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m trawl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7초

낙동강 하구에서 새우조망으로 채집된 생물의 계절별 종 조성 (Seasonal Species Composition of Marine Organism Collected by a Shrimp Beam Trawl in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이종희;이재봉;김정년;이동우;신영재;장대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7-190
    • /
    • 2009
  • 2007년 가을부터 2008년 가을까지 낙동강 하구 연안에서 출현한 생물은 93과 169종이었으며, 그 중 갑각류가 43종 그리고 어류가 99종으로 나타났다. 봄에 가장 다양한 종들이 나타났으며, 가을과 겨울은 출현하는 종수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단위면적당 개체수는 2008년 겨울이 가장 낮았으며, 2008년 여름에 가장 높았다. 분류군별 단위면적당 개체수의 어획비율은 갑각류가 3.8~64.5%, 극피동물류가 0.7~2.6%, 두족류가 1.8~10.1%, 복족류가 6.7~28.9%, 어류가 19.4~71.9% 그리고 이매패류가 1.7~8.0%를 차지하였다. 단위면적당 어획중량은 2008년 봄이 가장 낮았으며, 2008년 가을에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단위면적당 어획중량의 비율을 보면 어류가 70.6~92.1%를 차지하였으며, 나머지 분류군이 약 30~8%를 차지하였다. 단위면적당 출현 개체수가 많은 종은 반딧불게르치, 열동가리돔, 갈색고리돼지고둥, 마루자주새우 등이었으며, 단위 면적당 높은 어획량을 나타내는 종들은 성대, 황아귀, 홍어, 반딧불게르치 등이었다. 낙동강 하구 연안해역에서 조사된 어종들의 계절별 출현 특성에 따라 18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계절의 출현 종에 따른 유사도는 2007년 가을과 2008년 가을이 가장 유사하였으며, 다음으로 2008년 봄과 여름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어획된 어종들은 총 29종으로 갑각류 9종, 두족류 2종, 그리고 어류 18종이었다. 마루자주새우, 반딧불게르치, 성대, 열동가리돔, 홍어, 황아귀 등 연구해역에서의 주서식종들이 단위면적당 개체수와 어획량 면에서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종들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남해군 삼동면 연안 어류의 월별 종조성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Fish Species Composition in the Coastal Water of Samdong-myeon, Namhae, Korea)

  • 김준섭;이용득;이승환;박준수;곽우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5-64
    • /
    • 2018
  • 남해 삼동면 연안의 사질과 잘피밭의 어류군집을 비교하기 위해서 2011년 3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소형 beam trawl과 지인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두 곳의 조사지점에서 공통으로 출현한 종은 총 19종이었다. 실고기, 풀해마, 가시망둑, 돌팍망둑, 감성돔, 베도라치, 문절망둑, 줄망둑, 날개망둑, 살망둑, 두줄망둑, 문치가자미, 복섬 등이 공통으로 출현하였고, 이 중 실고기, 풀해마, 가시망둑, 베도라치, 복섬은 잘피밭에서, 돌팍망둑, 감성돔, 문절망둑, 줄망둑, 날개망둑, 살망둑, 두줄망둑, 문치가자미는 사질연안에서 주로 출현하였다. 실비늘치와 해마, 볼락, 농어, 독가시치는 잘피밭에서만 출현하였고, 풀반지, 숭어, 쑤기미, 양태, 쥐노래미, 알롱횟대, 꼼치, 동갈양태, 댕기망둑은 사질에서만 출현하였다. 채집된 어류 대부분은 소형어나 유어로 남해 연안의 잘피밭과 사질연안이 이들 어류의 성육장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출현 종수는 2011년 8~9월에, 개체수는 2011년 8월이 가장 높았다. 생체량은 2011년 4월과 9월에 가장 높았다. 대체적으로 겨울철에는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이 모두 낮았다. 개체수 및 생체량은 사질연안에 비하여 모두 잘피밭에서 높았으며, 사질연안에서는 잘피밭을 선호하는 어류들이 다수 출현하였지만, 잘피밭에서는 사질연안을 선호하는 어종이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제주도 연안 해초지대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II. 실비늘치 (Aulichthys japonicus Brevoort)의 성장, 산란 및 식성 (Study on the Fish Community in the Seagrass Belt around Cheju Island II. Growth, reproduction and food habit of Tubesnout, Aulichthys japonicus Brevoort)

