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ck Depression Inventory

검색결과 517건 처리시간 0.032초

척주관협착증 환자의 Beck Depression Inventory 점수와 이와 관련된 요인들의 분석 (Beck Depression Inventory Score and Associated Factors in Korean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 김애라;서보병;김진모;배정인;장영호;이용철;강철형;정성원;홍지희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0권2호
    • /
    • pp.138-142
    • /
    • 2007
  • Background: Depression is a frequent comorbid disease of chronic pain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to correlate associated factors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Methods: The data of this survey was collected from 97 patients that visited our pain clinic for the management of lumbar spinal stenosis. Depression was examined by a self-reported survey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the life satisfaction scale score were also obtained.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pouse status, employment status, smoking statu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multiple painful area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ombined disease, pain duration, visual analogue scale, Roland 5-point scale and walking distance) were obtained from an interview with the patient.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group N ($BDI{\leq}14$, n = 43) and group 0 (BDI > 14, n = 54) according to the BDI scale. Of the 97 patients, 55,7% had a high BDI score. Results: The patients in group N had a higher rate of employment (48.0%, P < 0.05) and had higher life satisfaction scale scores ($9.4{\pm}2.5$, P < 0.01) as compared to group D patients. The BDI score showed a close correlation with employment status and the life satisfaction scale. Conclusions: Many lumbar spinal stenosis patients had high BDI scores. Employment status and the life satisfaction scale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the BDI score.

간호사의 신체화 증상과 정신건강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omatization and Mental Health of Registered Nurses)

  • 주정민;구애진;김성완
    • 정신신체의학
    • /
    • 제28권2호
    • /
    • pp.135-142
    • /
    • 2020
  • 연구목적 간호사의 신체화 증상과 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 정신 증상 위험의 관계를 확인하여 정신신체의학 연구의 임상 근거를 창출하고, 신체화 증상의 의미에 대해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 법 서울시 내 1개 상급종합병원 외과계 중환자실 간호사 70명에게 자가기입형 도구(Perceived Stress scale, Fatigue Severity Scal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15, Korean Beck Depression Inventory, Korean Beck Anxiety Inventory, Symptom Checklist-90-Revision)를 사용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자 중 12.9%가 신체화 증상을 경험하였고 피로, 낮은 에너지, 생리통, 허리 통증이 나타났다. 신체화 증상과 정신적 스트레스 인지의 통계적 관련성은 없었으나 불안한 느낌이나, 자신감의 감소는 신체화 증상의 수준과 관련이 있었다. 신체화 증상이 심한 집단은 우울, 불안을 더 많이 경험하였다. 신체적 피로가 높은 집단은 정신적 스트레스 인지의 통계적 관련성은 없었으나 긴장이나 스트레스를 느끼거나 통제력이 감소되는 경험에 영향을 미쳤다. 신체적 피로 수준의 증가는 불안과는 관련이 없었고 우울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체화 수준이 높을수록 정신 증상 중 강박과 적대감이 증가하였다. 선형회귀모형에서 스트레스, 우울, 불안은 신체화 증상을 39.3%, 신체적 피로 증상을 16.1% 설명하였다. 결 론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한국 문화에서 신체화 증상의 특징으로 스트레스 인지 증상의 감소, 우울과 불안 경험, 강박 및 적대감의 동반 가능성을 추정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신체화와 정신 증상은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상호관련성이 관찰되어 향후 중재 전략 마련에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환자의 기질 및 성격 유형에 따른 우울 및 불안 차이 (Comparison of the Anxiety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김경원;김대호;김은경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4-100
    • /
    • 2019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comorbidity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Methods :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beck anxiety inventory (BAI) were administered to 151 PTSD patient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of adaptation, vulnerable temperament, immature personality and composite vulner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MANOVA and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BDI, BAI, temperament and character scores and rate of comorbid disorders between the four groups. Results : The immature character and complex vulnerability group showed the higher rate of comorbid depression disorder. Anxiety and depression sever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especially depression severity had higher scores in the immature character and complex vulnerability groups and anxiety severity had higher scores in the complex vulnerability group than adaptive group. The immature character and complex vulnerability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 on the temperament scale of reward dependence and persistent. Conclusion : The results demonstrate the significance of adaptive characteristics on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regardless of vulnerable temperaments, and its consequent role in the management of character factors relative to intervention regarding PTSD.

