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thic Macroinvertebrates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5초

계상구조물의 설치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the Habitats Ecosystem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by Construction of Torrential Structures)

  • 마호섭;강원석;원두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2호
    • /
    • pp.176-181
    • /
    • 2013
  • 산지계류에서 계상구조물의 설치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종 및 개체수의 변화에 따른 서식처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계상구조물의 종류 및 위치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종은 최소 16종에서 최대 40종 범위이며, 개체수는 최소 352 $inds./^2$에서 최대 4,333.3 $inds./m^2$ 범위로 나타났다. 돌바닥막이, 돌낙차공 및 콘크리트바닥막이와 같은 계상구조물의 설치는 계상의 안정을 주어 종적인 침식을 막고 유속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구조물 인접지점과 상류부 및 하류부에 수심이 깊고 단조로운 소와 폭호가 형성되어 있는 지점은 계류의 균일한 구조적인 연속성을 저해하고 미소서식처의 인위적 및 자연적인 교란으로 서식공간이 제한되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및 개체수가 줄어 생물 다양성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산지계류의 생태적 안정을 위하여 계획 단계에서부터 생물서식처의 훼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계상구조물이 설치될 위치 주변에 서식공간의 확보 등 적절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omparative Analyses of Community and Biological Indices based 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Streams using a Self-Organizing Map

  • Tang, Hong Qu;Bae, Mi-Jung;Chon, Tae-Soo;Song, Mi-Young;Park, Young-Seuk
    • 생태와환경
    • /
    • 제42권3호
    • /
    • pp.303-316
    • /
    • 2009
  •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collected from eight different streams in South Korea were analyzed to compare community and biological indices across different levels of water pollution. The Self-Organizing Map (SOM) was utilized to provide overview on association of the proposed indices. The sample sites were accordingly clustered according to the gradient of pollution on the SOM. While the general trends of the indices were commonly observable according to different levels of pollution, the detailed differences among the indices were also illustrated on the SOM. The conventional diversity and evenness indices tended to be high even though the water quality state was poor representing relatively weak gradient at polluted sites, while the index presenting the saprobic degree such as family biotic index showed the stronger gradient at the polluted area and was robust to present the gradient. Our results also confirmed the general characterization of two indices: The Shannon index is more strengthened by the number of species occurring at the sample sites, while the Simpson index is more influenced by the degree of evenness among the species. The patterning based on the SOM was efficient in comparatively characterizing the proposed indices to present ecological states and water quality.

자연형 하천 온천천의 물환경 특성 - 하천유지 용수 공급 전, 후 - (Characteristics of Aquatic Environment in Close-to-Nature Onchun Stream - Before and After the Flowing of the Nakdong River -)

  • 권동민;손정원;유은희;정재원;윤나나;황인정;권기원;빈재훈;최홍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831-838
    • /
    • 2007
  •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environment at urban streams in Korea, several river restoration projects have been initiated for past few years. This study evaluates the impact of diverting water application at the riverhead of Onchun stream through the monitoring program for several water quality and ecological parameters. Various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ecological item such as benthic macroinverterates has been investigated between 09/05 and 12/06. Analysis indicates that the application of diverting water from Nakdong river to Onchun stream distinctly improved several water quality parameters such as, PH, BOD, TN, TP and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Low flow augmentation also improve ecological indicies such as the diversity index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Generally speaking, releasing addition water from head water of Onchun stream improves various wate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제주도 주변 요승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연구 - 차귀도 조간대에 분포하는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 (Bioecological Study of the Upwelling Area Around Cheju Island - Community structure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at the Rocky Intertidal Zone of Chagwi-do, Cheju Island -)

