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초

암생존자를 위한 심리교육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for Cancer Survivo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박진희;배선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43-16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of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for cancer survivors. Methods: Ten databases were searched. Two reviewers independently performed the selection of the studies, data extraction and assessment. The risk of bias was assessed using Cochrane Collaboration's tool. To estimate the effect size, meta-analysis of the studies was performed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and RevMan programs. Results: Of 18,781 publications identified, 35 met inclusion criteria, and 25 studies were used to estimate effect size of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Effect sizes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were heterogeneous and random effects models were used in the analyses.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was effective for quality of life (n=2,410, ES=0.23; 95% CI: 0.09~0.37), coping and self-efficacy (n=179, ES=0.68; 95% CI: 0.26~1.11), anxiety (n=1,786, ES=-0.26; 95% CI: -0.37~-0.15), depression (n=1,910, ES=-0.28; 95% CI: -0.37~-0.18), and psychological distress (n=2,242, ES=-0.31; 95% CI: -0.46~-0.17). Subgroup analysis showed that counseling was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for quality of life, and behavioral therapy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all positive and negative outcomes. Publication bias was not detected except for psychological distress. Conclusion: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appears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coping and self-efficacy, and it is effective in reducing psychological symptoms in cancer survivors. Behavioral therapy, especially, is commonly effective in improving psychosocial outcomes. However, low-quality evidence, variability in the designs of existing studies, and publication bias suggest that additional high-quality trial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패션테라피 효과 유지에 대한 질적 접근 (Qualitative Approach to Maintaining the Effect of Fashion Therapy)

  • 이새은;이유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11-326
    • /
    • 2019
  •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 of fashion therapy have been conducted with psychiatric patients; however,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in fashion therapy for women with non-pathological problems. Previous studies did show if the effect of fashion therapy could be maintained continuously; therefore, we intend to examine the existence of the long-term effects of fashion therapy in an empirical manner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social and public interest.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approach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ashion therapy with the following results. Low self-esteem, negative emotions, and rigid thinking symptoms appeared by numerous stress factors, and various changes were made through fashion therapy. Emotional changes such as positive emotions and feeling of achievement, and psychological changes including self-concept formation, change of sight and self-esteem improvement appeared. Sociological and behavioral changes were also identified. We found the maintained and long term effects of fashion therapy; therefore, study provides academic implications to reconsider the social value of fashion.

외상성 뇌손상 아동의 신경정신과적 후유증 평가 (NEUROPSYCHIATRIC SEQUELAE AND ITS EVALU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 김혜경;방형석;박광수;왕미란;민성호;박기창;안정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2호
    • /
    • pp.212-219
    • /
    • 1999
  • 본 연구는 뇌손상 아동의 후유증을 조사하고, 이 증상에 손상요인, 치료요인, 환경요인이 관련되어 있는 지와, 후유증을 평가하는데 일반적인 심리검사가 적절한지를 규명함으로써 뇌손상 아동의 후유증 치료, 예방 및 평가에 관한 임상적 지침을 얻고자하였다. 연세대학교 원주기독병원 응급의학과와 신경외과에서 뇌손상에 관한 치료를 받고 최소한 6개월이 지난 후 정신과에 신경정신과적 평가가 의뢰된 47명의 아동(연령 $5{\sim}14$세)을 대상으로 후유증을 네 범주로 나누어 조사했다. 초기 GCS 점수, 동반손상, 치료방법, 입원일수를 조사하고, EEG, MRI, 지능검사, 심리검사를 시행한 후 통계처리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지증상이 행동증상, 정서증상, 신체증상보다 많았으며, 이들 증상의 빈도는 경도집단과 중등도-중증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2) 인지증상은 두부수술을 받지 않은 아동이 더 많이 호소하였다(p<0.01). 3) 행동증상은 뇌손상 당시의 연령이 낮은 아동과(p<0.05), 투약한 아동에서(p<0.05) 더 많이 호소되었다. 4) 정서증상은 동반손상이 있는 아동이 더 많이 호소하였다(p<0.05). 5) 신체증상은 약물치료를 받지 않은 아동에서(p<0.05), 지능지수가 높을수록(p<0.05) 많았다. 6) GCS 점수가 낮을수록 지능지수가 낮았다(p<0.05). 인지증상을 호소한 총 42명 중 25명에서 심리검사상 인지장애가 확인되었다. 이들은 다른 아동에 비해 입원일수가 길었다(p<0.05). 7) 정서증상을 호소한 총 25명 아동 중 심리검사를 통하여 정서장애가 확인된 아동은 22명이었다. 이들은 다른 아동에 비해 인지증상이 더 많았다(p<0.05).