  • 고유봉;조성환;고경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1-70
    • /
    • 1997
  • 제주도 북방 함덕연안 잘피밭에 서식하는 실비늘치(Aulichthys japonicus)의 성장과정, 산란시기 및 섭이습성을 조사하였다. 시료의 채집은 1993년 5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소형 beam trawl을 사용하였다. 체장빈도분포조사에서 실비늘치는 3월에 처음 자어가 출현하여 꾸준히 성장을 지속하고 다음해 5월에 이르러 거의 모든 성어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식소 중량지수(GWl)와 비만도지수(K) 조사에서 수컷의 생식소 중량지수와 비만도지수는 11월과 1월 사이에 높고 암컷의 경우는 2월과 5월 사이에 높았다. 성비조사에서 산란시기인 2월부터 암컷의 출현이 높아지기 시작하여 3월부터는 거의 전부가 암컷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섭이습성조사에서 출현한 먹이생물중 97%이상이 요각류였으며, 이중 Paracalanus, Oithona, Acartia, Oncaea 및 Harpacticoidae 등 1mm전후의 소형요각류를 주로 섭이하고 있었으나, 주산란기에는 3mm 이상인 Calanus, Euchaeta 및 십각류 유생 등의 섭이율도 높았다. 주간과 야간의 섭이습성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주 야간 및 체장증가에 따른 섭이율의 변화는 주간에 평균 1.60, 야간에는 평균 1.90 이었고, 체장증가에 따른 섭이율은 성숙기인 90~120mm에서 높게 나타났다.

  • PDF

제주도 연안 해초지대의 어류군집에 관한연구 I. 종조성과 계절변화 (Study on the Fish Community in the Seagrass Belt around Cheju Island I.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fish community)

  • 고유봉;조성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8-60
    • /
    • 1997
  • 제주도 북방 함덕연안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종조성과 계절변화 그리고 잘피의 계절변화에 따른 서식지로서의 특정을 주간과 야간채집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어류의 채집은 소형 beam trawl을 이용하여 1993년 5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실시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35과 58종으로 주년에 걸친 우점종은 실비늘치, 흰줄망둑, 그물코쥐치, 실고기 그리고 쏠종개였으며, 이들 5종이 전체개체수의 86.1%, 생물량의 62%를 차지하였다. 주간과 야간의 출현비율은 총 36,378개체중 주간이 17%였고 야간이 83%을 차지하였다. 생물량에 있어서도 전체 90,874g중 주간이 22%, 야간이 78%였다. 단위체적당 개체수와 생물량은 주간이 개체수에서 평균 26.2미/$100m^3$$83.5g/100^3$ 이였으며, 야간에는 평균 147.8미/$100m^3$$347.9g/100^3$ 였다. 어류군집의 계절변화에서는 10월~12월 이개체수나 생물량에서 가장 풍부하였으며, 개체수에서는 1월~4월이, 생물량은 5월~6월에 가장 낮았다. 출현어류의 90%이상이 14cm이하의 소형개체였다. 전장 4cm이하의 자어나 치어는 연중출현하고 있었으며, 특히 주요어종의 새로운 가입군은 잘피의 성장기인 1~6월, 쇠퇴기인 7~12월의 개체군으로 나눌수 있었다. 전자는 실비늘치, 흰줄망둑, 민베도라치, 노래미 및 가시망둑이 후자에는 그물코 쥐치, 실고기, 쏠종개 및 두줄베도라치가 포함되었다.

