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yesian ordered probit model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Korean Welfare Panel Data: A Computational Bayesian Method for Ordered Probit Random Effects Models

  • Lee, Hyejin;Kyung, Minjung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1권1호
    • /
    • pp.45-60
    • /
    • 2014
  • We introduce a MCMC sampling for a generalized linear normal random effects model with the ordered probit link function based on latent variables from suitable truncated normal distribution. Such models have proven useful in practice and we have observed numerically reasonable results in the estimation of fixed effects when the random effect term is provided. Applications that utilize Korean Welfare Panel Study data can be difficult to model; subsequently, we find that an ordered probit model with the random effects leads to an improved analyses with more accurate and precise inferences.

영 과잉 순서적 프로빗 모형을 이용한 한국인의 음주자료에 대한 베이지안 분석 (Bayesian Analysis of Korean Alcohol Consumption Data Using a Zero-Inflated Ordered Probit Model)

  • 오만숙;오현탁;박세미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2호
    • /
    • pp.363-376
    • /
    • 2012
  • 순서적 다항 반응변수의 경우 종종 과도하게 많은 수의 관측치가 0 범주에서 발생하는 영 과잉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영 과잉 자료에서 0범주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여러 개 존재할 때 일반적인 순서적 프로빗 모형은 자료를 설명함에 있어서 한계를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영 과잉 특성을 반영한 이 단계 영 과잉 순서적 프로빗 모형의 베이지안 분석기법을 제시하고 이를 2008년도 통계청에서 조사한 한국인의 음주소비 자료에 적용시킨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음주소비가 하나도 없다고 답한 0 범주에 속하는 비음주자들을 신념 또는 영구적 건강상의 문제 등으로 상황에 관계없이 음주를 하지 않는 절대적 비음주자(genuine non-drinker, non-participant)와 현재 소비가 없지만 상황에 따라 음주자가 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음주자(zero consumption potential drinker)로 구분하는 프로빗 모형을 적용시켜 분석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잠재적 음주자와 1 이상의 범주에 속하는 실제적 음주자를 합하여 음주자 집단으로 보고 이에 대하여 순서적 프로빗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다. 분석결과, 비음주자 중 약 30%가 절대적 비음주자로 음주자료가 일반적 순서적 자료에 비하여 뚜렷한 영 과잉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각 변수의 한계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같은 설명변수가 절대적 비음주자와 잠재적 음주자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반대로 나타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따라서 한국인의 음주자료에 대하여 제안된 영 과잉 순서적 프로빗 모형이 유용함을 보여주었다.

Comparison of Waist-to-height Ratio (WHtR), Body Mass Index (BMI) and Waist Circumference (WC) as a Screening Tool for Prediction of Metabolic-related Diseases

  • Oh, Hyun Sook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305-312
    • /
    • 2015
  • The present study showed WHtR to be significantly better than BMI and WC for prediction of metabolic-related diseases in the middle-aged and older people in Korea, based on Bayesian ordered probit model analysis. The variations of WC, BMI and WHtR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etabolic-related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yslipidemia, stroke, myocardial infarction, angina pectoris and diabetes. It was found that the three measures showed the similar variation except a very few extreme cases for age less than 40. For subjects over the age of 40, WC was not significant and WHtR gave more influence in greater variability than BMI on the number of metabolic diseases. Also, the rate of change for WHtR was higher than for BMI as the number of metabolic-related diseases increased. Specifically, the difference of the marginal effect of WHtR between no disease and only one disease was 1.81 times higher than that of BMI. Moreov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threshold value of WHtR for obesity should be considered differently by age.

한국인의 연령대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EQ-5D)에 대한 주요 요인 분석 (Important significant 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EQ-5D) by age group in Korea based on KNHANES(2014))

  • 오현숙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3호
    • /
    • pp.573-58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연령대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효과를 분석,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4년도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에 참여한 19세 이상의 성인 5,976 명이며 EQ-5D 점수를 삶의 질에 대한 평가 척도로 이용하였다. 연령대는 젊은층(19세-39세), 중년층 (40세-65세), 노년층 (66세 이상)으로 나누었고 각 연령층에서 총 29개의 요인들에 대하여 베이지안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전 연령대에서 공통적으로 삶의 질에 주요한 효과를 나타내는 요인은 성별,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정도, 스트레스, 각종 질병요인들이다. 여성의 삶의 질은 남성보다 낮고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으며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 특히, 노년층에서 남녀간 차이와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식에 의한 차이가 두드러졌다. 질병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 그 정도는 중년층, 젊은층, 노년층 순이다. 연령집단을 비교했을 때, 중년기에는 직업 활동이 삶의 질에 주요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노년기에는 앉거나 누워있는 시간이 많을수록, 비만 정도가 심할수록 삶의 질이 낮고 걷기를 자주 할수록 삶의 질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