불안 장애에서 벡우울척도의 요인구조 (Factor Structure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in Anxiety Disorder)

  • 양현주;김대호;장은영;한창우;박용천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6-21
    • /
    • 2011
  • Objective : Depressive symptoms often coexist with other anxiety disorder symptoms. Furthermore, an anxiety disorder that is comorbid with a depressive disorder results in more severe symptoms and a poorer outcome prognosis. To understand the construct of depressive symptoms in anxiety disord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among outpatients with anxiety disorders. Methods : All data were from psychiatric department outpatients at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We conducted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data from 194 outpatients with DSM-IV anxiety disorders and calculated goodness-of-fit-indices. Results :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a four factor structure--Cognitive-affective symptoms (Factor 1), Somatic symptoms (Factor 2), Self-reproach (Factor 3), and Hypochondriasis/indecisiveness (Factor 4)--and a 57% total variance. This four-factor model demonstrated an acceptable level of model fit, and it fit better than did a three-factor solution from the literature on depressive disorder. Conclusion : This study's results suggest a difference in the construct of self-reported depressive symptoms in anxiety disorders. These findings also support a dimensional approach to studying anxiety and depression. Further studies may benefit from including comorbid depressive disorder and its influence on anxiety disorders.

건강한 성인에서 성별에 따른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와 우울증상의 연관성 :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 (Gender Difference in Associations between Serum Cholesterol Levels and Depression Symptoms in Healthy General Population)

  • 이소희;박미나;윤대현;이영;김선신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1호
    • /
    • pp.27-32
    • /
    • 2017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울 증상과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의 연관성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검진을 받은 일반인 중 27,452명(남자 15,044명, 여성 12,40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대상자들의 벡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점수를 구하고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중성지방(Triglyceride, TG)),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을 분석하였다. 결과 남성은 총콜레스테롤(TC)과 벡우울척도(BDI) 점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중성지방(TG)은 벡우울척도(BDI) 점수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r=0.020, p<0.01),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벡우울척도(BDI) 점수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r=-0.016, p<0.01 ; r=-0.015, p<0.05) 여성의 경우도 총콜레스테롤(TC)과 벡우울척도(BDI) 점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으며 중성지방(TG)은 벡우울척도(BDI)점수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r=0.020, p<0.01)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r=-0.019, p<0.01). 남성과 달리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남녀 모두 중성지방(TG)이 높을수록,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이 낮을수록 우울 증상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에서만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이 낮을수록 우울 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수면의 질과 우울 증상의 관계: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과 불안 증상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Depression Symptoms in Psychiatric Patients: Mediating Effect Interpretation Bias for Ambiguity and Anxiety Symptoms)

  • 이혜린;김은경;최준호;박선철
    • 정신신체의학
    • /
    • 제30권2호
    • /
    • pp.137-144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수면의 질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과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과 불안증상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의 외래 환자와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축적된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측정 도구로는 피츠버그 수면의 질 척도(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모호한 상황에서의 시나리오 척도(Ambiguous/Unambiguous Situations Diary-Extended Version, AUSD-EX), 아동기 외상설문지(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백 불안 척도(Beck Anxiety Inventory), 백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II)가 사용되였다. 162명의 자료를 기초로 SPSS 25.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Bootstrapping 분석이 실시되었다. 결 과 연구 결과, 수면의 질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과 불안 증상의 이중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는 낮은 수면의 질이 모호함에 대한 해석 편향을 거쳐 불안 및 우울 증상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선행 증상에 대한 치료적 개입을 우선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다른 정신과적 증상 발달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징병신체검사 대상 남성의 분노표현 양식, 우울, 그리고 혈압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Anger Expression Mode, Depression, and Blood Pressure in Korean Male Military Draftees Subjected to the Examining Procedure)

