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eflow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33초

격자기반의 토양수분추적에 의한 지하수함양량 추정기법 개발 (Assessment of Groundwater Recharge via Grid-based Soil Mosture Routing)

  • 김성준;채효석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2-27
    • /
    • 1998
  • A grid-based soil moisture routing model(GRISMORM) was developed to assess the infor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using spatial data such as Landsat TM and digital elevation model etc.. The model predicts the hydrologic components, that is, surface runoff, subsurface runoff, baseflow and evapotranspiration at each grid elements by grid-based water balance computation.

  • PDF

유역물수지 분석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추정 (Estimation of the Quantity of Ground Water Recharge using the Water Balance)

  • 박찬제;김태철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65-268
    • /
    • 2002
  • The ground water regime analysis method, numerical analysis method, water budget method, and baseflow analysis method have been used for estimating ground water recharged quantity. This study, adapting water budget concept of unsaturated zone, and saturated zone of the DAWAST model, proposed a new method to estimate ground water recharged quantity.

  • PDF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들을 위한 강우(降雨)와 기저유출(基底流出)의 선형해석(線形解析) (A Linea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Base Flow for Physical Characteristics)

  • 김재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47-57
    • /
    • 1983
  • Kraijenhoff에 의(依)하여 제안(提案)된 지하수(地下水)의 충격응답(衝擊應答)의 매개변수(媒介變數), 즉(卽) 저류계수(貯溜係數) j는 최소자승기준(最小自乘基準)에 의(依)하여 결정(決定)된다. 일련(一連)의 각(各) 호우(豪雨)가 포화(飽和)된 흙을 통(通)하여 지하수(地下水)에 얼마만큼 기여(寄與)하는가를 나타내는 정도(程度)(${\alpha}$)는 관측(觀測)된 유출수문곡선(流出水文曲線)과 유도(誘導)된 유출수문곡선(流出水文曲線) 사이의 편차(偏差)를 최소(最小)로 하는 최적화(最適化) 기법(技法)에 의(依)하여 구(求)하여진다. 선형이론(線形理論)을 해석(解析)하기 위하여 회선누적(廻旋累積)을 사용(使用)하였다. 본(本) 연구(硏究)에 사용(使用)한 수치예(數値例)는 Virginia, Leesburg 부근(附近)의 Goose Creek 유역(流域)의 호우사상(豪雨事象)에 대(對)하여 수행(遂行)하였다. 그 결과(結果)로서 지하수(地下水) 단위도(單位圖)와 기저유출(基底流出)의 추정(推定)이 가능(可能)하였다. 시도(試圖)된 최적화(最適化) 기법(技法)은 제약조건(制約條件)만이 본(本) 연구결과(硏究結果)를 얻는데 충족(充足)할 수 있었으며, 본(本) 연구방법(硏究方法)은 기저유출(基底流出) 산정(算定)에 기여(寄與)될 수 있으리라 판단(判斷)된다.

  • PDF

샘물 취수정이 위치한 소유역의 지하수함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harg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Subcatchment including Spring Water Wells)

  • 손두기;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30권3호
    • /
    • pp.303-314
    • /
    • 2020
  • 먹는샘물 제조업체의 경우 주기적인 환경영향조사, 일취수량 제한, 그리고 취수량 및 수위, 수질(pH, EC, 온도)을 1시간 간격으로 계측하여 매월 보고하고, 정기 수질검사 등을 통해 엄격히 관리하고 있어 과잉 취수로 인한 지하수위 강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사례가 적으나 제조업체 주변 지하수관련 민원의 원인 제공자로 각인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환경영향조사의 물수지 분석 시 수문분야 전문가들의 평가에 부합하고, 비전문가에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법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샘물 취수정이 위치한 소유역의 지표수 수위 및 유출량을 측정하고 상시하천의 월별 기저유출량을 분리하였다. 또한 동일 유역의 지하수(취수정), 지표수, 강수의 산소, 수소 동위원소를 분석하여 지하수와 지표수의 함양특성에 관하여 추정하였다.

K-DRUM 개선을 위한 초기토양함수 자동보정기법 개발 (A Development of Auto-Calibration for Initial Soil Condition in K-DRUM Model)

  • 박진혁;허영택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1-7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격자강우량과 격자기반의 GIS수문 매개변수와 연계하여 홍수기 유출량의 시공간적 분포를 파악할 수 있도록 물리적인 운동파 이론에 근거한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인 K-DRUM을 자체 개발하였다. 이 모형은 홍수 기동안의 지표흐름과 지표하 흐름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 분포를 모의할 수 있으며, 전처리과정으로서 ArcView 를 이용하여 모형에 필요한 ASCII형태의 입력 매개변수 자료들을 가공하였다. 또한 후처리과정으로서 모형의 수행결과인 유역내의 유출량 분포 등을 GIS상에서 나타낼 수 있도록 ASCII형태로 출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TecPlot 을 이용하여 유출량을 에니메이션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유출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초기토양함수 상태에 대한 자동보정기법을 추가 개발하였으며, 남강댐유역을 대상으로 기저유출해석을 수행하여 개발된 자동보정기법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K-DRUM모형의 초기토양함수조건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자동보정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시행착오법으로 인해 소요되는 시간과 부정확한 설정으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 PDF

