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zoate

검색결과 380건 처리시간 0.032초

Pseudomonas sp.에 의한Benzoate의 생분해 (Biodegradiation of Benzoate by Pseudomonas sp.)

  • 김교창;정준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65-170
    • /
    • 1996
  • The biodegradation of high concentration of benzoate by enrichment culture with Pseudomonas sp. was investigated. During 50 days continuous culture, average of removal rate of benzoate and COD were 90% and 83%, respectively. And the enzymatic activity of catechol 2,3-dioxygenase was determined in the continuous culture but not Catechol 1,2-dioxygenase. On the other hand, Pseudomonas sp in the culture was investigated with SEM and the result was revealed that the cell shape was more demage according concentration of benzoate.

  • PDF

감자괴경에서 Sodium Benzoate에 의한 Dopachrome형성 억제 패턴 (Inhibiting Pattern of Dopachrome Formation as Influenced by Sodium Benzoate in Raw Potato Tubers)

  • 문영숙;이미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2-236
    • /
    • 1985
  • Dopachrome형성에 미치는 sodium benzoate의 억제작용을 감자괴경조직을 마쇄하여 얻은 crude enzyme preparation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Dopachrome 형성의 억제정도는 sodium benzoate 농도를 증가시키고 기질(DOPA)의 농도를 감소시킴에 따라 증가하였다. pH 3-6 사이에서 억제정도는 매우 컸고 반면 pH 6 이상에서 dopachrome 형성은 급속히 증가하였다. 억제작용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다. 본 실험결과에서 sodium benzoate는 기질인 DOPA와 효소에 대하여 경쟁적으로 작용한다고 시사되었다.

  • PDF

Pseudomonas sp. 의한 Benzoate와 m-Toluate 혼합물의 생분해 (Biodegradation of Mixture of Benzoate and m-Toluate with Pseudomonas sp.)

  • 정준영;김교창;조재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2-357
    • /
    • 1998
  • 방향족 화합물의 기본을 이루고 있는 benzoate와 m-toluate 혼합물 분해를 위한 45일간의 배양 결과 benzoate와 m-toluate 최적 기질 혼합비는 benzoate(75%): m-toluate(25%)일 때 가장 높은 균 생장율과 COD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45일간의 배양 중 혼합기질의 농도가 2,000ppm으로 교체된 30일째의 benzoate와 m-toluate의 기질 분해율은 각각 94%와 79%였고 이때의 COD 제거율은 약 80%였다. 한편 효소 활성측정 결과 초기에 거의 검출되지 않았던 catechol 1,2-dioxygenase의 활성이 검출되어 m-toluate에 의해 본 균주의 효소 대사계가 유도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배양 중 기질 농도에 대한 본 균주의 형태변화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기질의 농도가 높을수록 균 형태가 변화된 것으로 볼 때 일정 농도 이상의 방향족 화합물에 대한 내성은 대사에 관련된 효소 활성에 기인할 뿐만 아니라 아니라 세포벽 또는 세포막의 특성에 기인할 수도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Responses of Pseudomonas sp. DJ-12 to Pollutant Stresses of Benzoate and 4-Chlorobenzoate

  • Ko, Yeon-Ja;Park, Sang-Ho;Park, Yong-Keun;Kim, Chi-K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422-428
    • /
    • 1999
  • Aromatic hydrocarbons can be utilized as carbon and energy sources by some microorganisms at lower concentrations. However, they can also act as stresses to these organisms at higher concentrations. Pseudomonas sp. DJ-12 is capable of degrading 0.5 mM concentration of benzoate and 4-chlorobenzoate (4CBA). In this study, the exposure of Pseudomonas sp. DJ-12 to the pollutant stresses of benzoate and 4CBA at various concentrations was comparatively studied for its cellular responses, including survival tolerance, degradability of the aromatics, and morphological changes. Pseudomonas sp. DJ-12 utilized 0.5 to 1.0mM benzoate and 4CBA as carbon and energy sources for growth. However, the organism could not degrade the aromatics at concentrations of 3 mM or higher, resulting in reduced cell viability due to the destruction of the cell envelopes. Pseudomonas sp. DJ-12 cells produced stress-shock proteins such as DnaK and GroEL when treated with benzoate and 4CBA at concentrations of 0.5mM, or higher as sublethal dosage; Yet, there were differing responses between the cells treated with either benzoate or 4CBA. 4CBA affected the degradability of the cells more critically than benzoate. The DnaK and GroEL stress-shock proteins were produced either by 1mM benzoate with 5 min treatment or by higher concentrations after 10min. The proteins were also induced by 0.5mM 4CBA, however, it needed at least 20min treatment or long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lorination of benzoate increased the recalcitrance of the pollutant aromatics and changed the conditions to lower concentrations and longer treatment times for the production of stress-shock proteins. of stress-shock proteins produced by the aromatics at sublethal concentrations functioned interactively between the aromatics for survival tolerance to lethal concentrations.

