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dding condition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6초

이부자리의 보온력에 관한 연구(II) -이불의 보온력 - (Studies on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Bedding (II) -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Quilt -)

  • 이송자;성수광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9-355
    • /
    • 1992
  • Comfortable sleeping largely depends on human mental state, physical condition, the temper. ature and humidity in bedrooms, and qualities of quilt and bedcover. Of the qualities of quilt, thermal insulation effect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keeping bedroom in ample temperature and preventing human body from giving off heat. In the present study, which is a sequel study to research on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the real-size quilts with the following items of filling materials in them are designed to research on the variation of each item, and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weight variation in inner covers on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qui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oefficient between the weight of filling materials and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quilt is shown to be a significant $0.91\~0.97$. 2.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the quilts with in size of $0.5\;Kg/m^{2}$ is surveyed to be high in order down > polyester > cotton > wool. 3. The effect of the texture of inner covers on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quilt is shown to be ignorably low. 4. The weight of filling materials is shown to be in correlation with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quilts, and the estimated regression line has been obtained.

  • PDF

포화 사질토 뒷채움재의 비배수 동결에 의한 매설 강관의 거동 - 실대형 모형실험 연구 - (Effects of Freezing a Backfill Material under Undrained Condition on a Buried Pipe)

  • 강재모;이장근;김학승;이상윤;유병현;조남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8호
    • /
    • pp.39-47
    • /
    • 2014
  • 동절기에 지반에 매설된 상수도관은 지반의 동결 융해로 인해 과대한 지반 응력을 받게 되고, 이러한 현상이 겨울철 상수도관의 파괴 또는 변형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본 논문에서는 실 대형 모형실험을 통해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매설관 주변 지반 내 온도거동과 매설관의 변위 및 응력거동을 확인하였으며, 지반이 동결됨에 따라 매설관 주변에 응력이 집중되고 동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에 사용된 시료가 비동상성 시료인 사질토임에도 불구하고 함수비 조건과 배수조건에 따라 동상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본 논문을 통해 매설관의 배딩(bedding)과 뒷채움재를 비동상 시료로 치환하더라도, 주변 지반의 배수상태, 지하수위, 함수비 등에 따라 동상에 대한 별도의 대책을 세워야 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근접병설터널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모형실험 연구 (Scale Model Studies for Stability Estimation of Twin Tunnels with Small Clearance)

  • 김평기;김종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3권2호
    • /
    • pp.130-14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30^{\circ}$ 경사진 층리면을 가진 풍화암 물성의 이방성 암반에서 필러 폭이 0.5D와 0.25D로 매우 작은 근접병설터널을 시공할 경우에 대한 터널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터널간 이격거리와 지보조건이 서로 다른 6가지 모형을 제작하고 측압계수 1의 하중조건으로 축소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모형별 균열개시압력, 최대압력, 필러 및 터널의 변형거동을 조사하였으며, 복공지보와 필러보강 여부가 터널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필러 폭이 큰 모형일수록 균열개시압력이 더 크게 나타나 터널 안정성은 증가하였으며, 복공지보를 설치한 모형은 무지보 모형에 비해 균열개시압력와 최대압력이 더 크고 내공단면의 변형량은 적어 풍화암 근접병설터널에서 복공지보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복공지보와 더불어 필러보강을 실시한 모형은 다른 모형에 비해 터널 안정성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필러 폭 0.25D인 근접병설터널은 복공지보뿐 아니라 필러보강도 실시해야 터널 안정성이 확보됨을 알 수 있었다.

우사의 향방에 따른 사육장 바닥면의 조건이 비육말기 거세한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n Floor Condition Depending upon Housing Ori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Finishing Hanwoo Steers)

  • 김동균;정다운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7-46
    • /
    • 2004
  • 본 연구는 우사의 향방에 의한 사육장 바닥면의 조건이 육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목적으로 체중 570kg 내외의 거세한우 16두를 남, 북향 톱밥 자리깃 사육장에 각 8두씩 임의배치하고, 16주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한 후 증체율, 사료효율 및 도축성적을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투광성이 양호한 남향 사육장의 바닥면은 시험기간 중 표면의 건조 상태가 좋았으나 햇볕의 효과가 적은 북향 사육장은 결빙기 이전까지 다습하고 불규칙한 표면 상태를 나타내다가 결빙기에는 표면이 심하게 돌출 된 상태로 결빙되어 비육우의 휴식과 거동에 지장을 주었다. 남향 사육장과 북향 사육장에 수용된 거세우의 두당 일 평균 사료섭취량은 각각 10.39kg 및 10.32kg으로서 유의차가 없었으나 일당증체량은 각각 0.75kg과 0.64kg으로 나타나 표면 상태가 불량한 북향사육장이 14.3% 적었으며(p<0.05), 사료요구율은 각각 13.91 및 16.12로서 15.9%가 증가하였다(p<0.05). 또한 증체당 TDN 섭취량(TDN/gain)은 각각 11.47 및 13.25로 나타나 사료이용효율은 15.5%가량 저하되었다. 한편, 남쪽과 북쪽 사육장에서 사육된 거세우간의 출하체중, 도체중량, 도체율, 육량등급 및 육질의 통계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사육장의 위치로 인하여 바닥표면의 상태가 불량한 조건의 깔짚 축적식 우사에서 비육말기 거세우를 사육할 경우, 활동에너지 소비량의 증가와 휴식 시 접촉면을 통한 전도열의 손실요인이 발생하여 증체율 및 사료효율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는 점이 본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육우사육에서 축사의 방향 및 지붕자재 선정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PDF

