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m steering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5초

X-대역 2차원 위상배열안테나 빔조향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a Beam Steering System for X-band 2-D Phased Array Antenna)

  • 김두수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92-98
    • /
    • 2008
  • A beam steering system of X-band 2-D phased array antenna for radar application is developed. The beam steering system consists of real-time command generator, beam steering unit, control PCB of array module and power supply. It plays a role of beam steering and on-line check of phased array antenna. The performance of beam steering system is verified with pulse timing of current control in phase shifters and measurement of far-field of phased array antenna. The developed beam steering system offers basic technology to develop full-scale beam steering system of multi-function radar.

고정국에서의 효율적인 빔스티어링 기법 (Efficient Beam Steering Techniques in the Fixed Station)

  • 최준수;허창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26-82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고정국에서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Beam-Steering 기법을 제시한다. 일반적인 Beam-forming 기법은 각 배열안테나에 도달하는 신호 간의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수행한다. 이러한 빔포밍 방식은 많은 복잡도와 비용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신호대 잡음비와 수신신호세기를 사용한 빔스티어링 기법을 제시한다. 또한 제시한 기법에 대한 알고리즘을 분석한다.

  • PDF

무선 시스템에서 가중치 오차 보정 알고리즘과 SVD를 이용한 다중 빔 조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ulti Beam Steering using Weight Error Compensation Algorithm and SVD in Wireless System)

  • 이관형;송우영;이명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43-14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시스템에서 목표물 도래방향 추정에 대한 다중 빔에 대해서 연구한다. 빔 조향 방법은 고각 방향의 빔 조향 방식 또는 빔 형성 방식, 스택 빔 조향, 주파수 조향, 위상 조향 및 디지털 빔 형성 등으로 구분 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효과적인 빔 조향을 하기위해서 위상과 크기를 보정하는 안테나 가중치 오차 보정기법과 특이 행렬을 결합한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빔 조향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디지털 빔 형성 레이더에 빔조향 방식을 적용하여 목표물을 추정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기존 알고리즘과 비교 분석하였다. 목표물 도래방향 추정에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이 기존 알고리즘보다 도래방향 추정 능력이 향상된 것을 입증하였다.

최적 공분산 가중 벡터를 이용한 상관성 간섭 신호 추정의 빔 지향 오차 (A Study on Beam Error Method of Coherent Interference Signal Estimation using Optimum Covariance Weight Vector)

  • 조성국;이준동;전병국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53-61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d covariance weight matrix using SPT matrix in order to accurate target estimation. We have estimated a target using modified covariance matrix and beam steering error method. We have minimized beam steering error in order to estimation desired a target. This method obtain optimum covariance weight using modified SPT matrix. This paper of proposal method is showed good performance than general method. We updated a weight of covariance matrix using modified SPT matrix. We obtain optimum covariance matrix weight to application beam steering error method in order to beam steering toward desired target. Through simulation, we showed that compare proposal method with general method. It have improved resolution of estimation target to good performance more proposed method than general method.

레이다 빔조향 특성 측정 장치 개발 및 보어 사이트 에러 측정 (Development of Radar Beam Steering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Boresight Error)

  • 곽용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546-55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AESA 레이다의 근전계에서 송신/수신 모드에 대한 원전계 빔조향, 근전계 빔집속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빔 조향 특성 측정 장치를 개발하였다. 빔조향 특성 측정장치는 구면형 근접전계 스캐너, 안테나 포지셔너, 근접전계 제어기, 네트워크 측정기, 레이다 제어시스템, 검증용 레이다 및 모의레이돔, AESA 레이다 등으로 구성된다. 개발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AESA 레이다에 대한 레이돔장착전/후의 송/수신패턴특성을 측정하였고, 근접전계 측정 후 원전계로의 변환을 통해 빔패턴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레이다 안테나 장치의 보어사이트에러 를측정하였고, 모의 레이돔 장착 전후 메인로브가 동일하게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가 3차원 빔 조향을 위한 단일급전 마이크로스트립 기생배열 안테나 (A Single-Fed Microstrip Parasitic Array Antenna for Low-Cost Three-Dimensional Beam Steering)

  • 김영구;김태홍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23-23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5.8GHz ISM 대역(5.725GHz~5.825GHz)의 저가 3차원 빔 조향을 위한 단일급전 마이크로스트립 기생 배열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안테나는 단일 급전 능동소자와 가변 리액턴스 부하를 갖는 4개의 기생소자로 구성된다. 제작된 안테나의 빔 조향 범위는 가변 리액턴스 부하의 조절에 의해 방위각 ${\Phi}=0^{\circ}$, ${\Phi}=45^{\circ}$, ${\Phi}=90^{\circ}$, ${\Phi}=135^{\circ}$에서 ${\pm}28^{\circ}$의 3차원 빔 조향을 이룰 수 있었다. 빔 조향 범위 내에서 안테나의 최대이득은 7.23dBi~9.36dBi를 가지고, -10dB 이하 반사손실대역폭은 빔 조향각도에 상관없이 항상 5.8GHz ISM 대역을 포함하였다.

