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eline Correction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4초

Field research for Advanced GPS Network RTK Solution

  • Kang, Sang-Gu;Cranenbroeck, Joel van;Oh, Sang-Hoon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1
    • /
    • pp.411-415
    • /
    • 2006
  •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considerable interest in the network GPS RTK surveying. Single RTK has some limit in long distance and it has an accuracy problem depend on the baseline length.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f GPS network technology, RTCM V3.0 correction format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can eliminate the weakness of single GPS RTK. This paper is the practical field result of GPS network RTK.

  • PDF

적대적 생성 신경망을 이용한 문법 오류 교정 (Grammatical Error Correction Using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 권순철;유환조;이근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9년도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488-491
    • /
    • 2019
  • 문법 오류 교정은 문법적으로 오류가 있는 문장을 입력 받아 오류를 교정하는 시스템이다. 문법 오류 교정을 위해서는 문법 오류를 제거하는 것과 더불어 자연스러운 문장을 생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적대적 생성 신경망(GAN)을 이용하여 정답 문장과 구분이 되지 않을 만큼 자연스러운 문장을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 결과 GAN을 이용한 문법 오류 교정은 MaxMatch F0.5 score 기준으로 0.4942을 달성하여 Baseline의 0.4462보다 높은 성능을 기록했다.

  • PDF

기선 거리에 따른 이동체의 N-RTK 위치정확도 평가 (Evaluation of N-RTK Positioning Accuracy for Moving Platform)

  • 김민서;배태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59-267
    • /
    • 2020
  • 실시간 정밀 위치결정을 위해서 N-RTK (Network Real-Time Kinematic) 기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N-RTK 시스템은 사용자 수 제한으로 인해 지속해서 늘어나는 무인 이동체의 위치결정을 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 수 제한 없이 보정 신호를 생성하는 시스템이 있다면 어느 정도의 간격으로 있어야 전국어디에서든 위치결정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여 기선 거리에 따른 N-RTK 시스템의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다양한 장비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여 서로 다른 성능의 수신기로 로버 위치를 추정하였으며, 자료처리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RTKLIB을 활용하였다. 실험 결과, 로버와 가장 가까운 기준국에서는 수신기의 종류와 관계없이 높은 비율로 고정해가 산출되었으며, 추정 좌표의 정확도 역시 비슷한 수준으로 결정되었다. 로버에서 약 40km 떨어져 있는 기준국 보정 신호를 활용하는 경우, 고정해 산출 비율은 평균 약 50% 정도 감소하였으나 수직 RMSE (Root Mean Squared Error)는 약 2.5-4.7cm로 단기선 결과(1.0-1.5cm)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고가형 수신기는 장기선에서도 이상값(outlier)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향후 과학기술용 정밀 자료 처리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고정해 산출과 좌표 추정 정확도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예정이다.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한 SBR 혼합물의 미세구조 분석 (Microstructural Analysis of SBR Blends Using Infrared Spectroscopy)

  • 김여울;최성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2호
    • /
    • pp.103-109
    • /
    • 2014
  • 유화중합 SBR (E-SBR)과 용액중합 SBR (S-SBR) 블렌드를 제조하여 이들의 미세구조(styrene, 1,2-unit, cis-1,4-unit, 그리고 trans-1,4-unit 함량)를 투과 방식 휴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Valley-to-valley 바탕선으로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TV)이 객관적으로 가장 타당한 방법이나 cis-1,4-unit의 피크 세기를 정확히 측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cis-1,4-Unit이 포함된 4가지 미세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바탕선을 보정하지 않은 방법(TM)과 최대 투과도를 99%로 조정한 방법(TB)을 TV 방법과 비교하였다. TB 방법으로 구한 결과가 TM 방법으로 구한 결과보다 TV 방법으로 구한 결과와 좀 더 가깝게 나타났다. TM 방법과 TB 방법으로 구한 흡광도를 ISO/FDIS 21561:2005(E)에 제시한 계산식을 이용하여 미세구조 함량을 결정하였다. E-SBR/S-SBR 블렌드 비에 따른 styrene, 1,2-unit, 그리고 trans-1,4-unit 함량의 변화는 비교적 선형성을 보였으며, TM 방법과 TB 방법으로 얻은 결과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cis-1,4-Unit 함량의 변화는 TM 방법과 TB 방법에 상관없이 직선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2009 SWAT-KOREA 컨퍼런스 특별호 논문> 기후변화가 충주댐 유역의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평가를 위한 유역 모델링 (Watershed Modeling for Assessing Climate Change Impact on Stream Water Quality of Chungju Dam Watershed)