겨울철 온돌난방에서의 이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dquilts During Sleeping on Ondol in Winter)

  • 권수애;이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91-299
    • /
    • 1993
  • In this study, bedclimate was investigated depending on three bedquilts used on ondol in winter. The environmental room condition and the ondol surface temperature were maintained $20{\pm}1^{\circ}C$, $50{\pm}3%R$. H and $30{\pm}1^{\circ}C$, respectively. The materials of the experimental quilts we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 weights of cotton filler were 1.5, 3.0, and 4.5kg for the bedquilts. Two healthy young women were subjected for seven hour's sleep with two replications for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ange of temperature under the mattress was higher($38.5{\sim}43.2^{\circ}C$) than that of the temperature on the mattress($32.4{\sim}37.0^{\circ}C$) or that of the temperature inside the bedquilts($30.2{\sim}34.5^{\circ}C$). The humidity inside the bedquilts was 40~73%R.H. 2) The range of bedclimate which subjects feel comfortable were $33.6{\sim}37.1^{\circ}C$ on the mattress, $30.2{\sim}33.6^{\circ}C$, 42~67%R.H. inside the bedquilts. At this range, the mean skin temperature of the subjects was was $34.7{\sim}35.6^{\circ}C$. 3) When there was heating, the weight of mattress increased due to evaporation by heat from below, while wehght of other bedding increased. 4) The lower limbs are noted to be a good representative for the prediction of the skin temperature during sleep. 5) The thicker the bedquilt, the warmer and more humid the bedquilt, which induce frequent body movement during sleep, hence inferior comfort properties of bedquilts.

  • PDF

블록포장의 공용성 평가 및 품질기준개선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Stand ard of Block Pavements)

  • 정종석;박용부;이경희;황창규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15-12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단지 내 아파트 블록포장 50곳의 현장조사를 통하여 주요 파손형태를 조사하여 공용성을 평가하였다. 공용성 평가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지역에서 9년의 공용연수를 가진 블록포장의 유지관리지수는 7.9에서 8.9사이이며, 블록포장의 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설교통부 '보도설치 및 관리지침'에 10년으로 제시된 보도의 교체주기는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블록포장의 공용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일본블록포장협회에서 제시한 유지관리 기준과 건설교통부 '보도설치 및 관리지침'의 유지관리기준을 조합하여 국내 현실에 적합한 유지관리기준을 제시하였다. 외국과 비고할 때 국내의 블록포장의 기준에는 내구성 관련기준과 줄눈채움재 및 모래안정층의 품질관리 기준이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블록포장의 기대수명과 유지관리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기준을 비교하여 이러한 기준들을 국내기준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 PDF

여름철 온돌에서 취침시 이불종류에 따른 침상기후와 인체반응 연구 (A Study on Bedclimate, Physiological Responces and Subjective Sensations of Bedquilts During Sleeping on Ondol in Summer)

  • 권수애;이순원;최정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85-298
    • /
    • 1992
  • In this study, bedclimate was investigated depending on various bedquilts used oin ondol in summer. The environmental room condition was maintained at 26: $1^{\circ}C,\;75{\pm}3\%$ R.H., while the ondol surface was kept at $25{\pm}1^{\circ}C$ without heating. The types of bedquilts were hemp, cotton, quilt made of polyester padding with polyester/cotton cover. Two healthy young women were subjected for seven hours' sleep with two replications for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ange of the temperature under the mattress ($25.2\~32.4^{\circ}C$) was lower than that of the temperature on the mattress ($28.8\~35.5^{\circ}C$), or that of the temperature inside the bedquilts ($30.3\~34.4^{\circ}C$). The humidity inside the bedquilts increased during sleeping, and the range of R.H. was $58\~80\%$. 2) The ranges of bedclimate which subjects feel comfortable were $30.5\~33.8^{\circ}C$ on the mattress, $31.0\~34.9^{\circ}C$, $61\~74\%$ R.H. inside the bedquilts. At this range, the mean skin temper-ature of the subjects was $34.3^{\circ}C\~35.2^{\circ}C$. 3) When there was no heating, the weight of the bedding increased during sleeping, and the weight increase was largest in the case of mattress. 4)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the skin temperature of three points of the body (abdomen, thigh, foot) and the temperature and R.H. inside the bedquilt. 5) The effect of the type of bedquilts on the microclimate and physiolosical responses were significant. 6) Generally, when there was no heating, the body heat was transferred to the ondol floor, in summer, heat was transferred mostly through the mattress.