  • PDF

아동·청소년기 여학생의 가정 및 학교 폭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혼합모형을 이용한 종단자료 분석 (How depression affects girls who experienced violence in home or at school: Using mixed model)

  • 민대기;최미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1호
    • /
    • pp.101-110
    • /
    • 2016
  • 우울은 스트레스의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신체적 증상과 더불어, 근심, 침울함, 실패감, 무력감과 같은 심리적 증상을 나타내는 정신적 상태로, 우울의 경험 정도에 따라 개인에게 인지, 정서, 그리고 행동장애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성장기에 경험하는 우울은 아동, 청소년들의 학업에 대한 집중력을 저하시키며, 폭력성 및 대인관계의 문제를 증가시켜 개인과 사회에 심각한 손실을 끼칠 수도 있다. 따라서 아동, 청소년들의 심리적 발달과정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적절한 대응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근거로 여학생들의 성장과정에서 겪는 가정과 학교에서의 폭력 피해 경험이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혼합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심리적 행동특성 및 스트레스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공분산구조분석에 의한 인과모델의 검증- (The Effect of Social Supports, Psychological Behaviors, and Stress on the Depression Symptoms of College Students -Validation of Casual Model using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박의수;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09-218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족의 사회적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 심리적 행동특성(자기존중감, 대인의존행동특성, 통제신념) 및 스트레스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의 남녀 대학생 546명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2015년 10월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우울수준은 가족의 사회적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 자기존중감 및 통제신념이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반면, 대인의존행동 특성과 스트레스가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우울수준은 가족의 사회적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 자기존중감 및 통제신념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대인의존행동특성 및 스트레스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스트레스원의 인지는 사회적 지지의 인지나 심리적 행동특성보다 우울수준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스트레스원의 인지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의 인지나 심리적 행동특성이 낮을수록 우울수준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는 대학생들의 우울수준은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행동특성이 낮고, 스트레스가 높을 경우 증가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으며, 특히 다른 요인들보다 스트레스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우울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경험하는 주요 스트레스원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스트레스원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에서 행동심리증상과 호모시스테인과의 연관 (Correlation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and Homocysteine in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s Type)

  • 이지민;임우영;김현;이강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22권1호
    • /
    • pp.23-30
    • /
    • 2014
  • 연구목적 호모시스테인은 인지기능의 손상과 다양한 정신과 증상들과 연관되어 있다. 본 연구는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치매의 행동심리증상 사이에 연관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방법 DSM-IV에 의해 알쯔하이머형 치매로 진단된 환자 41명의 혈중 호모시스테인, 엽산, 비타민 $B_{12}$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병력청취, 신체검사와 간이정신상태기능검사(MMSE), 전반적 퇴화척도(GDS), 임상치매 평가척도(CDR), 한국형 신경정신행동검사(K-NPI)를 수행하였다. 결과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NPI 총 점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고 망상, 초조/공격성, 우울/불쾌, 들뜸/흥분과 같은 여러 하위항목과도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MMSE, GDS, CDR 점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치매의 행동심리증상과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이와 연관된 병태생리학적 기전을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주의력결핍과잉활동 장애의 평가 (ASSESSMENT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오경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권1호
    • /
    • pp.65-76
    • /
    • 1990
  • 주의력결핍-과잉활동장애(ADHH)는 그 행동적 특징이 정상아동들간에도 흔히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정상적 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과의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있어 증상의 심각도를 양적수치로 평가하는것과 아울러 함께 각 연령별 규준에 비추어 판단하는 객관적 평가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ADHD의 증상은 상황에 따라, 그리고 사회적 맥락에 따라 나타나는 양상이 크게 다를수도 있어 가능한한 다양한 상황에서의 행동을 여러 평가자로부터 평가받아 이를 통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부모 및 환아와의 면담, 각종 행동평가 척도, 행동의 관찰, 그리고 심리검사등 ADHD를 평가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척도들이 논의되었으며, 평가의 목적에 따라 적절한 도구를 선택하여 활용하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평가의 중요함이 강조되었다.

