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n history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33초

Younger Dryas Type Climatic Oscillation in the East Sea

  • Kim, Gil-Young;Kim, Dae-Choul;Shin, Im-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4권1호
    • /
    • pp.43-48
    • /
    • 1999
  • The latest-Quaternary paleoceanographic history of the Ulleung Basin, the East Sea (the Sea of Japan) is reconstructed on the base of planktonic foraminifera, oxygen and carbon isotopes, and accelerator mass spectrometer radiocarbon (AMS-$^{14}$C) data from two cores. Sinistral populations of Neogloboquadrina pachyderma are dominant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while dextral forms of Neogloboquadrina pachydeyma are abundant in the Holocene. An abrupt increase in ${\delta}^{18}$O values in both cores that began about 11 ka B.P may indicate the Younger Dryas cooling episode. A low-salinity event, marked by light ${\delta}^{18}$O values (0-1 %), is observed before the Younger Dryas event. As previous works suggested, the low-salinity event is probably due to the freshening of surface water caused by fresh water input from Huang Ho river and/or the excess of precipitation over evaporation. The lowest salinity water in the Ulleung Basin was probably continued from approximately 18 ka B.P. to 15 ka B.P. The ${\delta}^{18}$O values have gradually decreased since the Younger Dryas as a result of the continuous inflow of the warm Tsushima Current into the East Sea.

  • PDF

European Medieval and Renaissance Cosmography: A Story of Multiple Voices

  • CATTANEO, Angelo
    •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 /
    • 제4권1호
    • /
    • pp.35-81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essay is to propose a cultural history of cosmography and cartography from the thirteenth to the sixteenth centuries. It focuses on some of the processes that characterized these fields of knowledge, using mainly western European sources. First, it elucidates the meaning that the term cosmography held during the period under consideration, and the scientific status that this composite field of knowledge enjoyed, pointing to the main processes that structured cosmography between the thirteenth century and the sixteenth century. I then move on to expound the circulation of cosmographic knowledge among Portugal, Venice and Lisbon in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centuries. This analysis will show how cartography and cosmography were produced at the interface of articulated commercial, diplomatic and scholarly networks; finally, the last part of the essay focuses on the specific and quite distinctive use of cosmography in fifteenth-century European culture: the representation of "geo-political" projects on the world through the reformulation of the very concepts of sea and maritime networks. This last topic will be developed through the study of Fra Mauro's mid-fifteenth-century visionary project about changing the world connectivity through the linking of several maritime and fluvial networks in the Indian Ocean, Central Asia, and the Mediterranean Sea basin, involving the circumnavigation of Africa. This unprecedented project was based on a variety of sources accumulated in the Mediterranean Sea basin as well as in Asia and in the Indian Ocean over the course of several centuries.

Late Quaternay Paleoceanography as Recorded by Planktonic Foraminifera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 Kim, Gil-Young;Kim, Dae-Choul;Shin, Im-Chul;Yi, Hi-Il;Kim, Jeong-Ch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3권1-2호
    • /
    • pp.8-17
    • /
    • 1998
  • Paleoceanographic history of the East Sea is reconstructed based on several environmental parameters (coarse fraction content, planktonic foraminifera/benthic foraminifera ratio, fragmentation and assemblages of planktonic foraminifera, and coiling ratio of Neogloboquadrina pa-chyderma, etc,) of the late Quaternary sediments obtained from the Ulleung Basin. N. pa-chydeyma and Globigerina bulloides are dominant species (greater than 90% in abundance)among the total planktonic foraminifera assemblages in the late Quaternary sediments. The benthic foraminifera rarely occurred throughout the cores. Sinistrally-coiled specimens of N. pa-chyderma representing cold water temperature are observed more abundantly than dextrally-coil-ed ones. In addition, the sinistrally-coiled N, pachydeyma showed more the amount at the lower part of the cores than at the upper part suggesting the restrictio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into the East Sea during glacial period. G. bulloides, a species representative of upwelling condition, shows more abundant occurrence in the sediments of Core 941013 than those of Core 941006. This implies that Core 941013 is more influenced by upwelling than Core 941006. The upper part of the two cores contain more fragmentation of planktonic foraminifera suggesting significant dissolution by corrosive bottom wafer. Ascending CCD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absence of planktonic foraminifera at the upper part of the cores.

