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ophilic cell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33초

한국산 플라나리아(Dugesia japonica Ichikawa et Kawakatsu) 유조직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Parenchymal Cell of Korean Planaria (Dugesia japonica))

  • 장남섭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3-70
    • /
    • 1987
  • 실험에 사용한 플라나리아는 Dugesia japonica Ichikawa et Kawakatsu로서 핵형분석에 의하여 종을 확인하였다, 이 종의 유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세포화학적 및 미세구조적 특징을 밝히고자 본 실험을 행하였다. 세포화학적으로 방법으로는 hematoxyline-edsin, periodie, acid-schiff(PAS),PAS-alcian blue 반응 그리고 methylene blue-basic fuchisn 두으로 염색으 시행하였고, 유조직의 미세구조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유조직에는 두 조의 유조직 세포 이외에 봉상체형성세포와 종의 호염기성세포, 1종의 호산성세포 그리고 투명과립세포 7종의 과립세포가 관찰되었다. 1.유리유조직세포(Free parenchymal cell): 핵막 바로 주위에 세포질에는 다수의 chromatoid body가 존재하였고 세포질에 비하여 핵은 매우 컸다. 핵질에서는 뚜렷한 인을 관찰할 수 있었고 큰 염색질은 핵질에 균일하게 많이 분포되었다. 2.고정유세포( Fixed parenchymal cell): 이 세포는 불규칙한 모습으로 많은 세포돌기를 내고 있었고, 세포질에는 전자밀도가 매우 낮은 투명질에 과립성소포체, mitochondria 그리고 Golgi체등이 발달되어 었었다. 3.봉상체 형성세포(Rhabdite-forming cell): 세포질에는 전자밀도가 매우 높은 봉상체과립(0.3 x 0.9 $\mu$m)들을 포함하였으며 과립성소포체,mitochondria 그리고 Golgi체 등의 세포소기관도 매우 발달되어 있었다. 4. A형 호염기성과립세포(Basophilic granule cell type A): 세포질내에는 alcian blue에 강한 양성반응을 나타내고 전자밀도가 매우 높은 불규칙한 형태의 과립 (1.4 x 0.7 $\mu$m)들이 밀접되어 있었다. 5. C형 호기성과립세포(Basophilic granule cell type C): 세포질에는 PAS반응에 양성을 나타내는 작은 과립(0.2$\mu$m)들이 분산되어 있었다. 이 유형의 과립들은 근육층에서도 관찰되었다. 6. D형 호기성과립세포(Basophilic granule cell type D): 생긱기관 주위의 유조직에서만 관찰되었으며 세포질에는 PAS반응에 강한 양성을 보이고 또한 약한 eosinophilic도 나타내는 원형의 과립들이 대부분 집단을 이루웠다. 7. E형 호기성과립세포(Basophilic granule cell type E): 생식기관 주위의 유조직내에서만 관찰되었으며, 세포질내에는 PAS양성과립(약0.2$\mu$m)이 극소수 분산되어 있었다. 8. 호산성 과립세포(Eosinophilic granule cell): 세포질에는 eosinophilia를 나타내며, 전자밀도가 매우 높은 구형 또는 불규칙형과립(0.3$\times$0.2-8$\times$0.4$\mu$m)들이 존재하였으며, cisternae가 넓은 과립성소포체도 매우 발달되어 있었다. 9. 투명과립세포(Transparent granule cell): 본 실험에서 실시된 세포화학적 염색반응에서 음성을 나타내는 투명과립을 포함하고 있는 이같은 세포들은 D형 호염기성과립세포 주위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 PDF

꼬막, Tegillarca granosa 소화맹낭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Digestive Diverticulum of Tegillarca granosa (Bivalvia: Arcidae))