  • 박종윤;박민지;안소라;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10호
    • /
    • pp.877-88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기후변화가 충주댐 유역(6,585.1 km$^2$)의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미래 기상자료는 IPCC에서 제공하는 A2, A1B, B1 배출시나리오를 포함하는 ECHAM5-OM 모형의 결과를 과거 30년(1977-2006, baseline period) 기후자료를 바탕으로 편이보정(bias correction)과 Change Factor Method로 Downscaling 하였다. 6년(1998-2003) 동안의 일별 유출량 및 월별 수질(SS, T-N, T-P)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 및 검증을 실시한 후, Downscaling된 ECHAM5-OM의 A2, A1B, B1 시나리오에 대해 2020s, 2050s, 2080s로 대별되는 미래의 수문학적 거동 변화 및 하천수질 변화를 전망하였다.

Selective Muscle Activation With Visual Electromyographic Biofeedback During Scapular Posterior Tilt Exercise in Subjects With Round-Shoulder Posture

  • Son, Jae-ik;Lim, One-bin;Han, Hae-rim;Cynn, Heon-seock;Yi, Chung-hwi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7-2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ual electromyography (EMG) biofeedback on the EMG activity of the lower trapezius (LT), serratus anterior (SA), and upper trapezius (UT) muscles, the LT/UT and SA/UT EMG activity ratios, and the scapular upward rotation angle during scapular posterior tilting exercise (SPTE). Twenty-four subjects with round-shoulder postu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MG activities of the LT, SA, and UT were collected during SPTE both without and with visual EMG biofeedback. The scapular upward rotation angle was measured at the baseline, after SPTE without visual EMG biofeedback, and after SPTE with visual EMG biofeedback. The LT, SA, and UT EMG activities, and the LT/UT and SA/UT EMG activity ratios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The scapular upward rotation angle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repeated analysis of variance. If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 Bonferroni correction was performed (p=.05/3=.017). The EMG activities of LT and SA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EMG activity of UT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SPTE with visual EMG biofeedback compared to SPTE without visual EMG biofeedback (p<.05). In addition, the LT/UT and SA/UT EMG activity ratio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SPTE with visual EMG biofeedback compared to SPTE without visual EMG biofeedback (p<.05). Significant increases were found in the scapular upward rotation angle after SPTE without and with visual EMG biofeedback compared to baseline (p<.017),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scapular upward rotation angle between SPTE without and with visual EMG biofeedback. In conclusion, SPTE using visual EMG biofeedback may be an effective method for increasing LT and SA activities while reducing UT activity.

기준국 간 대류권 지연 변칙이 네트워크 RTK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opospheric Delay Irregularity in Network RTK Environment)

  • 한영훈;고재영;신미영;조득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569-2575
    • /
    • 2015
  • 네트워크 RTK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다수의 기준국의 보정정보를 사용자 위치에 맞게 보간하여 사용함으로써 기준국과 사용자 간 기저선 거리 증가에 따른 공간이격 오차를 최소화 한다. 하지만 대류권 지연은 기상의 함수로 국지적인 기상변화를 원인으로 사용자와 네트워크 내 기준국 간 대류권 지연에 비선형 특성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 RTK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태풍이 있던 날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류권 지연 변칙 사례를 모델링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준국 간 기상차이가 기준국에서 생성하는 보정정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기준국 간 대류권 지연의 비선형성이 네트워크 RTK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Do closed reduction and fracture patterns of the nasal bone affect nasal septum deviation?