  • PDF

북동아시아 페스트 발생중 두만강 유역 전염병 예방과 국제협력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Tumen River Basin During the NorthEast Asian Black Death)

  • Lee, Yongzhi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76-285
    • /
    • 2017
  • 북동아시아 페스트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연변지역의 방역에 관한 내용은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북동아시아 페스트 관련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변지역 지방사료들을 참고하고 당시 두만강유역(주로 현 연변지역) 폐페스트 예방조치와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 문헌을 활용하여 사망수치에 대한 검증과 비록 제한적이지만 이 지역에 있었던 국제적 협력에 대해서도 고찰하고 페스트 역병방지에 있어 성과가 있게 된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 서해 경기만 반월 조간대(상부조간대) 퇴적층의 제4기 후기 층서와 부정합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Unconformity of the Banweol Tidal-Flat Deposits(upper tidal flat) and Unconformity, Kyunggi Bay, West Coast of Korea)

  • 박용안;임동일;김수정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5-135
    • /
    • 2000
  • 한국 서해 경기만 반월조간대 퇴적층(체)의 제 4기 후기 층서가 상부조간대(upper tidal flat)의 퇴적층에서 실시된 심부시추(기반암까지 시추)의 자료에 근거하여 설정되었다 즉, 선캠브리아 변성퇴적암의 기반암위에 선현세 하성-충적층(빙하기의 낮은 해수면 시기)인 Unit II의 층서퇴적단위가 부정합적으로 놓이고 Unit II는 현세 중기-후기(middle-late Holocene)의 상부조간대층(체)인 Unit I에 의하여 부정합적으로 피복된다. 이러한 제 4기 후기 층서는 해양퇴적학으로 분석된 자료에 의하여 설정되었으며, 또한 고기후-고해수면 변동의 고환경적 요건으로 해석되었다.

  • PDF

남한(南韓)의 지구조운동(地構造運動)과 금속광상(金屬鑛床) (Geotectonic Movements and Metal Ore Deposits in South Korea)

  • 신병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7권1호
    • /
    • pp.1-21
    • /
    • 1974
  • From the point of view of geological history, the land of South Korea is regarded as the subject of processes of the changes in formations of several geological blocks such as Kyonggi massif, Yeongnam massif, Taebaegsan basin, Kyungsang basin and so on. Through the long period of geological chronology, the present topography and geotectonics have been formed by the complicate interactions of epirogenetic movements, magmatism, orogenesis, differential vertical movements, metamorphism and sedimentation. The reason of the crust movements mentioned above, is suppossed that the Pacific and West Pacific plate have subducted directly or indirectly into the East Asia plate. This fact can be endorsed by the results of the studies on the heat flow, gravity anomaly, absolute age dating, tectonic lineation, lithofacies and the temperature of hot spring in South Korea. The formations of metal ore deposits as well as other geological processes can be determined by the mechanical control of the plates and be divided into several systematic patterns. The investigation of about 110 metal mines in South Korea shows the following results. (1) Plate boundary volcanic type is about 28% (2) Plate boundary plutonic type is about 44% (3) Intraplate sedimentary type is about 26% (4) Intraplate magmatic type is about 2%.

  • PDF

일본 산닌-쓰시마 해양에 존재하는 퇴적분지의 분포와 특성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dimentary Basin Offshore San-in to Tsushima Islands)

  • 박세진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0권1_2호
    • /
    • pp.34-39
    • /
    • 2004
  • 본 자료는 지난 1979년 일본석유기술협회지(Journal of the Japanese Association of Petroleum Technologists, vol. 44)에 게재된 보고서의 일부로, 신서일본석유개발(주)소속의 Akira Minami가 발표한 논문(일본명 산음-마충 퇴적분지의 분포와 성격)을 한역하였다. 영문이나 우리 말로 바꾸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확실하지 않은 것은 원전대로 표기하였다.

