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al cell adenoma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9초

경부전이를 동반하여 이하선에 발생한 기저세포선암 1예 (A Case of Basal Cell Adenocarcinoma with Neck Metastasis in the Parotid Gland)

  • 박재홍;김원식;변형권;홍현준;정혜연;반명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9-42
    • /
    • 2015
  • Basal cell adenocarcinoma is a extremely rare low grade malignancy of the salivary gland. It is composed of basaloid cells with dark cell, light cells and pale cytoplasm which shows infiltrative growth pattern into adjacent glandular parenchyme. The pathophysiology of basal cell adenocarcinoma is not well known. First hypothesis is a malignant transformation of the monomorphic adenoma and second one is a de novo origin. Metastasis to the regional lymph nodes is rare.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basal cell adenocarcinoma with neck metastasis after previous superficial parotidectomy. For this reason we report this rare case discussed with references.

  • PDF

바깥귀길에서 발생한 상피-근상피암종의 세포소견 - 1예 보고 - (Cytologic Features of Epithelial-Myoepithelial Carcinoma Occurring in External Auditory Canal - A Case Report -)

  • 이호창;송형근;최영석;이옥준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2-56
    • /
    • 2008
  • Epithelial-myoepithelial carcinoma (EMC) is a low grade malignant neoplasm that commonly occurs in the parotid gland. Recently, we investigated a case of EMC that occurred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EAC) in a 35-year-old male, and this tumor was initially diagnosed as pleomorphic adenoma. The difficulty associated with diagnosing EMC by aspiration cytology arises from both the rare incidence of this tumor and the overlapping spectrum of cytological features found in various salivary gland tumors, such as pleomorphic adenoma, basal cell adenoma and adenoid cystic carcinoma.

윗 입술에서 발생한 다형선종: 증례보고 (Pleomorphic Adenoma of the Upper Lip: A Case Report)

  • 김태현;정성흠;김정헌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3-36
    • /
    • 2024
  • Pleomorphic adenoma (PA) is a commonly occurring benign tumor originating in the salivary glands. The incidence is mostly in the parotid glands (85%) followed by minor salivary glands (10%). Pleomorphic adenoma from minor salivary glands of the lips is a rare neoplasm. Here, we present a case of a patient with PA in the upper lip, reporting a common neoplasm in a rare site. A 82-year-old male with a slowly progressing swelling that occurred 20years ago on the upper white lip. This tumor is not associated with pain and tenderness. The mass was about 1.5x1.5cm sized, circumscribed, sessile and firm on the external upper lip without oral side bulging (Fig. 1). The tumor was removed completely with a elliptical incision under local anesthesia. The encapsulated mass was measured 0.9x0.9x0.6cm. On histology, a well-circumscribed growth was seen comprising epithelial and stromal components. The epithelial component formed glandular structures lined by round-to oval cells having small nuclei, pink cytoplasm and myoepithelial basal cell layer while the stroma had a fibromyxoid appearance(Fig. 2). Postoperatively wound was well healed without recurrence after 6months. Pleomorphic adenoma of the upper lip is a rare neoplasm, especially not intraoral growth. For aesthetic good result, the mass was removed without hesitation. It is required a high index of suspicion and a long-term follow-up because it could recur and rarely be transformed into malignancy.

개 유선종양의 병리학적 관찰 및 유선 혼합종양의 연골기원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Pathologic observations on the canine mammary gland tumors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origin of chondroid tissue in mammary gland mixed tumors)

