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d cultivation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4초

Effect of the Cultivation Technology on the Yield of Paddy Straw Mushroom (Volvariella volvacea)

  • Thi-Thuy-Hai Luu;Dang-Khoa Bui;Nga Huynh;Truc-Linh Le;Iain David Green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61-171
    • /
    • 2022
  • The edible paddy straw mushroom Volvariella volvacea (Bull. ex F.) Singer has high nutritional and medicinal values. They are grown on a wide variety of agricultural by-products using different several methods. The result of this present study showed that type of bed and cultivation condition (outdoor/indoor) had effects on the yield of paddy straw mushrooms grown on the spent oyster mushroom sawdust. The treatment of circular compact bed under indoor cultivation condition (CYIC) had the best yield and biological efficiency (B.E.) with 2,119.2 g/bed and 14.5%, respectively, followed by the treatment of conventional bed under outdoor cultivation condition (COOC) with the yield and B.E. of 1,935.5 g/bed and 13.2%, respectively, but the lowest yield and B.E. were observed in the treatment of conventional bed under indoor cultivation condition (COIC) with 1,226.1 g/bed and 8.4%, respectively. Paddy straw mushrooms cultivated on spent oyster mushroom sawdust should be proper in both outdoor and indoor conditions by conventional and circular compact methods as well. However, in indoor conditions, paddy straw mushrooms should be grown in a circular compact bed to ensure the temperature of the bed is suitable for the mushroom growth.

연 재배지를 활용한 자유수면형 인공습지의 수질정화효율 (Treatment of Pollutants in Free Water Surface Constructed Wetlands with Lotus (Nelumbo nucifera) Cultivation Pond)

  • 한명자;서동철;강세원;이용철;방석배;채정현;김갑순;박종환;장남익;허종수;조주식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4호
    • /
    • pp.232-238
    • /
    • 2010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efficiency of pollutants in free water surface constructed wetlands (FWS CWs) with lotus (Nelumbo nucifera) cultivation pond, the experiment was consisted of two sites (site I and II) in Lake Juam, Korea. The sites were configured a lotus cultivation pond (with fertilizer application) - a dropwort bed - a reed bed for site I, and a lotus cultivation pond (without fertilizer application) - a dropwort bed - a reed bed for site II. Removal rate of COD in site I and II were 13.3% and 26.0%, respectively. Removal rate of total nitrogen (TN) was 29.7% for site I, and 36.3% for site II. Removal rate of total phosphorus (TP) in site I and II were 36.0% and 36.5%, respectively. COD, TN and TP in effluent from site I (with fertilizer) was higher than that in site II (without fertilizer), showing that COD, TN and TP in effluent were strongly influenced by fertilizer addition. Therefore, in order to satisfy established water-quality standards, the amount of fertilizer used in lotus cultivation showed be evaluated.

느타리버섯 비닐멀칭재배법에 의한 노동력 감소 (Reduction of labor in oyster mushroom cultivation by vinyl mulching on mushroom bed)

  • 오세종;박정식;신평균;정종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2-43
    • /
    • 2004
  • Labor required for managing and harvesting the oyster mushroom bed was evaluated. Although vinyl mulching cultivation method needs more hours for spawning, it saves more than 50% of labor for harvesting and managing of the mushroom bed. Harvesting hour of 1st-3rd flush in vinyl mulching method was 48~50% for Plerutus ostreatus and 36~41% for P. sajor-caju. Labor for bed management after harvesting in vinyl mulching method was also 38~50% for P. ostreatus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 and 20~35% for P. sajor-caju. Vinyl mulching is believed to be a very efficient method for saving labor in oyster mushroom cultivation.

  • PDF

고온피해 경감을 위한 표고 원목재배사 모델개발 (Development of Cultivation Facility Models to Reduce High Temperature Damage in Oak Mushroom (Lentinula edodes) Cultivation Using Bed-logs)

  • 김원수;김선철;이병석;권혁우;고한규;박흥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19-126
    • /
    • 2016
  • 표고버섯 원목재배시 고온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임가실증지 5개소를 선정하였고, 기존 1중(비닐+차광)재배사의 내부 지붕에 2중으로 차광망을 추가 설치(개선형)하였다. 기존 재배사와 개선형 재배사 형태에 따른 내부 온습도, 균사 만연도 및 버섯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시설 내부 최고온도는 개선형 재배사가 기존 1중 재배사 보다 평균 약 $3{\sim}5^{\circ}C$정도 낮았으나, 평균습도는 그와 달리 기존 1중 재배사와 개선형 재배사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특히 기존형과 개선형 재배사 모두 임내 재배장보다 평균습도가 10% 정도 낮아 건조한 불량환경이 유지되어 버섯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수분관리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버섯목 표면, 내부의 균사 만연도를 비교한 결과 개선형 재배사가 가장 우수하였고, 임내재배사, 기존 1중 재배사가 순으로 저조하였다. 버섯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기존 1중 재배사에 비하여 117~204% 증수 효과가 있었으며, 재배사 동고 높이가 낮을수록 개선효과는 극대화 되었다. 따라서 시험결과를 토대로 고온피해 경감을 위한 원목재배사 모델 5종을 제시하였다.