  • PDF

생산단계 비름 중 Emamectin benzoate의 잔류허용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 (PHRL) of Emamectin benzoate during Cultivation of Amaranth)

  • 김경진;김다솜;허성진;함헌주;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7-83
    • /
    • 2013
  • 본 연구는 소면적 재배 작물인 비름에 대한 emamectin benzoate의 수확 전 최종 농약 살포일로부터 수확일까지 농약 잔류량 감소추이를 파악하여, 생산단계 농산물의 농약 잔류 특성과 수확 예정일의 잔류량 예측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비름 재배 중 emamectin benzoate를 안전사용기준의 희석배수에 준하여 1회 및 7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 후, 0, 1, 2, 3, 5, 7, 10, 14일 총 8회의 시료를 채취하여, 약제의 잔류양상을 분석한 뒤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였다. 비름 중 emamectin benzoate는 acetonitrile로 추출하고 dichloromethane을 사용하여 분배하였으며, SPE kit (PSA, GCB, $MgSO_4$)로 정제한 후 LC-ESI/MS/MS로 분석하였다. 시험농약의 정량한계(LOQ)는 0.01 mg/kg이었고, 정량한계의 10배와 50배 수준으로 농약을 처리하여 수행한 결과 emamectin benzoate의 평균 회수율은 $B_{1a}$에 대해서 각각 $93.3{\pm}0.7%$$93.2{\pm}7.7%$였고, Blb에 대해서 각각 $106.6{\pm}1.9%$$80.5{\pm}6.6%$의 회수율을 보였다. 비름 중 emamectin benzoate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1회 및 2회 처리구에서 각각 2.0일, 1.7일이었으며, 시험농약의 잔류량을 바탕으로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을 추천한 결과 수확 10일 전에 0.84 mg/kg 이하이면, 수확 시에는 잔류농도가 MRL (0.05 mg/kg, 시금치(유사농산물 기준)) 수준 이하로 잔류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Stable Degradation of Benzoate by Klebsiella oxytoca C302 Immobilized in Alginate and Polyurethane

  • Kim, Jun-Ho;Jeong, Won-Hwa;T.B. Karegoudar;Kim, Chi-Kyung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7권6호
    • /
    • pp.347-351
    • /
    • 2002
  • Benzoate produced from the degradative pathways of various aromatic chemicals is generally recognized as a pollutant compound. However, various bacterial strains isolated as benzoate degraders have exhibited certain limits to their functions, including a loss of viability and degradability when cultivated in a broth medium for a longer time. Accordingly, immobilization techniques have been utilized to overcome such problems, and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use of alginate and polyurethane for immobilizing Klebsiella oxytoca C302 to extend its viability and degradability of benzoate. The organism was well encapsulated by both matrices and the immobilized cells showed a high stability as regards their viability and degradability of 2 mM benzoate in a MM2 broth medium during cultivation for longer than 60 h in a semicontinuous batch system.

Emamectin benzoate와 Pyridaben의 잔효성에 따른 담배가루이의 섭식행동 변화 (Changes of Feeding Behavior of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Correlated with the Residual Effect of Emamectin benzoate and Pyridaben)

  • 권윤희;양정오;오정훈;노두진;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97-402
    • /
    • 2008
  • Emamectin benzoate와 pyridaben에 대한 담배가루이의 잔효성과 섭식행동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EPG의 파형은 non-probe time과 phloem phase time과 같은 파형을 신호개시 후 3시간 동안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EPG 파형 중 non-probe time과 phloem phase time의 두 파형과 emamectin benzoate와 Pyridaben의 두 약제 간 잔효성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효성은 두 약제 모두 2일까지는 50%로 비슷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pyridaben보다 emamectin benzoate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EPG를 이용한 두 약제의 잔효성에 따른 구침을 찌른 시간과 체관부 섭식행동은 9일 이후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emamectin benzoate가 pyridaben보다 증가하는 속도가 빨랐다.