  • 주선미;전미애;김혜진;구가연;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7-34
    • /
    • 2015
  • 꼬막 소화맹낭의 해부학적 구조와 미세구조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재하였다. 소화맹낭은 생식소 위쪽에 위치하며, 일차소관으로 위와 연결되어 있었다. 소화맹낭은 다수의 소화선세관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소화선세관은 단층 상피층으로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호염기성세포는 원주형으로 소화세포에 비해 전자밀도가 높았다.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 관상의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및 전자밀도가 높고 막을 가진 분비과립들을 함유하고 있었다. 소화세포는 세 가지 종류 (A, B, C) 로 구분 할 수 있었는데 이들 소화세포들은 세포형태, 전자밀도, 세포소기관의 발달 차이를 보였으나 자유면에서 섬모와 미세융모의 발달 및 세포질의 용해소체는 세 가지 상피세포에서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는 소화선세관의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는 각각 세포외 소화와 세포내 소화에 적당하게 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지중해담치, Mytilus galloprovincialis 소화맹낭의 미세해부학적 구조 (Microanatomical Structure of the Digestive Diverticulum of Mytilus galloprovincialis (Bivalvia: Mytilidae))

  • 주선미;이정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4호
    • /
    • pp.257-263
    • /
    • 2011
  • 지중해담치 소화맹낭의 해부학적 구조와 미세구조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재하였다. 소화맹낭은 황갈색으로 위를 둘러싸고 위치하며, 일차소관으로 위와 연결되어 있었다. 소화맹낭은 다수의 소화선세관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소화선세관은 단층 상피층으로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호염기성세포는 원주형이며,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 관상의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및 전자밀도가 높고 막을 가진 분비과립들을 함유하고 있었다. 소화세포는 원주형이며, 자유면에는 섬모와 미세융모가 발달되어 있었다. 세포질 상부에서는 음소포, 활성 용해소체 및 미토콘드리아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는 소화선세관의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는 각각 세포외 소화와 세포내 소화에 적당하게 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韓國産 플라나리아(Dygesia japonica Ichikawa et Kawakatsu) 表皮上皮細胞의 微細構造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Ultrastructure of the Integumental Epidermis of Korean Planaria (Dugesia japonica Ichikawa et Kawakatsu))

  • 장남섭;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4-208
    • /
    • 1985
  • 실험에 사용한 플라나리아는 Dugesia japonicia Ichikawa et Kawakatsu로서 核型分析에 의하여 種을 확인하였다. 이 種의 表皮上皮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세포화학적 및 미세구조적 특징을 밝히고자 본 실험을 行하였다. 세포화학적 방법으로는 hematoxylin-eosin, periodic acid-schiff(PAS)反應, alcian blue(pH 2.5), PAS-alcian blue反應 그리고 methylene blue-basic fuchsin 등으로 염색을 시행하였고, 체표면을 走査電子顯微鏡으로, 또한 各部位의 微細構造를 透過電子顯微鏡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플라나리아의 表皮는 單層圓桂形上皮로 되어 있었고, 상피를 구성하는 세포들은 형태학적 및 세포화학적 특성에 의하여 6類型의 세포들도 區分되었다. 1) 纖毛上皮細胞 (Ciliated epithelial cell) : microtubule 배열이 9+2型인 섬모를 가지고 있었다. 2) 好酸性細胞(Eosinophilic cell) : 세포질에 소수의 큰 好酸性 顆粒을 가진 세포로서, 전자 현미경하에서는 顆粒들은 棒狀形이고, 전자밀도가 매우 낮은 基質에 섬유상 구조물이 분산되어 있었다. 3) 粘液細胞(Mucous cell) : 세포질에 PAS 반응에 강한 陽性을 보이는 다양한 모습의 과립($0.8\\times0.3 \\muM$) 들이 충만되어 있었다. 4) 棒狀體形成細胞(Rhabdite-forming cell) : 세포질쪽에 매우 강한 eosinophilia를 나타내는 다양한 크기의 棒狀體顆粒을 한 개 혹은 여러개 가지고 있었으며, 顆粒의 전자밀도는 높았다. 5) A型 好鹽基性顆粒細胞(Basophilic granule cell type A) 背腹部 상피에서 관찰되었고 그 세포질에는 alcian blue(ph2.5)에 강하게 염색되는 $1.5\\times1.0 \\mum$의과립들을 상당히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과립들은 형태가 球形에 가깝거나 혹은 불규칙형이였고 전자밀도가 높았다. 이類型의 세포들은 柔組織에서 基底膜은 通過하여 表皮上皮로 이동되었다. 6) B型 好鹽基性細胞(Basophilic granule cell type B) 兩側部의 表皮上皮에서 관찰되었으며 세포질에는 PAS 반응에 강한 陽性을 보이는 $0.7\\times0.4 \\mum$의 과립들을 상당히 많이 包含하고 있었다. 전자밀도가 매우 높은 과립들의 형태는 비교적 불규칙하였다. 이類型의 세포들은 역시 柔組織에서 표피로 이동되었다.