  • 이정재;현재민;김종철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0
    • /
    • 1995
  • 1993년 7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제주도 차귀도 4개 지점 조간대의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와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귀도 조간대에 분포하는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9문, 17강, 35목, 75과, 146종이었다.2. 계절별 출현종수는 춘계에 124종, 하계 113종, 추계 99종, 동계에 86종이었다.3. 조간대 상부구역의 제1우점종은 좁쌀무늬총알고둥(N. exigua), 제2우점은 거북선(P. mitalla). (N.japonica),울타리고둥(M. labio), 중부구역은 배무래기(N. schrenkii), 밤고둥(C. argyrostoma lischkei), 울타리고둥, 깜장각시고둥(M. perplexa), 검은따개비(T. squamosa japonica)가 지점에 따라 제1, 제2우점종을 이루었다. 하부구역은 밤고둥, 검은따개비, 줄군부 (L. coreanica), 거북손, 굵은줄격판담치(S. virgatus)가 지점에 따라 우점하였으며, 상부구역 우점종의 군집우점지수는 매우 높았다.4. 조간대 하부구역의 종다양성은 상부구역이나 중부구역에 비하여 컸고 계절별 출현종수에 유의성이 있었으나 상부구역이나 중부구역에는 없었다.5. 종다양도지수와 균등도에는 상. 중. 하 구역별유의성은 없었고 풍부도에서는 상부구역에서 유의하였다.6. 제주 미기록종으로 부채넓적이끼벌레(D. su-bovoidea), 딱지조개(P. japonica), 목주림고둥(T. guerinii), 전촉수갯지렁이(A. validus), 바다거미(L. hilgendorfi)가 채집되었다.

  • PDF

중랑천의 수서동물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An Eclogical Study on the Aquatic Animals in Jungrang Stream of Seoul)

  • 배경석;박종태;조기찬;길혜경;신재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9-97
    • /
    • 1997
  • Most of urban streams in Korea have been changed channel forms and suffered from direct inflow of domestic sewage, etc. Therefore, maintenance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those ecosystem are hard.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life survival maintenance ability of the stream by community analysis of aquatic animals in typical urban stream (Jungrang stream) in Seoul. The aquatic animals were composed of 31 species, 18 families, 8 orders, 5 classes in 4 phyla. Seasonal species number showed big fluctuation between 8 species in Winter and 24 species in Autumn. Major dominant species in Jungrang stream were Tubificidae sp.1, Chironomidae sp.1, Chironomidae sp.2 and Physa acuta, and above endurance species for water pollution occupied very high dominance indices. But, Cercion hieroglyphicum, Ischnura asiatica, Rantra chinensis, Herochares striatus, Agabus japonicus in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a few individuals are appeared. Also, fry of Carassius auratus and Silurus asotus in fish are occurred. Therefore, we can be inferred on posibility of growth and spawning of above species in the stream. Jungrang stream has a small quantity of natural riffle areas, ponds and watergrass areas by channel form of water course. Aquatic animals in Jungrang stream has been suffered by reduction of self-purification reaction ability and have mass production of attached algae on the stream bed. For analysis of fluctuation of life survival maintenance ability in Jungrang stream, long-term survey is needed.

  • PDF

오산천 하천환경정비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ariations to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after river environment improvement in the Osan Stream)

  • 김재수;권용덕;김성환;김국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77-981
    • /
    • 2006
  • 본 연구는 오산천 하천환경정비로 인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2년 6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5개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7강 16목 38과 81종이었으며, 년도별로는 2002년에는 총 55종이 출현하였으나, 2004년에는 36종으로 종수가 급감하였다. ESB에 따른 군집의 생태점수는 2003년도에 45.4에서 2004년도에는 21.7로 낮아졌다가 2005년도에는 31.2로 높아졌다. 이는 하천환경정비공사로 일시적인 교란을 일으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종조성의 변화로는 상류부의 경우 환경정비공사 완료 후 생태계안정화와 추이대가 복원되면서 1급수 지표종인 플라나리아(Dugesia japonica)와 옆새우(Gammarus sp.)가 출현하여 다양한 군집을 형성하고 있었다. 하류의 경우는 군집의 종조성이 빈약하지만 공사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가면서 수서생물의 서식처가 안정화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에 영향을 주는 하상의 물리적 구조와 이와 연관된 유기물 퇴적층과 토사 퇴적층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하도특성에 맞는 안정된 군집구조가 형성될 수 있도록 대체서식처를 하천환경정비계획 수립 시 고려하여야 한다.

  • PDF

현지 조사를 통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수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by Field Survey)

  • 정순혁;김진홍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7-10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대상 하천인 경기도 가평천에 대해 상류역, 중류역, 하류역으로 3개의 조사지점을 선정하여 각각의 수심, 유속, 하상재질 (모래, 자갈, 호박돌 등)의 구성비, DO를 측정하여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처 환경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상 하천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하천 유형별 서식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시기별(2007년 9월, 10월, 2008년 3월, 4월)로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유속과 수심, 하상의 재료 등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에 따라 다른 종류의 무리들이 서식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헤엄치는 무리는 주로 유속에 의하여 그 서식영역이 결정되었고, 굴파는 무리는 하상재료가 모래나 점토인 곳을 선호하고 하상바닥이나 약간 위쪽에서 서식영역이 결정되었다. 기는 무리는 하상재료가 주로 자갈이나 호박돌인 곳을 선호하고 유속이 $0.05m/s{\sim}0.15m/s$에서 서식하였다. 붙는 무리는 하상재료가 조약돌이나 자갈인 곳을 선호하고 유속이 $0.07m/s{\sim}0.15m/s$에서 서식하였다.