IMT-2000 기지국용 빔 조향 다이폴 위상배열 안테나 시스템 설계 (Design of beam steering dipole phased array antenna systems for IMT-2000 base station)

  • 이상수;김명철;최학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2호
    • /
    • pp.41-5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IMT-2000 기지국용 빔 조향 다이폴 위상배열 안테나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빔 조향 다이폴 위상배열 안테나 시스템은 크게 안테나부와 빔 조향 제어부로 구성된다. 안테나부는 광대역 특성을 위해 기본 복사소자로 평판형 다이폴을 제안하고, 설계하였으며, 지향성 복사패턴을 위해 평판형 다이폴을 8×8로 배열하였다. 또한 다이폴 수직배열 8소자 전력분포를 위한 수직 전력 분배기를 설계하였다. 빔 조향 제어부에서는 다이폴 수평배열 8소자 전력분포를 위한 수평 전력 분배기와, 수평방향(7방향)에 빔 틸트를 위한 4비트 위상 변위기와 구동회로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안테나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제 제작하고 복사특성을 측정하였다. 측정견과 각 제어신호에 따라 수평 빔 틸트가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측정된 복사특성은 설계목표에 거의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트만 렌즈를 이용한 빔 조향 시스템과 실시간 빔 수신표시 장치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eam Steering System Based on Rotman lens and its Real-Time Display Device of Beam Receiving)

  • 김인렬;안치형;오순수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5호
    • /
    • pp.37-4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고가의 위상천이기를 대체하여 로트만 렌즈 안테나를 이용한 2.442GHz 대역의 빔 조향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빔 조향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로트만 렌즈, 송신 안테나, 빔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치 박스로 구성되어 있다. 초기 설계조건을 설정하고 요구조건에 맞춰 설계 및 제작하였다. 그 결과, 고가의 위상천이기를 대체한 로트만 렌즈의 사용으로 무반사실에서 빔이 조향됨을 알 수 있었다. 성능 검증을 통해 실시간 빔 수신 표시 장치인 정류안테나의 LED를 켬으로써 시각적으로 빔의 조향을 확인하였다.

A study on development of simulation model of Underwater Acoustic Imaging (UAI) system with the inclusion of underwater propagation medium and stepped frequency beam-steering acoustic array

  • L.S. Praveen;Govind R. Kadambi;S. Malathi;Preetham Shankpal
    • Ocean Systems Engineering
    • /
    • 제13권2호
    • /
    • pp.195-224
    • /
    • 2023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the acoustic imaging wherein the traditional requirement of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arget is overcome. This is facilitated through the beamforming acoustic array in the transmitter, in which the target is illuminated by the array at various azimuth and elevation angles without the physical movement of the acoustic array. The concept of beam steering of the acoustic array facilitates the formation of the beam at desired angular positions of azimuth and elevation angles. This paper substantiates that the combination of illumination of the target from different azimuth and elevation angles with respect to the transmitter (through the beam steering of beam forming acoustic array) and the beam steering at multiple frequencies (through SF) results in enhanced reconstruction of images of the target in the underwater scenario. This paper also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reconstruction of the image of a target in underwater without invoking the traditional algorithms of Digital Image Processing (DIP). This paper comprehensively and succinctly presents all the empirical formulae required for modelling the acoustic medium and the target to facilitate the reader with a comprehensive summary document incorporating the various parameters of multi-disciplinary nature.

파라메트릭 어레이 음원의 전기적 빔 조향 현상 예측을 위한 수치 해석 기법 연구 (Computational study on prediction of electrical beam steering phenomenon of parametric array sound source)

  • 빈경훈;엄원석;문원규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485-493
    • /
    • 2019
  • 파라메트릭 어레이란 매질의 비선형성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의 방사판에서 고지향성 저주파음을 발생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파라메트릭 어레이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저주파 음향 빔 조향 연구가 진행 되고 있으며, PD(Product Directivity) 모델을 이용하여 빔 조향 현상이 간편하게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PD 모델은 준선형 조건에서 가우시안 음원만 적용이 가능하며, 저주파 음향 빔 폭의 예측 정확성이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PD 모델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파라메트릭 어레이의 빔 조향 특성 예측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파라메트릭 어레이 현상 예측에 널리 사용되는 KZK(Khokhlov-Zabolotskaya-Kuzentsov) 방정식의 수치 해석 알고리즘을 개선하였다. 그리고 전기적 조향 조건을 적용하여 빔 조향 특성을 계산, 실험 결과와 비교 하였다. 그 결과 개선된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준선형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파라메트릭 어레이 음원에서도 저주파 빔 조향 특성 예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