  • PDF

개조개, Saxidomus purpuratus 소화맹낭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Digestive Diverticulum of Saxidomus purpuratus (Bivalvia: Veneridae))

  • 주선미;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9-165
    • /
    • 2011
  • 개조개 소화맹낭의 해부학적 구조와 미세구조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재하였다. 개조개는 한국 여수연안에서 2010년 5월에 채집하였다. 소화맹낭은 진한 녹색으로 생식소 위쪽에 위치하며, 일차소관으로 위와 연결되어 있었다. 소화맹낭은 다수의 소화선세관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소화선세관은 단층 상피층으로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호염기성세포는 원주형으로 소화세포에 비해 전자밀도가 높았다.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 관상의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및 전자밀도가 높고 막을 가진 분비과립들을 함유하고 있었다. 소화세포는 원주형이며, 자유면에는 미세융모가 발달되어 있었다. 세포질 상부에서는 음소포, 용해소체 및 미토콘드리아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는 소화선세관의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는 각각 세포외 소화와 세포내 소화에 적당하게 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한국산 산골플라나리아(Phagocata vivido Ijima et Kaburaki) 상피세포의 미세구조 및 세포화학적인 연구 (Fine structural and histochemical study on the epithelial cell of Korean planaria(Phagocata vivida Ijima et Kaburaki))

  • 장남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20권1호
    • /
    • pp.1-16
    • /
    • 1990
  • The epidermal tissue of Korean planaria Phagocata vivida(Ijima et Kaburaki) is composed of the simple columnar epithelium. The ventral epidermis of this animals is thinner than the dorsal epidermis and has a furrow in the median line in which dark cell is observed. The clear cells which are electron-lucent are located either side of the dark cells. Those are compactly covered with long cilia. The free surface of the latero-ventral epidermis is tightly contacted with the earth and this epidermal free surface has a great number of short cilia, and a lot of C-type of basophilic granule cell are migrated into the cytoplasm of epithelium from mesenchyme passing through the basement membrane and then this granules are put out of latero-ventral free surface. Dorsal epidermis is thickest among the whole epidermis of these animals and the rhabdite granules are more distributed in dorsal epidermis than in ventral epidermis. According to the cy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research, composed epidermis of this planaria are divided into nine type cells, that is, ciliated columnar epithelium, dark cell, mucous cell, rhabdite-forming cell, sunk round cell, A type, B type, C type and D type of basophilic granule cell.

  • PDF

Kaempferol Isolated from Nelumbo nucifera Stamens Negatively Regulates $Fc{\varepsilon}RI$ Expression in Human Basophilic KU812F Cells