  • 김용백;서일복;김재훈;박은정;김대용;한정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43-854
    • /
    • 1997
  • Sixteen mammary gland tumors were collec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average age of the bitches with mammary gland tumor was 10 years. Total 17(60.7%) out of 28 tumor masses observed in 4th and 5th glands. Classification of these tumors according to Hampe and Misdorp were simple adenoma, complex adenoma, benign mixed tumor, papillary adenocarcinoma, solid adenocarcinoma and malignant mixed tumor. Immunohistochemical reaction of the intermediate filaments against normal canine mammary gland showed as followed; anti-cytokeratin 18 was strong and anti-cytokeratin 14 was moderate to the luminal epithelium. Anti-cytokeratin 14 and anti-pancytokeratin to the myoepithelium were showed strong, but anti-vimentin was weak in reactivity. Anti-vimentin to the interstitial cells was represented strong reactivity. The origin of cartilage in mixed tumor of canine mammary gland was studied immunohistochemically with antibodies against intermediate filament. In mammary gland mixed tumors, cartilage tumor tissues were surrounded with the irregularly demarcated three zones composed of adjacent star shaped cells in myxoid areas, proliferative spindle shaped cells and basal located proliferated cells. From basal proliferated cells to star shaped cells, the immunohistochemical reactivity of myoepithelium specific anti-pancytokeratin was decreased gradually and the reactivity of interstitial cell specific anti-vimentin was increased gradually. Based on thes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patterns, we suggested that the origin of cartilagenous components in canine mammary gland mixed tumor is most likely to the proliferation and metaplsia of myoepithelium.

  • PDF

한국인의 구강내 소타액선 종양의 발생 빈도와 조직병리학적 특성 (The Prevalence and Hist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Oral Minor Salivary Gland Tumors in Korean Patients)

  • 유미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07-214
    • /
    • 2008
  • 본 연구는 구강내 발생하는 소타액선 종양의 발생 빈도와 조직병리학적 특성에 대한 후향적 연구로서 한국인에서 나타나는 소타액선 종양의 특성을 연구하고자 1990년부터 2006년 8월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구강악안면외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영동 세브란스병원,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에 내원한 200명의 소타액선 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치과 및 의과 임상 기록지 검토와 H/E 슬라이드를 재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200명의 환자 중 양성 종양은 123예(61.5%), 악성종양은 77예(38.5%)였으며 남성에서는 87예, 여성에서는 113예였다. 2. 가장 흔하게 발생한 소타액선 종양은 다형성 선종이며 선양 낭성 암종, 점액표피암종, 와틴씨 종양, 선암종과 다형성 선종에서 발생한 악성 종양, 림프관종 등의 순이었다. 3. 호발 부위는 경구개(42.5%), 연구개(9%), 협점막(6%), 입술(3.5%) 부위였다. 4. 발생 연령은 4세부터 70세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며 50대에서 가장 많았다. 양성 종양의 발생 평균 연령은 46.2세였으며 악성 종양의 발생 평균 연령이 56.1세였다. 5. 다형성 선종은 가장 호발한 소타액선 종양으로서 모두 104예였으며 남성 38명, 여성 66명에서 발생하였다. 평균 발생 연령은 46.7세였으며 구개 부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조직학적 소견은 관 구조 형성, 별 모양, 다각형, 방추형, 형질세포양(plasmacytoid), 연골양, 점액양 구조를 보였으며 불완전한 피막과 종양 피막을 뚫고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6. 선양 낭성 암종은 가장 호발한 악성 타액선 종양으로 모두 32예였으며 남성 16명, 여성 16명에서 발생하였다. 평균 발생 연령은 57.4세였으며 경구개 부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조직학적 소견은 cribriform pattern, 관상 구조, 판상 구조 형성, 종양 세포의 신경 주위 침습 등을 보였다. 7. 점액표피암종은 모두 25예였으며 남성 10명, 여성 15명에서 발생하였다. 평균 발생 연령은 50.0세였으며 경구개 부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조직학적 소견은 점액 세포, epidermoid-type 세포, intermediate cell의 분포가 대부분 저등급을 보였다. 이외에도 와틴씨 종양, 선암종과 다형성 선종에서 발생한 악성종양, 림프관종 등이 발생하였다. 8. 한국인의 소타액선 종양의 발생 빈도는 양성 종양이 높으며 특히 다형성 선종이 많았고 여성 발생, 구개 부위 발생이 많았으며 다형성 저등급 선암종 등 특정 소타액선 종양의 발생이 극히 적었다.