펜피록시메이트의 새로운 제조방법 (A convenient synthesis of Fenpyroximate)

  • 박현자;박노중;이기인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74-277
    • /
    • 2005
  • 살충제 펜피록시메이트는 4-hydroxyimino-5-phenoxypyrazole과 t-butyl 4-chloromethyl benzoate로부터 Williamson 합성을 통하여 합성되고 있다. 그러나 t-butyl benzoate 의 효과적인 합성방법은 여전히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t-butyl benzoate를 황산 촉매에서 t-butanol로부터 생성되는 isobutene을 사용하여 4-chloromethyl benzoic acid에 부가하여 합성하였다. 이 방법은 부산물의 생성없이 t-butyl 4-chloromethyl benzoate을 합성할 수 있어 기존에 보고된 방법보다 훨씬 용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펜피록시메이트를 대량으로 합성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Investigation of Sodium Benzoate and Potassium Sorbate Content and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Parameters of Fresh Kashar Cheeses

  • Gul, Osman;Dervisoglu, Muhammet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49-554
    • /
    • 2013
  • Food safety is important issue for consumers and recently the usage of food ingredients especially food preservatives are limited by regulations. However, some manufacturers use food preservatives instead of improving their hygienic production. Therefore, the levels of sodium benzoate and potassium sorbate of 147 vacuum packaged Kashar (fresh) cheese samples produced in Black Sea Region, Turkey were investigated and some microbiologic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Research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roduction of vacuumed Kashar cheese in Black Sea Region was not standardized for all production periods depending on the microbiological properties. Coliform and E. coli counts detected in the cheese samples showed that necessary hygienic conditions were not provided for Kashar cheese production. Staphylococcus aureus was not determined in the cheese samples. The sodium benzoate and potassium sorbate were analyzed by HPLC-DAD. Potassium sorbate levels (69.39 mg/kg) of Kashar cheese samples were determined to be lower than the maximum permitted concentration of Turkish Food Codex. Although the utilization of sodium benzoate is prohibited by the Codex, the average level of sodium benzoate of cheese samples was detected to be 68.63 mg/kg. Sodium benzoate can be naturally occurred in fresh cheese at concentrations of up to 50 mg/kg.

아메리카잎굴파리 (Liriomyza trifolii)에 대한 살충활성과 방제효과 (Activity and control effects of insecticides to American serpentine leafminer, Liriomyza trifolii(Diptera: Agromyzidae))

  • 김길하;이영수;박선영;박용석;김정화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6-5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33종의 살충제에 대한 아메리카잎굴파리 (Liriomyza trifolii)의 발육단계별 약제감수성을 조사하고, 약제를 선발하여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아메리카잎굴파리 알에 대해서는 spinosad가 70%의 살충률을 보인 것 외에 대부분의 약제들은 살충활성이 낮았다. 갓 부화한 유충에 대해서는 abamectin, cartap, emamectin benzoate, diflubenzuron + chlorpyrifos, milbemectin이 90%이상의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유충 ($2{\sim}3$령)에 대해서는 abamectin, cartap, cyromazine, emamectin benzoate, diflubenzuron +chlorpyrifos가 95% 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번데기에 대해서는 cartap + buprofezin이 98.6%의 놀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고, 성충에 대해서는 모든 약제가 70% 이하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알에 대해서 emamectin benzoate와 milbemectin은 각각 53.3, 47.9%로 중간정도의 엽면침투이행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약제들은 낮았다. 유충과 성충에 대한 침투이행효과는 시험한 6약제 모두 30% 이하이었다.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milbemectin의 잔효성은 약제처리 후 10일째까지 각각 91.4, 90.4, 91.9%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4일째에도 85%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냈다. 방제효과 시험에서 abamectin, cyromazine, emamectin benzoate, milbemectin은 약제처리후 14일째까지 각각 96.0, 97.4, 94.5, 95.4%의 놀은 방제가를 나타냈다. Cartap과 cartap + buprofezin이 강남콩잎에 약해를 나타내었으나 그 외 약제들은 약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milbemectin은 아메리카잎굴파리의 방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