study contributes a good analysis method for the contents of P. lactiflora and would be propitious for developing medicines and functional foods.

수 종의 한국자생식물과 귀화식물 추출액이 토양미생물에 미치는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everal Native and Exotic Plants in Korea)

  • 김용옥;이은주;이호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5호
    • /
    • pp.353-357
    • /
    • 2000
  • 수 종의 한국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서식지 토양 pH를 측정한 결과 자생식물의 토양 pH범위는 5.33∼7.20인 반면 귀화식물의 토양 pH는 3.95∼6.10으로 자생종에 비하여 귀화종의 토양 pH가 낮았다. 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에탄올 추출액이 토양미생물인 Bacillus sphiaericus 2362, Bacillus thuringiensis var. subtilis, Bacillus thuringiensis var. cereus, Actinomycetes에 미치는 항균활성 은 자생식물보다 귀화식물이 전반적으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돼지풀의 추출액은 4개의 균주 모두에서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고 특히 방선균에서 clear zone 이 48mm로 가장 크게 형성되었다. 8종류의 phenolic compound와 benzoic acid의 항균활성은 caffeic acid가 각 균주 에서 clear zone을 가장 크게 형성하였고 다음은 benzoic acid, ρ-coumaric acid의 순이였다. 즉 방선균에 대한 돼지풀의 항균활성은 phenolic compound들 간의 상승효과에 의하여 형성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벤조산 유도체와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의 복합체 형성반응에 의한 초음파 완화 (Ultrasonic relaxation associated with the complex formation of benzoic acid derivative and β-cyclodextrin)

  • 박신;배종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87-393
    • /
    • 2017
  • 베타 사이클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 ${\beta}$-CD)(호스트)과 벤조산 유도체(게스트)의 수용액에 대하여 $25^{\circ}C$, 광대역 주파수영역(0.2 MHz ~ 50 MHz)에서 초음파 흡수계수를 측정하여 호스트와 게스트의 복합체 형성반응의 속도론적 연구를 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1 MHz이하의 초음파 흡수측정이 중요하다. ${\beta}$-CD와 벤조산 유도체의 상호작용에 의한 초음파 완화는 수 MHz영역에서 단일 완화현상의 전형적인 스펙트럼을 보였다. 단일완화현상의 원인은 ${\beta}$-CD와 벤조산 유도체의 복합체 형성반응에 의한 화학평행의 혼란상태에 의한것으로 해석하였다. 게스트 농도에 따른 완화주파수의 의존성으로부터 붕괴 속도상수($k_b=7.48{\times}10^6M^{-1}s^{-1}$), 평형상수($K=68.6M^{-1}$)를 결정하였다. 그리고 파장당 최대흡수치의 의존성으로부터 반응에 의한 표준체적변화(${\Delta}V=10.6{\times}10^{-6}m^3mol^{-1}$)를 구하였다. 또한 게스트 분자의 소수성 그룹이 복합체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았다.

국내산 프로폴리스의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ropolis)

  • 이수원;김희재;황보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83-388
    • /
    • 2001
  • 본 연구는 국내산 프로폴리스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예천과 영월 프로폴리스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화분, 그리고 탄수화물의 함량은 각각 3.25와 3.97, 9.82와 7.04, 48.25와 50.7, 3.91과 5.89, 그리고 34.77과 32.4%였다. 미네랄에서 Se은 검출이 되지 않았으며, P, Ca 및 Cu은 영월 프로폴리스가 184.15, 128.32, 1.77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예천산은 1130.6ppm, 그리고 영월산은 1049.1ppm이었다. 지방산 중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예천 프로폴리스가 47.6 및 70.0mg/100g이었으며, 영월 프로폴리스는 37.3과 47.0mg/100g이었다.

  • PDF

목단피로부터 항균활성 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Antimicrobial Components from Moutan Cortex)

  • 권오근;김성환;천병열;박채규;손건호
    • 생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40-344
    • /
    • 1999
  • To evaluate antimicrobial activity of Moutan cortex the compounds isolated from $CHCl_3$ and EtOAc fractions of Moutan cortex were subjected to eight pathogenic strains. Benzoic acid, witch was identified from the $CHCl_3$ fraction, had MICs with $625{\sim}1,250\;{\mu}g/ml$ against all of the strains tested. Methyl gallate, p-hydroxy benzoic acid, gallic acid and $1,2,3,4,6-penta-O-gallyol-{\beta}-D-glucose$, which were identified from the EtOAc fraction,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the methyl gallate had the widest antimicrobial activity with MICs of $625{\sim}5,000\;{\mu}g/ml$ against all strains tested. p-Hydroxy benzoic acid showed MICs of $1,250{\sim}2,500\;{\mu}g/ml$ against all of the strains tested except C.albicans. Gallic acid had the best antimicrobial activities with MICs against the Shigella dysenteriae and Streptococcus mutans-strains of 78.1 and $312.5\;{\mu}g/ml$, respectively, but not against the C. albicans. And $1,2,3,4,6-penta-O-gallyol-{\beta}-D-glucose$ had the best antimicrobial activitie with MICs against the B. cereus, Staph. epidermidis and C. albicans strains of 39.1, 39.1 and $156.3\;{\mu}g/ml$, respectively, but not against the E. coli and Shig. Dysenteriae.

  • PDF

작약 식물체 부위별 성분 함량 변이 (Variation of Bioactive Component Contents in Plant Parts of Paeonia lactiflora Pall.)