  • PDF

한국에서 개 유선종양과 피부종양의 발생현황 (Retrospective Investigation of Canine Skin and Mammary Tumors in Korea)

  • 김영훈;안나경;노인순;윤병일;한정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56-562
    • /
    • 2009
  • 피부와 유선 종양은 개에서 매우 빈번히 발생하는 종양으로, 종양 발생의 위험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종양의 발생률은 증가하며, 발병률과 발병부위의 분포는 종양의 종류마다 다르다. 피부와 유선종양의 발생은 공기오염, 식생활 등 환경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어 이들 종양들의 발생양상은 그 사회의 환경을 반영할 수 있어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그 동안의 많은 보고들에도 불구하고, 피부와 유선종양발생에 대한 자료들은 종양에 대한 수의임상학적 진단과 치료를 위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수의과학검역원과 강원대학교에 의뢰된 128증례의 개 피부종양과 240증례의 개 유선종양을 Goldschmidt와 Misdorp의 형태학적 기준에 의해 조직병리학적으로 진단하여, 종별, 성별 및 부위별로 각각 분류하여 국내에서 이들 종양의 발생양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피부종양에서는 피부상피세포종양, 샘종양 및 간질종양이 각각 14.1%, 41.4%와 44.5%였다. Cutaneous histiocytoma가 피부종양에서 가장 빈번하게 관찰되어 전체 피부종양의 25.0%를 차지하였으며, 기름샘종 (sebaceous gland adenoma; 15.6%), 기저세포종(basal cell tumor; 8.6%), 항문둘레샘종 (perianal gland adenoma; 6.3%)와 지방종 (lipoma; 6.3%)순으로 높았다. 그 외에 비만세포종, 모낭세포종과 중층편평상피암 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피부종양들은 품종, 성과 나이 또는 부위에 따라 유사하거나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유선종양의 경우 양성과 악성이 201/240, 39/240으로 양성발생률이 현저히 높았으며, 양성혼합종 (benign mixed tumor)이 검사한 품종 모두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 (35.0%)을 나타내었다. Complex adenoma는 Maltese와 Poodle에서 특히 높았으며, 악성종양에서는 simple carcinoma와 complex carcinoma가 각각 6.7%로, 악성 중 41.0%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발생률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여러 품종의 반려견에서 발생한 피부와 유선종양의 발생양상을 조직병리학적으로 진단 분석한 것으로, 임상수의사들이 지속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는 개의 피부와 유선종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타액선 종양에서 제4형 교원질과 Fibronectin 발현 (Expression of Type IV Collagen and Fibronectin in Salivary Gland Tumors)

  • 박혜림;남은숙;손진희;신형식;박영의;노영수;민헌기;임현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0-186
    • /
    • 1997
  • Objectives: Salivary gland tumors pose considerable difficulty in diagnostic and prognostic assessment based on the histopathologic features alone. We studied the expression of type IV collagen and fibronectin in salivary gland tumors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differential diagnostic significance. Materials and Methods: We did immunohistochemical stain on paraffin embedded tissues of 33 benign and 24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using monoclonal antibody for type IV collagen and polyclonal antibody for fibronectin. Results: 1) Well preserved linear basement membrane-like staining of type IV collagen was detected in duct-cell-derived benign salivary gland tumors. But pleomorphic adenoma exhibited a heterogeneous pattern as focal augmentation and interruption. 2) In malignant tumors, type IV collagen was distributed in an irregular, interrupted manner or completely absent. Adenoid cystic carcinomas displayed a marked staining of the basal membrane associated substances in the pseudocysts. 3) The staining pattern of fibronectin was similar to that of type IV collagen execpt more dense in the stroma. 4) Salivary gland tumors which have a prominent myoepithelial cell component revealed a particular deposition of basement membrane materials adjacent to the myoepithelial cells. Conclusion: The study of the basal membrane substances may be helpful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benign and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s and identifying special features of salivary gland tumors such as pseudocystic pattern of adenoid cystic carcinoma. Also we think that the myoepithelial cells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basement membrane materials.