  • Choi, Jun Ho;Oh, Hyun Myung;Hwang, Jae Ha;Kim, Kwang Seog;Lee, Sam Yong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9-124
    • /
    • 2022
  • Background: Many severe nasal bone fractures present with septal fractures, causing postoperative septal deviation and negatively affecting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However, when a septal fracture is absent,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ether surgical correction can help minimize nasal septal deviation postoperatively. This study determined whether performing closed reduction on even mildly displaced nasal bone fracture could deter the outcome of septal devia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data of 116 patients aged 21-72 years who presented at the outpatient clinic and emergency room with fractures of nasal bones only without any involvement of the septum from January 2014 to December 2020.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fracture type groups: A (unilateral), B (bilateral), and C (comminuted with depression). The degree of septal deviation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angle between the apex of the most prominent point and the crista galli in the coronal view on computed tomography imag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gles of the initial septal deviation and that of the follow-up was calculated and expressed as delta (Δ). Results: Closed reduction tended to decrease the postoperative septal deviation in all fracture types, but the values were significantly meaningful only in type A and B fractures. In the surgical group, with type A as the baseline, type B showed a significantly larger Δ value, but type C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lthough type C showed a smaller Δ value. In the conservative group, with type A as the baseline, the other fracture types presented significantly lower Δ values. Conclusion: For all fracture types, closed redu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xtent to which the nasal septum likely deviated. Therefore, when a patient is reluctant to undergo closed reduction, physicians should address the possible outcomes and prognosis of untreated nasal bone fractures.

Evaluation of periodontal parameters and gingival crevicular fluid cytokines in children with anterior open bite receiving passive orthodontic treatment with a spur

  • Tou, Gabriel Antonio dos Anjos;Diniz, Ivana Marcia Alves;Ferreira, Marcus Vinicius Lucas;Mesquita, Ricardo Alves;Yamauti, Monica;Silva, Tarcilia Aparecida;Macari, Soraia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42-149
    • /
    • 2022
  • Objective: To evaluate clinical parameters and gingival crevicular fluid (GCF) cytokines in children with anterior open bite receiving passive orthodontic treatment with spurs. Methods: Twenty children with indications for interceptive orthodontic treatment, an anterior open bite, and good oral hygiene and periodontal health were included in this study. GCF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mandibular and maxillary central incisors before (baseline) and 24 hours and 7 days after spur bonding. Clinical and periodontal examinations and cytokine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At 7 days after spur attachment, gingival bleeding in the mandibular group was increased relative to that in the maxillary group. Visible plaque was correlated with gingival bleeding at 7 days and the GCF volume at 24 hours after spur attachment. Compared with those at baseline, interleukin (IL)-8 levels in the maxillary group and IL-1β levels in both tooth groups increased at both 24 hours and 7 days and at 7 days, respectively. At 24 hours, IL-8, IL-1β, and IL-6 levels were higher in the maxillary group than in the mandibular group. Cytokine produ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creased GCF volume, but not with gingival bleeding, visible plaque, or probing depth. Conclusions: Although orthodontic treatment with spurs in children resulted in increased gingival bleeding around the mandibular incisors, IL levels were higher around the maxillary incisors and not correlated with periodontal parameters. Increased cytokine levels in GCF may be associated with the initial tooth movement during open bite correction with a passive orthodontic appliance in children.

국내 학술논문의 동명이인 저자명 식별을 위한 방법 (A Method for Same Author Name Disambiguation in Domestic Academic Papers)

  • 신다예;양기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1-319
    • /
    • 2017
  • 저자명 식별이란 다른 이름으로 표기된 한 명의 개인을 식별하는 것과 같은 이름을 가진 서로 다른 저자들을 각기 구별된 개인으로 분류하는 것으로, 저자의 연구 목록 및 연구 업적 평가, 특정 분야의 전문가를 검색하거나, 인용색인과 같은 학술 정보 서비스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본 연구는 단순 머신러닝만을 사용한 실험 결과와 휴리스틱 방식으로 데이터 셋의 오류 수정 및 정규화 작업을 이후 머신러닝의 처리 과정에 룰 베이스 기반의 규칙을 부여한 저자명 식별 실험의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인간의 개입이 머신러닝의 단점을 보완하고 저자명 식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F-measure 0.1 이상 향상시킨 정규화 된 email기반의 룰 베이스 저자식별 결과로 정규화 과정과 휴리스틱 설정에 필요한 인간의 패턴인식과 추론능력이 머신러닝의 단점을 보완해줄 수 있음에 대한 가능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