  • 정명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92-398
    • /
    • 2002
  • 4년생 의성작약을 재료로 하여 작약의 주 이용부위인 약근 외에 뇌두, 줄기, 잎과 같은 작약 식물체 각 부위로 시료를 구분하고, 또한 작약근의 경우 관행적 법제시 박피를 통해 제거되는 코르크층과 코르크층의 유 무에 따라 유피근 및 거피근으로 구분하여 각 시료에 함유된 작약 주요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 분포를 검토한 결과 작약 식물체 부위별 paeoniflorin, albiflorin 및 phenolic compounds의 각 함량은 뇌두가 뿌리보다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기능성 물질로 평가되는 gallic acld 및 benzoic acid는 작약의 잎과 줄기에도 상당히 많은 양이 존재하였고, 특히 잎에는 paeoniflorln도 약 2.3%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번식용으로만 이용되어온 작약의 뇌두도 약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작약의 잎 및 줄기도 gallic acid 및 그 유도체들의 source가 될 수 있으므로 이들 부위의 이용성도 체계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작약근에 함유된 유용 생리활성 성분들은 목부와 껍질부위의 코르크층에 함께 존재하였다 특히 albiflorin, gallic acid, benzoic acid 및 (-)-epicatechin 성분은 코르크층에 많이 존재하였고, 목부에 더 많은 양이 존재하는 성분은 paeoniflorin, (+)-taxifolin $3-O-{\beta}-D-glucopyranoside$ 및 (+)-catechin이었다. 결국 작약근 이용시 코르크층을 벗기면 albiflorin을 포함한 유용성분의 손실이 발생되고, phenol 성 물질의 분비로 외면의 갈변이 유도되므로 상품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작약근의 이용 시 거피를 하지 않는 것이 유용성분의 활용 면에서도 유리하고, 수치작업에 대한 노력이 감소되므로 경제적 측면에서도 유리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국인의 식이를 통한 보존료의 일일추정섭취량과 안전성평가 (Assessment of Estimated Daily Intakes of Preservatives in the Korean Population)

  • 최성희;이지연;박은영;원준;홍기형;문귀임;김민식;홍진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03-509
    • /
    • 2008
  • 국내 사용빈도가 높은 소르빈산류, 안식향산류,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터류의 일일추정섭취량을 평가하였다. 식품별 보존료 농도와 국민건강 영양조사의 성별, 연령별 식품섭취자료와 체중을 이용하여 일일추정섭취량을 산출하였고, 이를 JECFA에서 제시한 ADI와 비교 검토하여 안전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분석된 보존료의 일일추정섭취량은 소르빈산류 495.85 ${\mu}g$/kg bw/day, 안식향산류 215.34 ${\mu}g$/kg bw/day,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터류 5.01 ${\mu}g$/kg bw/day로 산출되었으며, ADI 대비 각각 2, 4.3, 0.1%로 섭취 수준은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위섭취자(90th)의 일일추정 섭취량은 소르빈산류 1,012.06 ${\mu}g$/kg bw/day, 안식향산류 229.56 ${\mu}g$/kg bw/day,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터류 11.58 ${\mu}g$/kg bw/day로 산출되었으며 ADI 대비 4.1, 4.6, 0.1%로 안전한 섭취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안식향산류의 경우 남자가 여자보다 많이 섭취하였으나 소르빈산류와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터류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소르빈산류, 안식향산류, 파라옥시안식향산류의 일일추정섭취량은 모든 연령에서 안전한 섭취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열분해-GC에 의한 면/폴리에스터 혼방 직물의 분석 (Analysis of Cotton/Polyester Fabrics using Pyrolysis Gas Chromatograpy)

  • 조미숙;김명덕;박성우;윤기준;남재도;이종훈;이영관
    • 폴리머
    • /
    • 제27권3호
    • /
    • pp.271-274
    • /
    • 2003
  • 열분해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Py-GC)를 이용하여 섬유의 동일성과 함량을 조사하였다. 면사, 폴리에스터, 면과 폴리에스터 혼방사를 Py-GC를 이용하여 그 성분과 함량을 조사하였다. 면과 폴리에스터 성분은 각각의 특성 피이크를 나타내었으며, 특성 피이크의 면적은 각 성분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폴리에스터의 경우에 열분해로부터 생성되는 화합물의 성분을 질량 분광법을 이용하여 테레프탈산, 벤조산, 비닐 벤조산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미지의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면과 폴리에스터의 함량을 정량 분석할 수 있었다.

아조벤젠을 함유한 장쇄지방산과 폴리 비닐알코올간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한 폴리머의 광이성화 현상에 관한 연구 (Photoisomerization of Polymer by Esterification Reaction between Poly vinyl alcohol and Azobenzene-containing Long Chain Fatty Acids)

  • 박근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3-60
    • /
    • 1994
  • The Synthesis of azobenzene containing long chain fatty acid and poly vinyl alcohol by esterification reaction($C_{n}-Azo-PVA$) was optimized, starting from P-(P'-hydroxy phenyl azo)-benzoic acid and the product of reaction containing azobenzene chromophores was investigated by ultraviolet spectrophotometery in toluene solvent at room temperature. In addition, UV absorption spectra of Langmmuir Blodggett (LB) film deposited on quartz plate have been measured and the structure of these compounds were ascertained by means of Ultraviolet and FT-IR. Recrystallization of reaction product in the solvent results the experimental yield obtained about 22.27% P-(P'-octadecyloxy phenyl azo)-benzoic acid-poly vinyl alcohol. Long chain azobenzene derivative-poly vinyl alcohols are induced phtoisomerization by u, v, and visible light irradiation. The LB film of azobenzene containing long chain fatty acids($C_{18}-Azo-PVA$) are possible of being applied to functional molecular devices such as photomemory and light swit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