  • PDF

濕地 堆積物의 花粉組成과 無機質含量으로 본 東北 日本의 後氷期 四面崩壞 履歷 (Recurrence History of Slope Failure during the Holocene in Northeastern Japan)

  • 박지훈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8권1호통권22호
    • /
    • pp.31-39
    • /
    • 2004
  • 東北 日本의 후빙기 사면붕괴 이력을 복원하기 위하여 3지역(川통盆地, 茂庭, 高田濕原, 根白石濕原)의 습지 퇴적물의 화분조성과 무기질함량을 대상으로 安定-不安定 曲線 그래프(이하 S-U曲線)와 灼熱減量 曲線 그래프(이하 IL曲線)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S-U曲線에 의하면 사면붕괴 발생빈도가 높은 시기는 川통盆地에서는 약 5,600~4,670yrB.P.의 1회, 茂庭 $\cdot$ 高田濕原에서는 약 6,390~5,070yrB.P.와 약 4,750~3,800yrB.P.의 2회, 根白石濕原에서는 약 6,630~6,070yrB.P., 약 5,890~5,360yrB.P. 및 약 5,000~4,650yrB.P.의 3회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IL曲線에 의하면 사면붕괴 발생빈도가 높은 시기는 川통盆地에서는 약 5,600~5,140yrB.P.의 1회, 茂庭 $\cdot$ 高田濕原에서는 약 6,390~6,170yrB.P.와 약 4,750~2,840yrB.P.의 2회가 확인되었다. 이와같은 분석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조사지역의 지형 $\cdot$지질단면도로부터 추정된 결과와 매우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이수평가지수 개발을 통한 유역별 물이용 특성 평가 (Evaluation of Basin-Specific Water Use through Development of Water Use Assessment Index)

  • 백승협;최시중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67-38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물이용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세부지표 및 주제별 중간지수를 과거자료 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하여 선정하고 주제접근방식의 구성체계로 구성하였다. 또한 이를 종합하여 유역의 물이용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통합지수(이수취약성지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수를 이용하여 1990년부터 2007년까지의 유관기관의 자료를 활용하여 북한을 제외한 812개의 표준유역에 대해 물이용 특성을 평가하였다. 지표산정에 있어 여러 표준화 및 가중치부여 방법 중 타당한 방법을 찾고자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개발된 지표의 객관성을 높이고자 물이용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다른 지표와는 달리 피해이력을 세부지표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실증적인 지표 및 지수 개발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피해이력 유무에 따른 결과 비교 분석과 2008년 강원지역에 현장 적용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지수의 검증 과정을 통하여 세부지표의 선정과 지수 산정 방법 및 산정식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역의 물이용 관련 취약성을 시 공간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관련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써 물이용 관련 사업이나 정책의 우선순위 결정, 취약부분에 대한 보완책 마련 등의 대책 및 수립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부분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직운산 세일층의 지화학적 연구: 태박산분지 오오도비스 중기 응축층 규명을 위한 시퀀스층서학적 적용 (Geochemical Study of the Jigunsan Shale: A Sequence Stratigraphic Application to Defining a Middle Ordovician Condensed Section, Taebacksan (Taebaeksan) Basin)

  • 유인창;유선영;손병국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1호
    • /
    • pp.27-53
    • /
    • 2009
  • 태백산분지 백운산향사대의 남익부를 따라 약 30 m 두께로 노출되어 있는 오오도비스 중기의 직운산셰일층은 그동안 탄산염 대지환경에서 퇴적된 막골석회암층를 피복하는 해침상의 셰일층으로 단순히 해석되어져 왔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들은 직운산셰일층 대부분이 직운산셰일층 하부구간에 나타나는 유기물질이 풍부한(>3 wt.%) 흑회색 셰일로 구성된 약 240 cm 두께의 최대해침기 동안에 퇴적된 박층의 해성층 위를 피복하는 해퇴상의 셰일층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지시한다. 정밀 층서 분석과 병행하여 실시한 주성분원소 분석, 조성광물 분석, 미량원소 분석 및 총유기탄소와 무기탄소 분석은 직운산셰일층 하부구간에 나타나는 박층의 해성층을 고수위기 초기 동안에 밀도변환면이 확장됨에 따라 형성된 특징적인 무산소환경에서 퇴적된 응축층으로 규정하기를 허락한다. 아울러 직운산셰일층 하부구간 내에서 해침면, 최대해침면, 최소퇴적감소면, 해퇴개시면과 같은 시퀀스층서학적 또는 환경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뚜렷한 특징의 층서면들이 인지되었다. 이러한 층서면들은 향후 태백산분지 내 오오도비스 중기 퇴적층들의 정교한 지역간 층서대비 및 구조운동에 따른 층서적 변이와 함께 분지발달사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이끌어 내는데 매우 유용한 정보들을 제공해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