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havioural patter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개체 간 행동 양상 변이의 진화적 모델 (Evolutionary Model of Individual Behavioural Variations)

  • 박한선
    • 정신신체의학
    • /
    • 제27권1호
    • /
    • pp.1-12
    • /
    • 2019
  • 한 종에 속하는 개체의 행동 양상은 다양한 변이를 가진다. 같은 종 내에서 다른 행동적 표현형이 유지되는 현상은 진화적으로 적소 특화나 빈도의존성 선택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아니다. 특히 극단적인 행동 양상으로서의 정신병리가 높은 비율로 관찰되는 현상은 진화심리학의 난제 중 하나다. 행동 양상의 다양한 변이 및 정신병리를 진화적인 견지에서 접근하기 위한 몇 가지 틀이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체 간 행동 양상 변이에 관한 진화적 접근을 중심으로 동물 모델과 성격 요인모델, DSM-IV 다축 모델, FSD 모델, RDoC 모델 등을 간략하게 설명하고, 그 연구에 적용할 때 예상되는 장단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Behavioural Determinants for Obesity: A Cross-sectional Study Among Urban Adolescents in India

  • Rani, M. Anitha;Sathiyasekaran, B.W.C.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6권4호
    • /
    • pp.192-200
    • /
    • 2013
  • Objectives: To measure the prevalence of behavioural risk factors for obesity among urban adolescent school children in Chennai, India.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a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a World Health Organization-designed Global School-based Student Health Survey questionnaire (modified for India) among adolescent school children studying in 30 randomly selected secondary and higher secondary schools in Chennai city. 1842 adolescents studying in the VIII to XII standards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e study.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40.7% of the students ate fruit one or more times per day and 74.5% of the students ate vegetables one or more times per day. Nearly 20% of the students ate fast food items on 4 to 7 days during the previous week. Among the students, 30.4% watched television for more than two hours per day. Nearly 68% of the girls and 22% of the boys did not participate in outdoor sports activities. When the pattern of physical activity of the students was assessed, it was observed that 15.6% were inactive, 43.4% were minimally active, and the remaining 41.0% belonged to the category of health enhancing physical activity. Among the students, 6.2% were overweight and 5.2% were obese.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risk factors for obesity was quite high among the adolescents. This study also showed that a great proportion of overweight/obese adolescents had a correct perception of their body weight and they were making efforts to modify risk factors such as television viewing, computer use, a sedentary lifestyle, and unhealthy dietary habits.

Artificial Intelligence Inspired Intelligent Trust Based Routing Algorithm for IoT

  • Kajol Rana;Ajay Vikram Singh;P. Vijay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1호
    • /
    • pp.149-161
    • /
    • 2023
  • Internet of Things (IoT) is a relatively new concept that has gained immense popularity in a short period of time due to its wide applicability in making human life more convenient and automated. As an illustration: the development of smart homes, smart cities, etc. However, it is also accompanied by a substantial number of risks and flaws. IoT makes use of low-powered devices, so secure, less time-consuming and energy-intensive transmission (routing) of messages due to the limited availability of energy is one of the many and most significant concerns for IoT developers. The following paper presents a trust-based routing scenario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that exploits the past transmission record from the cupcarbon simulator's log files.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used to quantify knowledge of trust, calculate the value of trust, and share this information with other network devices. As a human behavioural pattern, trust provides a superior method for making routing decisions. If there is a tie in the trust values and no other path is available, the remaining battery power is used to break the tie and make a forwarding decision; this is also seen as a more efficient use of the available resources. The proposed algorithm is observed to have superior energy consumption and routing decisions compared to conventional routing algorithms, and it improves the communication pattern.

Studies on Neuropharmacological Effects of Clitoria ternatea Linn. Root Extract in Rats and Mice

  • Boominathan, R.;Devi, B.Parimaladevi;Mandal, Subhash.C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9권4호
    • /
    • pp.260-263
    • /
    • 2003
  • Ethanol extract of the root of Clitoria ternatea Linn (CTEE) was evaluated for different neuropharmacological actions, such as general behaviour, exploratory behaviour, muscle relaxant activity and phenobarbitone induced sleeping time, in rats and mice. The extract was found to cause reduction in spontaneous activity, decrease in exploratory behavioural pattern by the head dip and Y- maze test, reduction in the muscle relaxant by rotarod, $30^{\circ}C$ inclined screen and traction tests. In addition CTEE significantly potentiated the phenobarbitone-induced sleeping time. Preliminary tests indicate that the ethanol extract of Clitoria ternatea Linn. At the doses of 100 and 150 mg/kg showed significant neuropharmacological activity.

GIS기법을 활용한 은행입지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강남구를 사례로 하여 (An Application of GIS Technique to Analyze the Location of Bank Branch Offices : The case of Kangnam-Gu , Seoul)

  • 이희연;김은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11-26
    • /
    • 1997
  • 본 논문은 제2의 금융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는 강남구를 사례로 GIS 기법을 활용하여 은행점포의 입지를 분석하였다. 금융자율화 이후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은행점포의 수는 상당한 지역적인 편재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은행 입지에 영향을 주는 입지요인을 추출하였고, 은행이용 고객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은행점포의 상권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GIS기법을 활용하여 입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은행이용고객들에게 최적의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는 목적함수를 토대로한 입지-배분 모델을 적용하여 추출된 입지와 현재의 은행점포의 입지를 비교하였다. 또한 그리드 연산 기법을 활용하여 잠재 수요력과 잠재 공급력의 차이를 통해 앞으로 은행점포의 신규 설립이 가능한 지구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GIS기법을 활용하여 입지분석을 실시하는 경우 제한점과 앞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에 대해 논하였다.

  • PDF

사용자 행동 분석 프레임워크 제안 (A Suggestion of User Behavior analysis Framework)

  • 김혜린;이민주;박승호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203-217
    • /
    • 2017
  • 본 연구는 언어학적 해석 기반의 사용자 중심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그 가치를 증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로 제안된 사용자 행동 분석 프레임워크는 문장구조와 그 성분들 간의 통사구조가 사용자의 상황과 행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논리적 근간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행동과 사용자 콘텍스트에 대해 미시적 관점으로 정의와 분류를 진행하였다. 또한 사용자 행동이 목적 지향적 특성의 패턴구조가 있음을 파악하고 이를 전제로 하는 사용자 행동 시퀀스를 구성했다. 다음으로 사용자 행동과 사용자 태도, 사용자 콘텍스트 간의 관계와 의의를 정의하여 사용자 행동 분석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프레임워크의 검증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경험을 수집하고 프레임워크에 항목화를 실시한 사례연구를 진행하고 프레임워크의 연구적, 실무적 효용가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현업 실무자들에게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프레임워크가 가진 정성, 정량적 분석 틀로서의 가치를 증명하였고 향후 개발방향을 수립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