  • PDF

흐름 메카니즘에 의한 깔따구의 분포(II) - 수치계산 - (The Distribution of Chironomids by flow Mechanisms - Numerical Computation -)

  • 이상호;이정민;김태원;박종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9-165
    • /
    • 2006
  • Numerical simulation of turbulence flow in a circulating channel was performed. The RNG $k-\varepsilon$ model and Reynolds stress model of the FLUENT was used for evaluating the flow mechanisms.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measured by a ADV (Acoustic Doppler Velocitmeter). The distribution of chironomids was analyzed by the computational results. They distributed at the region of lower velocities and lower turbulence intensity. In the case of a hemisphere structure being located on the straight section, chironomids lived i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area of the hemisphere. The secondary currents also affected the distribution of chironomids. In conclusion,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 techniques can be inexpensively applied for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서울 탄천의 수서동물 군집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An Ecological Study on the Aquatic Animal Community in Tan Stream, Seoul)

  • 배경석;구본관;한선규;신재영;박성배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8
    • /
    • 1997
  • The aquatic animals of Tan stream were composed of 46 species, 28 families, 11 orders, 6 classes in 4 phyla during the survey period of April, 1996 to December, 1996. They were composed of 31 species in aquatic insecta, 6 species in annelida, 3 species in mollusca, 1 species in crustacea, and 5 species in fishes, respectively. Major dominant species in Tan stream were Chironomidae sp.1, Chironomidae sp.2, Chironomidae sp.3, Tubufucidae sp.1, Physa acuta and hirudo niponica. Dominance indic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ranged highly from 95.74 to 100.00% at lower stream(site 4), but ranged 50.00 to 95.85% at site 1 through site 3. The aquatic animals ranged from 25 to 32 species at site 1 through site 3, but they were only 3 species at site 4 for survey period. Tan stream in the light of urban stream ecosystem has a little less riffle areas and hydrophyte areas by cementation of riparian area and channel type of water course. Therefore, the species of aquatic animals in Tan stream decreased because of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according to reduction of self-purifcation ability and loss of microhabitat according to reduction of hydrophyte areas and riparian areas. The tendency of decreasing species of aquatic animals appeared seriously at lower stream From drive licence test authority at Kangnam-ku, Seoul to conjunction point of the Han river.

  • PDF

사방공작물의 시공이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 및 섭식기능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bris Barrier on Community Structure and Functional Feeding Groups of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

  • 서준표;이헌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480-487
    • /
    • 2012
  • 본 연구는 산지계류에 시공한 사방공작물이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상시유수가 흐르는 양호한 수질환경을 가진 김천지역의 산지계류 1개소를 선정하였으며, 현장조사는 2009년 2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총 6회에 걸쳐 사방시설물 시공 전후를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은 시공 전 1차 조사에서 총 4문 4강 9목 22과 36종이 나타났으나, 시공 후 6차 조사에서 2문2강 7목 18과 30종으로 다소 감소하였다. E.P.T 분류군(종, 개체수)의 점유비율은 시공 전에는 하루살이목(50.0%, 85.0%), 날도래목(35.3%, 10.0%), 강도래목(14.8%, 5.0%)의 크기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공 후에는 날도래목(50.3%, 68.0%), 하루살이목(42.1%, 29.4%), 강도래목(7.5%, 2.7%)의 크기 순으로 변화하였다. 다양도지수, 풍부도지수, 균등도 지수, 우점도지수는 사방시설물 시공 직후 2차 조사에서 모두 나쁘게 나타났으나, 이후 시간이 경과될수록 각 지수들의 값이 다시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섭식기능군은 시공 전 GC군이 60.7%로 가장 높았고, 시공 후 SC(53.1%), FC(35.4%)군이 급증하였으며, 3차 조사부터 안정화 되어가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대부분의 사방공작물은 시공직후에 계류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약 18개월이 경과한 후에 점차 원래의 모습으로 안정화 되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