  • PDF

고형장기이식 환자의 정신건강: 이식의 시기별 이슈 (Mental Health Issues in Solid-Organ Transplant Recipients; Pre-, Peri-, and Post-Transplant Phases)

  • 정연진;강지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7-47
    • /
    • 2023
  • This review article explores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omorbid mental disorders, and psychosocial assessments throughout the solid organ transplant journey, spanning the pre-transplant, peri-transplant, and post-transplant phases for transplant recipients. The psychological burden and anxiety in the pre-transplant phase are high for organ failure patients with complex physical difficulties who are deciding to undergo transplantation and are on the waiting list. The pre-transplant psychosocial evaluation covers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patient's readiness, awareness of, and commitment to transplant treatment, medical compliance, psychopathological conditions such as cognitive function and personality disorders, lifestyle factors, including substance abuse, as well as various psychosocial factors like social support. During the peri-transplant phase, mental health problems such as postoperative delirium should be carefully recognized and addressed. After transplantation, it is essential to assist patients in coping with the various stressful experiences they encounter, manage psychiatric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insomnia, and improve treatment adherence and quality of life during long-term care for the transplanted organ. Managing psychiatric problems in post-transplant patients requires a deep understanding of immunosuppressant medications and a keen awareness of associated risks, including adverse effects and potential drug interactions. This comprehensive review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proactive mental health care and psychosocial evaluation,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nd overall success of transplant patients throughout all phases of transplantation.

COVID-19 감염 후 알츠하이머 치매증상의 악화에 대한 억간산 가미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Worsening Alzheimer's Disease Symptoms after COVID-19 Infection That Were Treated with Yigan-san-gami)

  • 이효정;권선우;권이재;손정민;박충현;이지윤;이정은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9-158
    • /
    • 2024
  • Introduction: In this case report, we describe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Yigan-san-gami in improving symptoms in a patient with worsening Alzheimer's dementia after COVID-19 infection. Case presentation: Symptoms of dementia worsened in a patient with Alzheimer's disease after COVID-19 infection. Western medicines were added following neurological consultation. However, there was no medicinal effect.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Yigan-san-gami) three times a day. We used daily charts,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2 (K-MMSE-2),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and Short Version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 to assess the patient's symptoms. Cognitive decline an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improved following the treatment with Yigan-san-gami.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Yigan-san-gami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symptoms of Alzheimer's disease that worsen after COVID-19 infection.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태도, 치매행동심리증상 부담감, 간호전문직관이 치매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mentia Attitude, Burden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 in Dementia(BPSD),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Dementia Nursing Performance among Long-term Care Hospitals Nurses)

  • 강다해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301-309
    • /
    • 2020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태도, 치매행동심리증상 부담감, 간호전문직관의 관계를 파악하고, 치매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요양병원 간호사 161명을 대상으로 2019년 11월 4일부터 12월 13일까지 시행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하였다. 치매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치매태도(β=.280, p=.001), 간호전문직관(β=.237, p=.006), 치매행동심리증상 부담감(β=-.175, p=.012), 치매교육경험(β=.166, p=.014)이었다. 따라서 요양병원간호사의 치매간호수행도 향상을 위해서는 긍정적인 치매태도와 간호전문직관의 확립, 치매행동심리증상 부담감 감소를 위해 다양한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치매교육의 적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