  • PDF

식생매트가 국화 'Ford'의 발근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Mat-Types on the Rooting and Growth in Dendranthema grandiflorum 'Ford')

  • 남유경;이진희;정기령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1-345
    • /
    • 2011
  • 이 연구는 화단용 국화의 식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기존에 개발된 식생매트에 삽수를 이용하여 최적의 매트조건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8가지 처리 조건의 매트에 Dendranthema grandiflorum 'Ford'를 삽목하고 난 후 50일 후 생육을 조사한 결과, 매트 내 뿌리 분포는 10mm 두께의 중간에 배양토를 삽입한 coir net(C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초장과 지상부 생체중도 각각 29cm, 5.6g으로 동일 조건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뿌리가 형성된 매트를 포장에 정식 40일 후 초장은 12mm 두께의 중간에 배양토를 삽입한 Jute net가 가장 좋았으나, 지상부 생체중은 C 처리와 차이가 없었다. 매트 내 뿌리 형성과 정식 후 삽수 길이별 생육은 길이 5cm인 삽수가 3과 8cm인 것 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Supplementary Blue and Red Radiation at Sunrise and Sunset Influences Growth of Ageratum, African Marigold, and Salvia Plants

  • Heo, Jeong-Wook;Lee, Yong-Beom;Bang, Hea-Son;Hong, Seung-Gil;Kang, Kee-Ky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82-389
    • /
    • 2011
  • BACKGROUND: Light-emitting diodes (LEDs) with lower electric cost and the specific wavelength have been considering as a novel light source for plant production in greenhouse conditions as well as in a closed culture system. Supplementary lighting for day-length extension was considered as light intensity, light quality, and/or photoperiod control o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Effects of supplementary blue or red LED radiation with lower light intensity on growth of Ageratum (Ageratum houstonianum Mill., cv. Blue Field), African marigold (Tagetes erecta L., cv. Orange Boy), and Salvia (Salvia splendens F. Sello ex Ruem & Schult., cv. Red Vista) were discussed during sunrise and sunset twilight in the experiment. METHODS AND RESULTS: Supplementary lighting by blue and red LEDs for 30 (Treatment B30; R30) or 60 (Treatment B60; R60) min. per day were established in greenhouse conditions. Photosynthetic photon flux for supplementary radiation was kept at $15{\mu}mol\;m^{-2}\;s^{-1}$ on the culture bed. Natural condition without supplementary light was considered as a control. The highest shoot and root dry weights were shown in African marigold exposed by red light for 60 min. per day. Supplementary blue and red lighting regardless of the radiation time significantly stimulated development of lateral branches in African marigold. Stem growth in Ageratum and Salvia seedlings was significantly promoted by red radiation as well as natural light. CONCLUSIONS: Extending of the radiation time at sunrise and sunset twilight using LEDs stimulated reproductive growth of flowering plant species. Different characteristics on growth under supplementary blue or red lighting conditions were also observed in the seedlings during supplementary radiation.

Methylotrophic bacteria 접종이 작물 유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ylotrophic Bacteria in Seedling Development of Some Crops under Gnotobiotic Condition)

  • 홍인수;김준석;이민경;임우종;;;;한광현;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17-322
    • /
    • 2009
  • 농업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원예 및 채소작물의 건전 유묘 생산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growth pouch 실험을 통하여 6가지 식물생육촉진 미생물을 접종하여 작물의 초기 뿌리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본 실험에 사용한 6가지 균주는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 Methylobacterium phyllosphaerae CBMB27, Methylobacterium suomiense CBMB120, Methylobacterium strains CBMB12, CBMB15와 CBMB17이었다. 대조구와 비교했을 CBMB12, CBMB17, 및 CBMB20접종은 상추 초기 뿌리 생육에 유의성있는 효과를 보였고, CBMB102접종은 배추 초기 뿌리 생육에 유의성있는 효과를, CBMB27접종은 토마토의 초기 뿌리 생육에 유의성있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Methylobacterium suomiense CBMB120접종은 오이, 토마토, 배추, 그리고 Methylobacterium strain CBMB12접종은 고추의 뿌리 초기 생장을 크게 촉진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통하여 실험한 균주들을 각각의 작물 육묘 포트에 처리할 때에도 유묘의 생장속도를 촉진 시킬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