  • PDF

Split beam 어군탐지기에 의한 어류의 유영행동 조사연구 -유영속도의 측정- (Fish Tracking with a Split Beam Echo Sounder -Measurements of Swimming Speeds-)

  • 이대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5권3호
    • /
    • pp.301-311
    • /
    • 1999
  • The investigation to evaluate the possible effects of fish behaviour on acoustic target strength was carried out during the 1997 and 1998 hydroacoustic-demersal trawl surveys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The swimming speed and the target strength of individual, acoustically resolved fished swimming through the sound beam were measured using the split-beam tracking method on board R/V Kaya.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1. The alongship and athwartship angles between -3dB poionts of a hull mounted 38 kHz split beam tranducer used in these surveys was >$3.76^{\circ}\;and\;6.74^{\circ}$ respectively, and the equal energy contour obtained from the measured beam pattern showed approximately the circular pattern. 2. The swimming speed measured off the south coast of Sorido in 23 January 1997 ranged 0.10 to 0.80 m/s with the average swimming spped of 0.36 m/s, and the target strength ranged -64.8 to -31.7 dB with the average target strength of -52.7 dB. The most dominant species sampled in this survey area were Japanese scaled sardine, Sardinella zunasi and Konoshiro gizzard shad, Konosirus punctatus, respectively.3. The swimming speed measured off the east coast of Kojedo in 24 March 1997 ranged 0.10 to 1.10 m/s with the average swimming speed of 0.40 m/s, and the target strength ranged -64.8 to -51.5 dB with the average target strength of -59.2 dB. The most dominant species sampled in this survey area were Swordtip squid, Photololigo edulis, Konoshiro gizzard shad and Japanese flying squid, Toddarodes pacificus, respectively and the swimming activity of these species seems to be controlled at speeds between 0.20 and 0.60 m/s. 4. The swimming speed measured the south coast of Kojedo in 25 March 1997 ranged 0.10 to 1.40 m/s with the average swimming speed of 0.51 m/s and the target strength ranged -64.3 to -47.7 dB with the average target strength of -55.1 dB. The most dominant species sampled in this survey area were Swordtip squid, Blotchy sillage, Sillago maculata and japanese scaled sardine, respectively and the swimming activity of these species seems to be controlled at speeds between 0.20 and 0.70 m/s.5. The swimming speed measured during morning twilight in the southeastern water of Cheju Island in 11 July 1998 ranged 0.20 to 1.0 m/s with the average swimming speed of 0.53 m/s, and the target strength ranged -65.0 to -47.0 dB with the average target strength of -57.1 dB. The most dominant species sampled in this survey area were Swordtip squid, Black scraper, Thamnaconus modesutus and japanese flying squid, respectively and the tile angle ranged$ +28^{\circ}\;to\;+2^{\circ}$ with the average tilt angle of -8.1$^{\circ}$ showing the downward migration.

  • PDF

소리도 주변 해역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Change of Shrimp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s of Sorido, Korea)

  • 윤호섭;서호영;최상덕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1-57
    • /
    • 2004
  • 소리도 주변해역에서 서식하는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 6월부터 2001년 5월까지 매월 1회씩 사리기간중 간조시에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새우는 6과 16종이었으며, 그라비새우, Ρ. gravieri, 꽃새우, Τ. curvirostris, 마루자주새우, C. hakodatei, 중하, Μ. joyneri등이 연중 우점하였다. 월별 출현종수는 8월, 10월, 11월에 14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하계인 6월과 7월에 각각 8, 10종으로 가장 적은 종이 출현하였다. 종다양도 지수는 0.14∼0.82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5∼7월에는 비교적 낮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균등도 지수에서도 마찬가지 결과였으며, 반면 9∼12월에는 비교적 높은 종다양도 지수 값을 보였다. 본 연구 해역에서 채집된 새우류는 출현 양상에 따라 주거종과 계절종, 일시방문종으로 나눌 수 있었다.

소형 트롤 어선의 예망중 동요특성 (On the Motion Characteristics of Small Trawler under Operation)

  • 이춘기;강일권;김정창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1호
    • /
    • pp.65-72
    • /
    • 2004
  • This paper deals with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ynamical characteristics of ship motion during trawling job on the real sea.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the small stern trawler, and roll and pitch motion of the ship according to the wave directions were simultaneously recorded by P/C in the same sea conditions. From these data, the statistical properties and power spectra were obtained, and then the analysis of ship motion in trwal job was mad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itch motions in trwal job were displayed low amplitudes on the whole, but the rolling motions were displayed high amplitudes relatively, and very high value on the beam and quartering sea especially. Also, the trial ship has a high extinction coefficient in the roll motion, compared with the rule of stability, but when wave height takes 2.5m over, it can induce the safety of ship to scare occasionally. Therefore, a usefull countermeasure for the safety of ship has to be made adequately.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nd Decapods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of Jindong Bay