  • Shim, Sun-Yup;Choi, Jae-Sue;Byun, Dae-Se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2호
    • /
    • pp.155-160
    • /
    • 2009
  • Mast cells and basophils perform important functions as pivotal effector cells in IgE-mediated allergic reactions. KU812F cells, a human basophilic cell line isolated originally from chronic myelocytic leukemia, express a high affinity receptor of IgE, $Fc{\varepsilon}RI$. Kaempferol was extracted and isolated from a methanolic extract of flavonoid-rich Nelumbo nucifera stamens. In the present study, the inhibitory effects of kaempferol on $Fc{\varepsilon}RI$ expression in human basophilic KU812F cells was examined. Flow cytometric analysis revealed that $Fc{\varepsilon}RI$ expression on the cell surface was suppres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hen the cells were cultured with kaempferol. Moreover, RT-PCR analysis showed that the mRNA levels for $Fc{\varepsilon}RI$ ${\alpha}-\;and\;{\gamma}$-chains were reduced as the result of kaempferol treatmen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Kaempferol showed its suppressive effects on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and histamine release from anti-$Fc{\varepsilon}RI$ ${\alpha}$-chain antibody-stimulated cel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kaempferol may exert antiallergic effect via down regulation of $Fc{\varepsilon}RI$ expression and degranulation.

PILOMATRICOMA 치험 1례 (A CASE OF PILOMATRICOMA)

  • 양희창;김수남;이동근;임창준;이창우;김은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2권3호
    • /
    • pp.34-41
    • /
    • 1990
  • The pilomatricoma (calcifying epithelioma of Malherbe) is rare benign hard, spherical and freely movable cutaneous tumor, which was differentiated from hair cells, particulary hair cortex cells. It is usually occured as a single, asymptomatic, 0.5 cm to 3.0 cm sized, deep seated, firm nodule, covered by normal or pink skin. It arises chiefly in young people, including children, and most often in the head, neck and upper extrimites. The authers experienced a case of pilomatricoma which occured in preauricular region. This case was summarized as follows. 1. 10 years old female has suffered from hard subepidermal mass on preauricular area and she visited our out patient clinic. So we performed surgical extirpation and the excised specimen was pathologically examined. 2. Grossly the tumor measures 2.0 cm in diameter and firm, bosselated, spherical shaped which covered by a thin layer of fibrous tissue. On cut section, it shows spicular gritty surfaces, well encapsulation, interwoven and keratotic lamellae. 3. Histopathologically, the epithelial masses of the tumor are composed of two type of cells, basophilic cells and shodow cells. The basophilic cells resemble hair matrix cells which posses round or elogated, deeply basophilic nuclei and scanty cytoplasm. The shadow cells show a central, unstained shadow at the site of the lost nucleus. Gradual development of basophilic cells into shadow cells can be observed. Foci of calcification are present within the lobule of shadow cells. The stroma of the tumor shows a considerable foreign body giant cell reaction adjacent to the shadow cells. 4. No recurrence was observed until post-operative 40 months.

  • PDF

양식 조피볼락에서 발생한 epitheliocystis의 증례 (A Case Report on Epitheliocystis in Cultured Rock Fish)

  • 김세라;이종환;손창호;김성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02-504
    • /
    • 2000
  • Epitheliocystis in cultured rock firth was examined Epitheliocystis infected gill epithelial cells resulted in the cells enlarging to 20 to 400${\mu}{\textrm}{m}$ in diameter. Key diagnostic feature is a large, granular, basophilic inclusion. filled with coccoid bodies, which occupies virtually the entire cell.

  • PDF

광물성 미네랄이 동물세포의 손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re Minerals on the Damages of Animal Cells)

  • 전유미;김점지;이미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391-1398
    • /
    • 200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uppressive effects of ore minerals on the allergic cell damages and oxidative cell damages. The ore minerals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ductions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interleukin-4 (IL-4) in rat basophilic leukemia cells challenged with 2,4-dinitrophenol-bovine serum albumin (DNP-BSA). Lipoxygenase activity was also reduced by the ore minerals. Moreover, the ore minerals showed weak protective effects on the oxidative damage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in pig kidney cells and retinal ganglion cells. Photohemolysis of erythrocytes in the presence of rose-bengal as a sensitizer was also inhibited by ore minera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re minerals may be useful as the protectant for allergic and oxidative cell dam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