  • PDF

3세대에 걸친 60Hz 전자파 노출이 마우스에 미치는 영향

  • 김윤원;이진상;장인애;최영희;강성하;정경천;김윤명;조민기
    • 전자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0-104
    • /
    • 2001
  • 최근까지 동물 또는 사람이 극저주파 전자기장에 평생 또는 여러 세대에 걸쳐 노출되었을 경우, 나타나는 생체영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에 60Hz 전자파를 1세대부터 3세대까지 지속적으로 노출시켜 나타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실험동물은 5주령인 BALB/c 마우스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5kV/m, 30kV/m, 0.5mT 그리고 1.5mT의 4개군으로 나누었으며, 대조군은 1군으로 실험하였다. 생후 6주부터는 위에서 정해진 양의 전자파를 20-22주간 지속적으로 실험동물에 조사하고 동일조건의 암수 마우스를 교미시켰으며, 임신 후에도 사망 또는 부검시까지 동일한 조건으로 계속 조사하였다. 2세대와 3세대는 임신적부터 사망 또는 부검시까지 동일한 조건으로 계속 조사하였다. 1, 2 그리고 3세대 마우스들은 질병에 의한 사망 직전 또는 생후 46주, 66주 그리고 생후 49주에 부검한 뒤, 혈액학적 및 생화학적 검사 그리고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2세대 태아에서는 조기사망(early fetal death), 성장기사망(late fetal death) 그리고 뇌노출(excencephaly) 및 선천성 심장기형을 포함하는 선천이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대조군에 비해 2-4배 높았다. 1, 2세대에서는 생식기인 고환(testis)과 난소(ovary)의 무게가 감소하였으나 2세대에서는 아무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군인 30kV/m, 0.5mT 그리고 1.5mT 전 실험군인 30kV/m, 0.5mT 그리고 1.5mT 전자파에 노출된 1세대와 2세대 마우스에서는 프종(lymphoma), 선암종(adenocarcinoma), 기저상피세포증(basal cell epithelioma), 편평상 피두유종(squamous papilloma) 그리고 선종(adenoma) 등이 발견되었으나, 3세대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60Hz 전자파는 태아 및 생식기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종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3세대는 전자파 환경에 점차 적응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몇몇 국제기구에서 정하여 놓은 안전한계치의 전자파가 생체에 장기간 노출되었을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생체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이하선 악성 종양에 대한 치료 결과와 예후인자 (Treatment Outcome and Prognostic Factors in Management Malignant Parotid Gland Tumor)

  • 장한정;윤종호;장항석;안수민;정웅윤;최은창;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7-132
    • /
    • 2003
  • Objectives: The best treatment for the malignant parotid tumor still remains to be defined, and a better knowledge about the tumor features that predict the treatment result is need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s and to suggest the optimal treatment modality for the parotid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113 patients who were treated for parotid cancer from January 1990 to December 2002 were retrospectively analysed. Univalate analyses were performed to establish the prognostic influence of pateint age, gender, tumor size, histologic grade and lymph node metastasis. Results: The mean age was 46.4 years old (15-81 years)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 : 1.1. The chief complaint was a palpable mass in 85%, pain was in 12.4% and facial nerve palsy was accompanied with 2.7%. The mean tumor size was 3.5cm in diameter.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was mucoepidermoid carcinoma (33.6%), followed by acinic cell carcinoma (15%), adenoid cystic carcinoma (11%), carcinoma expleomorhpic adenoma (11%), basal cell carcinoma (7%). The most common operative procedure was total parotidectomy (47.8%) and various types of cervical lymph node dissection were added in 69.9%. Postoperative radiotherapy was done in 61.1 %. Postoperative complications developed in 54 cases (47.8%), including 46 cases (40.7%) of facial nerve palsy and 9 cases (8%) of Frey's syndrome. Recurrences developed in 21 cases (18.6%) and deaths in 15 (13.3%). Cumulative survival at 5 year was 75.4%. Univariate analysis of clinical factors showed that histologic grade and positive cervical lymph node significantly influenced survival (p<0.05).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 radical resection with lymph node dissection and postopertaive XR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survival of the patients with high grade cancer or positive lymphnode metastasis.