최근 국내 표고 재배사의 온도, 습도 변화 성향 조사 (Investigation of the shift trend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greenhouses for oak mushroom cultivation)

  • 김지은;김준영;안홍석;권혁우;고한규;김성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2-346
    • /
    • 2018
  • 기후 변화에 따른 표고 재배사내 온도와 습도의 변화 추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5년 동안 봄, 여름, 가을 기간에 걸쳐 국내 49곳의 표고버섯 재배사에서 온도와 습도를 측정 분석하였다. 톱밥배지 재배사의 5년간 평균 온도와 습도는 $24.7^{\circ}C$와 60.5%이었다. 원목 재배사의 5년간 평균 온도는 $24.4^{\circ}C$, 평균 습도는 60.0%로 나타났다. 여름철 기간 중 온도 평균은 원목재배사의 경우는 2016년 $29.8^{\circ}C$, 2017년 $29.1^{\circ}C$, 2018년 $33.3^{\circ}C$이었으며 톱밥배지 재배사의 경우는 2016년 $26.8^{\circ}C$, 2017년 $20.4^{\circ}C$, 2018년 $24.2^{\circ}C$이었다. 조사 기간 중 $30^{\circ}C$가 넘는 고온으로 측정된 재배사는 봄철에 1곳, 여름철에 5곳이었으며 원목 재배사가 5곳을 차지하였다. 원목재배에서 온도가 $20^{\circ}C$를 넘지 않는 재배사는 4곳으로 모두 가을에 조사된 온도였다. 본 연구 조사는 기후변화에 대비해 표고 재배사의 경우 원목 재배사 관리에 우선적으로 대비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표고골목의 화학적 특성과 펄프재로서의 이용방안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for Kraft Pulp of Bed Log Wastes)

  • 정명준;김대영;조병묵;오정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통권131호
    • /
    • pp.79-88
    • /
    • 2005
  • 연구는 폐표고목을 제지용 원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1년부터 5년 동안 재배한 표고골목을 이용하여 목재 성분 조성과 크라프트 펄프화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화학조성의 경우 변재에서는 재배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글루코스와 자일로스의 감소가 크게 나타났으나 심재부에서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선수율과 리젝트 함량 모두 재배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펄프 특성에서도 재배기간 증가에 따라 섬유장과 폭, 여수도는 감소하였으며 폐표고골목 크라프트 펄프를 국산 폐골판지에 첨가 시 종이의 건조 강도가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폐표고목 크라프트 펄프를 다른 장섬유 펄프와 혼합사용 시 강도 향상과 고해 에너지 감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작장해 경감을 위한 시설 고추의 왕겨 혼합 소토양 재배기술 (Green Pepper Cultivation in Mixture Bed of Soil and Rice Hull for Alleviation of Salinity Problems in Plastic Film House)

  • 김진원;정종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340-344
    • /
    • 2005
  • 수년간 고추를 연작한 비닐하우스에서는 연작 또는 염류집적에 따른 수량감소가 현저하게 나타난다. 고추의 수량감소를 줄이면서 설치한 비닐하우스의 사용연한을 연장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기존 토양에 왕겨를 혼합한 소토양관비재배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는 관행재배 시험구에 비하여 토양 EC가 $4dS\;m^{-1}$ 이하로 낮아졌으며 두 재배방법 사이에 지상부 생육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뿌리의 발달은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 현저히 좋았다. 특히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는 잔뿌리의 발달이 많았으며 관행재배 시험구에서는 뿌리 양이 적을 뿐만 아니라 굵은 뿌리가 많이 발생되었다. 풋고추 수량은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 43% 정도 증가되었는데, 이는 소토양관비재배 시험구에서의 양호한 뿌리 발달이 양분흡수에 기여하였고 결과적으로 수량 증대로 이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초기 단계의 연구결과이며, 소토양관비재배방법이 연작 토양 시설물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그 가능성을 제시하였을 뿐이다. 소토양관비재배방법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Collection Data with Growth of Three Strawberry Cultivars in High Bed System for Development of the Edge Computing

  • Jo, Jung Su;Sim, Ha Seon;Kim, Sung Kyeom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78-80
    • /
    • 2022
  •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cultivation methods are rapidly changing from traditional soil cultivation to high bed hydroponics, which are easy to agricultural working. The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ree strawberry cultivars cultivated high bed system. The "Seolhyang", "Altaking", and "Keumsil" strawberry plants were transplanted in a glass-type greenhouse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Gunwi Agricultural Field. The cultivation period was approximately seven months from September 17, 2021 to April 21, 2022. Growth parameters measured including the number of leaves, plant height, petiole length, leaf length, leaf width, and crown diameter at two-week intervals. The environmental parameters for each location in the greenhouse were collected. Plant height in all cultivars continued to decrease from the early stage to the late stage of growth. The crown diameter was increased by 50 DAT,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until late growth stage in all cultivars. Results indicated that the growth parameters represented to vary according to the cultivar of strawberry plants.