지하철에 의한 서울특별시 광역 지하수 유동 특성 (Regional Groundwater Flow Characteristics due to the Subway System in Seoul, Korea)

  • 신에스더;김형수;하규철;윤희성;이은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0권3호
    • /
    • pp.41-50
    • /
    • 2015
  • Hydrogeologic environment of the Mega City such as Seoul, suffers from rapid changes caused by urbanization,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ubway or buildings, and contaminant loading by diverse anthropogenic activities. Understanding the present condition of groundwater environment and water budget is necessary to prevent natural and manmade disasters and to prepare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 management of urban environment. In this study, regional groundwater flow and water budget status of Seoul was analyzed using numerical simulation. Modeling result indicated that groundwater level distribution of Seoul generally followed the topography, but the significant decreases in groundwater level were observed around the subway network. Steady-state water balance analysis showed groundwater recharge by rainfall and leakage from the water supply network was about 550,495 m3/day. Surface water inflow and baseflow rate via Han River and major streams accounted for 799,689 m3/day and 1,103,906 m3/day, respectively. Groundwater usage was 60,945 m3/day, and the total groundwater leakage along the subway lines amounted to 114,746 m3/day. Modeling results revealed that the subway could decrease net groundwater baseflow by 40%. Our study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subway system ca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roundwater environment of Seoul.

지표수지하수 통합모형을 이용한 무심천 유역의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 (Estimating Exploitable Groundwater Amount in Musimcheon Watershed by Using an Integrated Surface Water-Groundwater Model)

  • 정일문;이정우;김남원
    • 자원환경지질
    • /
    • 제44권5호
    • /
    • pp.433-442
    • /
    • 2011
  • 우리나라의 지하수관리는 연간 지하수 함양량을 기반으로 수행되어 왔으나 지히수 함양량과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은 시공간적으로 변동하는 양이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동적인 분석을 통해 지하수자원의 지속가능성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심천 유역을 대상으로 지표수-지하수 통합해석 모형인 SWAT-MODFLOW를 이용하여 다양한 지하수 양수 시나리오(무양수 및 현 이용량의 1~3배)에 대한 수문성분 해석을 수행하였다. 현 이용량으로 양수하는 경우가 비교적 지속가능한 개발량으로 판단되었는데 이때 연간 기저유출량은 16%, 대수층 저류량은 27 mm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하수 이용에 따른 수문학적, 생태학적, 사회 경제적, 기술적 영향을 평가하는 총체적 접근법이 도입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물리적인 분석과 함께 지역사회의 합의 또한 중요한 의사결정 방식이라고 판단되었다.

미국 알라바마에서 지질학적으로 다른 두 하천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Two Geologically Different Streams in Alabama, U.S.A.)

  • Joo, Gea-Jae;Ward, Amelia 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1호
    • /
    • pp.1-15
    • /
    • 1995
  • Alakline phosphatase activity (AP A) as a phosphorus deficiency measurement in flowing waters and of microhabitats (rocks, wood, leaves, and sediments) was measured and its relationship to flux of nutrients and response to rainfall events were determined for two geologically different streams in west Alabama from August to November. Results indicated water column AP A in both streams had a low correlation with levels of orthophosphate, total organic phosphorus, nitrate, ammonia, dissolved organic carbon, and discharge (r=0.075-0.583; n=g-IU. Communities on rock surfaces showed a higher AP A level than those on wood and leaves. Sediment passed through a $106{\mu}m$ sieve showed 2-9 times higher AP A level than material passed through $425{\mu}m$ sieve. The first storm after drought at Yellow Creek introduced substantial quantities of DOC (2.5 times baseflow concentrations) and $N0_3-N$ (5.8 times baseflow concentrations) which did not affect AP A significantly. The second storm at Little Schultz Creek caused minor changes in nutrient cocentrations; however $N0_3-N$ levels and AP A were drastically lower due to the dilution effect. Retention of stream water AP A at Yellow Creek and Little Schultz Creek on $0.45{\mu}m$ filter (54 and 43%, respectively) and $0.22{\mu}m$ (83 and 77% of total APA. respectively) indicated more free dissolved portion of the enzyme was present at Little Schultz Creek. Little Schultz Creek (with carbonate and with a higher productivity and biomass) showed a consistantly greater AP A activity $(132{\pm}54\;{\mu}M{\cdot}1^{-1}{\cdot}min^{-I};\;n=g)$ than Yellow Creek $(41{\pm}23\;{\mu}M{\cdot}1^{-I}{\cdot}min^{-I}$, with a sandstone substrate; n=l1, $p{\leq}O.OO1)$. Overall, a greater APA on all microhabitats and the presence of more dissolved enzyme in Little Schultz Creek during the study period may indicates it is more P deficient than Yellow Cree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