  • 박동균;윤탁;신민섭;이상선;정도언
    • 수면정신생리
    • /
    • 제5권1호
    • /
    • pp.80-87
    • /
    • 1998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분노 표현 양식, 우울과 혈압간의 관계를 알아보려는 것이었다. 방법 : 총 868 명의 징병신체검사 대상자에서 신체검사 당일 자기보고형 설문지인 Spielberger의 분노 표현 척도, MMPI 억압 척도, 그리고 Beck 우울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 실시 후 혈압, 체중, 키를 측정하였다. 결과 : 1) 고혈압군과 정상혈압 군간에 Spielberger 의 분노 억제 및 분노 표출 점수, BDI 점수, 그리고 MMPI 억압점수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각 척도 점수의 상위 25% 와 하위 25% 집단간에 혈압측정치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분노 억제나 분노 표출의 직접적인 효과보다는 상호작용 효과가 우울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 징병신체검사 대상자에서는 분노 억제, 분노 표출, 우울, 그리고 혈압간에 유의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분노 억제와 분노 표출간의 상호 작용이 우울과 관련된 중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미술 활동이 가출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Art Program Effect on Self-esteem, Depression of Runaway Youths)

  • 변상해;정의정;오수생;신종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17-227
    • /
    • 2009
  • 본 연구는 미술을 활용한 프로그램이 가출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G지역에 위치한 청소년 쉼터에서 보호중인 가출청소년 6명은 실험집단으로 5명은 통제집단으로 구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oopersmith가 개발한 도구와, 우울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Beck이 제작한 우울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연구목적에 따라 분석하기 위해 t-Test등의 통계적 기법을 적용하였고, 실험집단의 가출청소년들은 프로그램을 실시하기전후를 비교했을 때, 실시 후에 우울 점수가 유의미하게 감소되었고, 자아존중 감의 점수 또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뉴로피드백 훈련이 유방암 환자의 심인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Neurofeedback Program on Psychogenic Factors in Breast Cancer Patients)

  • 오승근;박재철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53
    • /
    • 2023
  • Background: This report determines the effects of a neurofeedback program o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through a study of psychogenic factors(distress, depression, anxiety).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e study selected 28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14 subjects in the neurofeedback program group and 14 subjects in the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group. Both groups conducted one-and-hour training per session fiv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five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neurofeedback,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 exercise intervention. The di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distress management Test. Beck's Depression Inventory was used to measure depression. Beck's Anxiety Inventory was used to measure Anxiety Results: Both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after the intervention (p<0.05) in the within-group comparisons.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than the control group (p<0.05) wh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how that the neurofeedback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di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The study thereby proposes that the neurofeedback program should be applied as an intervention method for clinical use o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섭식장애 환자의 섭식장애 증상, 우울, 강박성이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ating Psychopathology, Obsessive-Compulsion and Depression on Self-Harm Behavior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 공성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59-468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eating psychopathology,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on that might influence self-harm behavior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Methods: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n=135) who visited "M" clinic for eating disord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August 2007 using the Eating Disorder Inventory-2, Beck Depression Inventory, Maudsley Obsessional-Compulsive Inventory, and Self-Harm Inventory (SHI). Results: The participants scored high on self-harm as well as on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on. On the SHI, a high frequency of self harm behavior such as 'torturing self with self-defeating thoughts', 'abused alcohol', 'hit self', and 'suicide attempt' were found for the participan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ost eating psychopathology variables, depression, obsessive-compulsion, and self-harm behavior. 'Interoceptive awareness' (eating psychopathology), depression, and 'checking' (obsessive-compuls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harm behavior. Conclusion: Future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should focus on assessing the possibility of self-harm and suicidal attempts, especially in those patients with high levels of eating psychopathology, depression, or obsessive-compulsion. Early intervention for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on could contribute to preventing self-harm and suicide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