  • PDF

국내 주요 버섯류의 병해 발생과 재배사의 미생물 밀도 조사 (Occurrences of Major Mushroom Diseases and Microbial Densities of Mushroom Cultivation Facilities)

  • 안유나;장보라;김면수;원항연;전창성;천세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4-149
    • /
    • 2009
  • The occurrences of the major diseases and the densities of air-born microbes were surveyed in the cultivation facilities for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and enoki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in different areas of Korea. Green mold disease was most often developed in oyster mushroom bed cultivation with the disease incidence rate of approximate 10% while the disease incidences from bottle and plastic envelop cultivation were less than 1~2%. In the bed cultivation, the major air-born microbes in the growth room were Aspergillus, Penicillium, Trichoderma, and Curvularia with the total fungal population density of 567~1,297 CFU/$m^3$ . However, only Trichoderma and Penicillium were detected in the growth rooms and innoculation rooms of bottle and plastic envelop cultivation with the densities of 350~700 CFU/$m^3$ and 160~260 CFU/$m^3$, respectively. The bacterial diseases become evident in the growth rooms of bottle and plastic envelop cultivation with the approximate incidence rate of 10%. The identified bacterial species were Brevibacillus levelkil, Rhizobium radiobacter, Brevundimonas vesicularis, Pseudomonas mosselii, Microbacterium testaceum. Sphingomonas panmi, Sphingomonas yabuuchiae, Paracocus dinitrificans, Curtobacterium flaccumfaciens pv. flaccumfaciens and some unidentified bacteria with the densities of 40~6,359 CFU/$m^3$ in the growth rooms and 9 CFU/$m^3$ in the inoculation room.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green mold disease by fungal strains was the major mushroom disease in the bed cultivation and suggested that the contamination of bacteria and fungi together in the growth media could result in severe production loss. The plastic envelope and bottle cultivation were evidenced to be less susceptible to such contaminations.

표고버섯의 지면 톱밥균상재배에 의한 재배과정과 수확 (Cultivation Processes and Yield of Lentinula edodes on Surface Sawdust Bed)

  • 구창덕;이화용;이희수;박용우;김재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3호
    • /
    • pp.434-442
    • /
    • 2015
  • 본 연구는 표고버섯의 지면 톱밥균상재배 과정과 버섯수확량을 구명하였다. 이 톱밥 균상재배는 봉지를 사용하지 않고, 살균된 톱밥과 표고의 톱밥종균을 3:1로 섞어서 지면에 두께 약 10 cm의 균상을 만들어 재배하는 방법이다. 톱밥배지는, 함수율을 65%로 맞추고 $65^{\circ}C$에서 저온살균 후 종균을 접종하고 지면에 약 10 cm 두께의 균상으로 만들고 보습과 보온을 위하여 유공비닐로 덮어두었다. 이 배지는 배양 78일 후에, 함수율이 61~72%, pH는 5.6에서 3.9~4.6로 낮아졌다. 배양기간중 배지내 에르고스테롤 농도는 $0.33{\sim}0.59{\mu}g/g$로 변동이 있었다. 지면배지를 입상한 후 2주 만에 이산화탄소 농도는 약 8.06%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7주차에는 배지표면이 갈변되기 시작하였고, 이산화탄소 농도는 11주차까지 6~7%를 유지하였다. 그 후 지면배지의 표면비닐을 제거한 12주차부터는 통기성이 증대하여 이산화탄소가 1.5% 이하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 재배사내 온도는 $7.1{\sim}29^{\circ}C$, 습도는 27.3~100%였고, 톱밥배지내의 온도 변화범위는 $11.6{\sim}30^{\circ}C$였다. 이 지면 재배에서 표고수확은, 입상 약 120일 후인 7월 말경부터 시작되었고, 그 후 약 100일 동안, 즉 12월초까지 8주기에 걸쳐 관수관리하면서 이루어졌다. 이 재배에서 주기별 총 표고수확량은 1주기(7/29~8/4)에 352 kg, 2주기(8/17~8/22)에 288 kg, 3주기(9/3~9/7)에 320 kg, 4주기(9/19~9/24)에 800 kg, 5주기(10/3~10/8)에 1,296 kg, 6주기(10/17~10/22)에 1,853 kg, 7주기(11/4~11/9)에 1,476 kg, 마지막 8주기(11/23~12/7)에 990 kg이었다. 농장 전체는 약 33.0톤의 톱밥배지에서 약 7.4톤의 표고를 수확하여 지면 톱밥균상재배의 표고생산 효율은 약 22.4%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