  • Kwak, Seok-Nam;Park, Joo-Myun;Huh, Sung-Hoi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59-269
    • /
    • 201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o determine seasonal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nd decapod assemblage,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abundance in an eelgrass bed of Jindong Bay. A total of 26 fish species and 29 decapod species were collected by a small beam trawl from an eelgrass bed in Jindong Bay in 2002. The dominant fish species were Hexagrammos otakii, Pholis neulosa and P. fangi and these accounted for 48.4 % in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Dominant decapod taxa were Palaemon macrodactylus, Charybdis japonica, Pagurus minutus and C. bimaculata. These were primarily small species or early juveniles of larger species.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varied greatly showing a peak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April and May, and peak biomass in fish in July and decapods in August. Catch rate was low in winter months both in fish and in decapod. Seasonal changes in the abundance of fishes and decapods corresponded with eelgrass biomass and abundance of food organisms indirectly.

낙동강 하구 해역의 트롤어구로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비교 (Study on Comparison of Fishes by Trawl Fishery in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이종희;이재봉;최영민;연인자;이동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4-9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2007년 여름, 2009년 겨울, 2010년 봄, 여름과 가을까지 총 5회의 조사를 통하여 36과 92종의 어류가 출현하였다. 종다양성 지수는 1.893~2.962, 균등도 0.050~0.231로 나타났다. 낙동강 하구 주변 해역에서 조사한 연구에서 출현종 수는 1998년 봄에 72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2002년 겨울에 10종으로 가장 적었다. 단위면적당 개체수에 대한 상위 10종에 대한 우점 비율은 전체 어획개체수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다양성 지수는 1.234~2.962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균등도는 0.047~0.324의 범위를 나타냈다. 주요 우점종은 성대, 청보리멸, 반딧불 게르치, 황아귀, 열동가리돔, 홍어, 물가자미, 문치가자미, 달고기, 보구치로 어획개체수와 어획량 모두 높았다. 이전 연구를 포함한 총 23회의 조사에서 상위 10종의 우점어류의 대한 유사도 분석에서는 연별 계절별 어종의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1987~1988년과 1998년, 2001~2002년, 그리고 2007~2008년과 2009~2010년의 조사로 세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체장조성의 변화는 현 연구에서는 이전연구보다 평균체장이 크고 체장범위도 어획최소체장이 커지고 범위도 더 넓었다. 우점종의 서식밀도 변화를 살펴보면, 현 연구의 우점종은 이전 연구에 비하여 어획개체수가 증가하였으며, 어획량도 많아졌다. 특히, 황아귀, 홍어, 물가자미, 달고기는 2008년 이후 조사에서 이전연구보다 개체수와 어획량이 월등하게 높아졌다. 이전 연구의 주요 우점종인 꼼치, 실양태 그리고 주둥치는 2002년 이전까지의 연구에서 어획개체수가 많았으며, 2008년 이후 연구에서 어획 개체수가 급격히 줄었다.

진동만 명주리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an Eelgrass Bed in Myoungjuri of Jindong Bay)

  • 백근욱;곽석남;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18
    • /
    • 2005
  • 진동만 명주리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조사하기 위해서 2001년 8월 부터 2003년 7월까지 소형 비임트롤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어류는 총 33종이 채집되었다. 쥐노래미, 흰베도라치, 실양태, 가시망둑, 베도라치, 그물코쥐치, 실고기, 그리고 조피볼락이 많이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채집된 총 개체수의 79.5%를 차지하였다. 본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대부분이 평균 15 cm 이하의 소형 어종이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잘피밭 어류군집은 뚜렷한 계절변동을 보였는데, 채집 개체수는 2002년 4월에서 6월 사이에 아주 높았으나, 생체량은 2001년과 2002년 9월에 각각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대체적으로 겨울철에서는 채집 개체수 및 생체량이 모두 낮았다. 어류 군집의 계절변동은 잘피의현존량 및 먹이생물의 양적변동과 관계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